Close Menu
아라마
  • HOME
  • 전통강원
    • 1학년 치문
      • 제경서문
      • 초발심자경문
      • 사미 사미니 율의
      • 치문
    • 2학년 사집
      • 선요
      • 도서
      • 서장
      • 절요
      • 육조단경
    • 3학년 사교
      • 원각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오가해
    • 4학년 대교
      • 80화엄경
      • 60화엄
    • 승가고시
      • 행자 5급
      • 사미사미니 4급
      • 비구비구니 3급
      • 공통필수
    • 스님들용
      • 석문의범 이해
      • 대중공양
      • 법문자료
  • 법당의례
    • 기본
      • 사찰방문 예절
      • Templestay
      • 의식용 찬불가 등
      • 조계종 표준우리말
    • 상용의례
      • 새벽
      • 사시
      • 오후
      • 저녁
      • 각단불공
    • 천도의
      • 49재
      • 천도재
      • 기재
      • 명절재사
    • 특별기도
      • 지장기도
      • 법화경기도
      • 참회기도
      • 주력&다라니
      • 108배 천배
    • 대중의례
      • 통알
      • 공양작법
      • 상강례
    • 독송용
      • 소원성취 장애극복
      • 지혜발원
      • 극락왕생 발원
      • 사업 이사 기도
      • 성불 발원
  • 경장논장
    • 니까야
      • 디가니까야
      • 맛지마니까야
      • 쌍윳따니까야
      • 앙굿따니까야
      • 숫타니파타 집경
      • 담마빠다 법구경
      • 이띠붓따까
      • 우다나 자설경
    • 반야방등부
      • 반야심경
      • 금강경
      • 유마경
      • 승만경
      • 원각경
    • 정토&법화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보현보살행법경
    • 화엄부
      • 40화엄
      • 60화엄
      • 80화엄
      • 화엄경약찬게
      • 법성게
    • 논장
      • 청정도론
      • 아비달마구사론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기타
      • 42장경
      • 밀린다왕문경
      • 밀라레빠 십만송
    • 선어록
      • 중국선어록
      • 한국선어록
      • 마음수련
      • 경책모음
  • 불교학
    • 불교사
      • 인도불교사
      • 중국불교사
      • 한국불교사
      • 세계불교사
    • 초기불교
      • 초기불교 교학
      • 부처님 생애
      • 부처님제자들
    • 아비달마&유식
      • 아비달마구사론
      • 유식30송
      • 해심밀경
    • 반야&중관
      • 중론&백론&12문론
      • 중관학
    • 천태&화엄
      • 지관수행법
    • 표준과정
      • 종교학
      • 밀교
      • 계율학
      • 불교인물사전
      • 범어 티베트어
  • 법문모음
    • 한국 고승법어
      • 경봉선사
      • 만공선사
    • 전강선사
      • 전강선사 일대기
    • 송담선사
      • 참선기초 법문
    • 묘허스님
      • 노스님의 불교학
      • 노스님의 원각경
      • 찬집백연경
    • 정견스님
      • 신 윤회의 비밀
      • 불교기초교리
      • 간화결의문
      • 극락세계유람기
  • 시골스님
    • 강의
      • 불교학
      • 선어록
      • 역사
      • 인문학
      • 마음건강
    • 시골리포트
      • 계간 청암
      • 힙합반야심경
      • 전법학논문
      • 선방 안거
      • 홈페이지
      • 조계사어린이법회
      • 동국대선학과
    • 온갖리뷰
      • 도서
      • 영화
      • 시문학
    • 출간도서
    • 유튜브
  • 맵과 도표
  • 방명록
  • 자료실
소셜 로그인
naver kakao google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Trending
  • 히라가나 & 카타카나 학습기
  •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 주장자 머리의 눈
  • 동국대, 대학생을 중심으로한 포교의 현장에서
  • 바다에 갔더니
  • 무주좌계산랑선사소영가대사산거서 영가답서
  • 로그인
  • 회원가입
아라마
Leaderboard Ad
  • HOME
  • 전통강원
    • 1학년 치문
      • 제경서문
      • 초발심자경문
      • 사미 사미니 율의
      • 치문
    • 2학년 사집
      • 선요
      • 도서
      • 서장
      • 절요
      • 육조단경
    • 3학년 사교
      • 원각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오가해
    • 4학년 대교
      • 60화엄
      • 80화엄경
    • 승가고시
      • 행자 5급
      • 사미사미니 4급
      • 비구비구니 3급
      • 공통필수
    • 스님들용
      • 석문의범 이해
      • 대중공양
      • 법문자료
  • 법당의례
    • 기본
      • 사찰방문 예절
      • Templestay
      • 의식용 찬불가 등
      • 조계종 표준우리말
    • 상용의례
      • 새벽
      • 사시
      • 오후
      • 저녁
      • 각단불공
    • 천도의
      • 49재
      • 천도재
      • 기재
      • 명절재사
    • 특별기도
      • 지장기도
      • 법화경기도
      • 참회기도
      • 주력&다라니
      • 108배 천배
    • 대중의례
      • 통알
      • 공양작법
      • 상강례
    • 독송용
      • 소원성취 장애극복
      • 지혜발원
      • 극락왕생 발원
      • 사업 이사 기도
      • 성불 발원
  • 경장논장
    • 니까야
      • 디가니까야
      • 맛지마니까야
      • 쌍윳따니까야
      • 앙굿따니까야
      • 숫타니파타 집경
      • 담마빠다 법구경
      • 이띠붓따까
      • 우다나 자설경
    • 반야방등부
      • 반야심경
      • 금강경
      • 유마경
      • 승만경
      • 원각경
    • 정토&법화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보현보살행법경
    • 화엄부
      • 40화엄
      • 60화엄
      • 80화엄
      • 법성게
      • 화엄경약찬게
    • 논장
      • 청정도론
      • 아비달마구사론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기타
      • 42장경
      • 밀린다왕문경
      • 밀라레빠 십만송
    • 선어록
      • 중국선어록
      • 한국선어록
      • 마음수련
      • 경책모음
  • 불교학
    • 불교사
      • 인도불교사
      • 중국불교사
      • 한국불교사
      • 세계불교사
    • 초기불교
      • 초기불교 교학
      • 부처님 생애
      • 부처님제자들
    • 아비달마&유식
      • 아비달마구사론
      • 유식30송
      • 해심밀경
    • 반야&중관
      • 중론&백론&12문론
      • 중관학
    • 천태&화엄
      • 지관수행법
    • 표준과정
      • 종교학
      • 밀교
      • 계율학
      • 불교인물사전
      • 범어 티베트어
  • 법문모음
    • 한국 고승법어
      • 만공선사
      • 경봉선사
    • 전강선사
      • 전강선사 일대기
    • 송담선사
      • 참선기초 법문
    • 묘허스님
      • 노스님의 불교학
      • 노스님의 원각경
      • 찬집백연경
    • 정견스님
      • 신 윤회의 비밀
      • 불교기초교리
      • 간화결의문
      • 극락세계유람기
  • 반야스님
    • 명상전문 챗봇
    • 스님의 서재
    • 행복마음개발
    • 출간도서
    • 유투브
    • 인문학 독서
  • 방명록
  • 자료실
아라마
You are at:Home»경장논장»선어록»한국선어록»장로자각색선사 좌선의
장로자각색선사 좌선의

장로자각색선사 좌선의

59
By 아라마 on 2024년 03월 16일 한국선어록, 마음수련, 치문

長蘆慈覺賾禪師坐禪儀


學般若菩薩은 先當 [起大悲心하야 發弘誓願하며 精修三昧하야 誓度衆生이요] 不爲一身하야 獨求解脫이니라
爾乃放捨諸緣하야 休息萬事하고 身心一如하야 動靜無間하며 量其飮食하야 不多不小하고 調其睡眠하야 不節不恣니라
欲坐禪時어든 於閒靜處에 厚敷坐物하고 寬繫衣帶하야 令威儀로 齊整然後에
結跏趺坐호대 先以右足으로 安左髀上하고 左足으로 安右髀上하며 或半跏趺라도 亦可니 但以左足으로 壓右足而已니라 次以右手로 安左足上하고 左掌으로 安右掌上하며 以兩手大拇指面으로 相拄하고 徐徐擧身前向하며 復左右搖振하고 乃正身瑞坐호대 不得[左傾右側하고 前躬後仰하며] 令腰脊頭項骨節로 相拄호대 狀如浮屠하며 又不得[聳身太過하야 令人氣急不安하고
要令耳與肩對하며 鼻與臍對하고 舌拄上齶하야 唇齒相着하며 目須微開하야 免致昏睡니 若得禪定이면 其力이 最勝이니라
古有習定高僧이 坐常開目하고 向에 法雲圓通禪師가 亦訶人閉目坐禪호대 以爲黑山鬼窟이라하니 盖有深旨라 達者는 知焉이니라
身相을 旣定하고 氣息을 旣調然後에 寬放臍腹하야 一切善惡을 都莫思量하며 念起卽覺이니 覺之卽失이라 久久忘緣하면 自成一片하리니此는 坐禪之要術也니라
竊爲坐禪은 乃安樂法門이어늘 而人多致疾者는 盖不善用心故也니라
若善得此意則自然四大輕安하고 精神이 爽利하며 正念이 分明하야 法味資神일새 寂然淸樂하리라
若已有發明者인댄 可謂如龍得水하고 似虎靠山이며 若未有發明者라도 亦乃因風吹火라 用力이 不多하리니 但辦肯心하라 必不相賺이니라
然而道高魔盛하야 逆順萬端이니 但能正念現前하면 一切不能留礙라
如楞嚴經과 天台止觀과 圭峰修證儀에 具明魔事하야 預備不虞者하니 可不知也니라
若欲出定커든 徐徐動身하야 安詳而起하고 不得卒暴하며 出定之後에는 一切時中에 常依方便하야 護持定力호대 如護嬰兒하면 卽定力을 易成矣리라
夫禪定一門이 最爲急務니 若不安禪靜慮하면 到遮裡하야 總須茫然이라
所以로 探珠에 宜靜浪이니 動水하면 取應難이니라 定水澄淸하면 心珠自現이니 故로 圓覺經에 云無礙淸淨慧가 皆依禪定生이라하며 法華經에 云在於閒處하야 修攝其心호대 安住不動을 如須彌山이라하시니
是知超凡越聖인댄 必假靜緣이요 坐脫立亡인댄 須憑定力이니라
一生取辦하야도 尙恐蹉跎온 況乃遷延이면 將何敵業이리요 故로 古人이 云若無定力이면 甘伏死門하야 掩目空歸에 宛然 流浪이라하니
幸諸禪友는 三復斯文하고 自利利他하야 同成正覺이어다

장로자각색선사 좌선의

반야지혜를 배우는 보살은,
먼저 대비심을 일의켜 큰 서원을 세워 삼매를 세밀하게 닦아 중생을 제도하기를 맹세해야 할것이요,
한몸을 위해 홀로 해탈을 구하지 말지어다.

그리하여 온갖 인연을 놓아버려 만가지 일을 그치어 쉬고,
몸과마음이 한결같아 움직이고 고요함에 간격이 없어야하며,
마시고 먹는 것을 헤아려서 많지도 않고 적지도 않게 하고,
수면을 조절하여 절제하지도 방자하지도 말지니라. [너무 안자려고도 하지말고, 퍼질러 늘어져 자지도 마라]

좌선하고자 할 때는 한가하고 고요한 곳에서 깔개를 두껍게 펴고,
옷의 허리띠는 느슨하게 매어 위의가 가지런하고 단정하게 한 연후에 결가부좌하되,
먼저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위에 편하게 놓고,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편안하게 놓으며,
혹은 반가부좌라도 또한 가능하니, 다만 왼발로 오른발을 눌러주기만 하면 되느니라.
다음에 오른손으로 왼발 위에 편안히 놓고, 왼 손바닥을 오른손바닥 위에 편안히 놓으며,
양손의 엄지손가락면이 마주하여 서로 떠받치게 하고,
천천히 몸을 들어 앞쪽을 향하며, 다시 좌우로 흔들고
그리고나서 몸을 바로하고 단정히 앉되,
왼쪽으로 기울거나 오른쪽으로 기울어서는 않되고,
몸을 앞으로 뒤로 기울어서는 않되며,
허리 등뼈 머리 목덜미의 뼈마디가 서로 떠받치게하되, 모습이 부도와 같이하며,
또한 몸이 너무 지나치게 솟구쳐서 다른 사람들 기운을 급하게 혹은 불안하게 하지말라.

반드시 귀와 어깨가 곧게 하고, 코와 배꼽이 곧게 해야하며,
혀는 윗 잇몸으로 떠받쳐서 입술과 이가 서로 붙으며,
눈은 모름지기 작게 열어서 어두워서 잠들지 않도록 해야하니,
만약 선정을 얻으면 그 힘이 가장 뛰어날 것이니라.

옛날에 선정을 익히던 뛰어난 스님이 있었는데, 않으면 항상 눈을 떴다.
예전에 법운원통 선사도 사람들이 눈을 감고 좌선하는 것을 꾸짖으면서 암흑산의 귀신굴이라하니,
대개 깊은 맛이 있음에 다른 사람은 알 것이니라.

몸의 모습이 이미 안정하고 기운과 호흡을 조절하고 난 연후에 배꼽과 배를 느슨하게 풀어놓아,
일체의 선악을 조금도 생각하고 헤아리지 말며, 망념이 일어나면 알아챌지니, 알아채면 없어질 것이다.

변함없이 오랫동안 연을 잊으면, 저절로 한조각 이루게 되니,이것은 좌선의 요긴한 기술이니라.

사실 좌선을 하는 것이 바로 안락 법문인데도,
사람들이 질병에 이르는 자가 많은 것은 대개 마음쓰기를 잘하지 못하기 때문이니라.

만약 이 뜻을 잘 알면 자연히 사대(4大)가 가볍고 평안하고, 정신이 맑게 통하며, 정념이 분명해져서
법의 맛이 정신의 밑거름일새, 고요하면서 맑고 즐거우리라.

만약 이미 밝게 일어난 바가 있는자라면
마치 용이 물을 얻은것과 같고,
호랑이가 산을 의지한 것과 같다고 말할 수 있다.

만약 아직 밝게 일어난 바가 없는자라도 또한 이에 바람으로 인하여 불을 부추김이라서
힘을 쓰는 것을 많이 안하리니, 그저 긍정적인 마음으로 힘쓰라.
반드시 서로 속이는 것이 없을 것이니라.

그럼에도 도가 높아지면 마도 치성하야 도리를 거스리는 경계들이 만가지가 되니
다만 정념이 현전하게만 할 수 있다면, 일체가 [그 어떤것도] 지체하거나 장애하지 못할 것이다.

마치 능엄경과 천태지관과 규봉수증의에서 모두가 마구니 일을 밝히어,
헤아리지 못하는 자들이 미리 갖출 수 있도록 하니, 반드시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선정에서 나오려거든 천천히 몸을 움직여서, 차분하고 세밀히하여 일어나야 하고,
갑작스럽게하면 안되며, 선정에서 나온 후에는 24시간 항상 방편에 의지하여 선정의 힘을 보호하여 지키되,
갓난아이 보호하듯하면, 선정의 힘을 쉽게 이루리라.

대저 선정이라는 한가지 문(방법)이 가장 시급한 일이니, 만약 차분하게 선정에 들어서 맑은 생각을 못하면 다스림이 막혀서 단속하는 것이 아득해지게 될 뿐이라.
그런 까닭에 구슬을 찾으려면 마땅히 물결을 고요해야하니, 물이 움직이면, 취하기가 응당 어려우니라.

선정의 물이 맑고 깨끗하면, 마음구슬이 저절로 나타나니,
그러므로 <원각경>에 이르되,
장애없는 청정한 지혜가 모두 선정에 의지하여 일어남이라 하며,

<법화경>에 이르되,
한가한 곳에 있어서 그마음을 닦아 거두어 들이되, 차분히 머물러 움직이지 않기를 수미산같이 할지니라 하시니,

그러므로 알라.
범부를 넘어 성현을 넘어서려면, 반드시 고요한 인연을 빌려야 함이요,
좌탈입망 하려면 모름지기 선정의 힙에 의지해야 하느니라.

한생에 갖추려 하여도 오히려 잘못될까 두렵거늘,
하물며 그렇게 느그적거리면 앞으로 어떻게 업에 대적하겠는가.

그러므로 옛사람이 이르기를 만약 선정의 힘이 없으면, 죽음의 문에서 기꺼이 굴복하여,
눈가리고 빈손으로 돌아감에 굽이굽이 흘러가리라 하니,

원컨대, 모든 선의 도반들은 이글을 세 번 반복하여,
스스로 이롭게 하고 남도 이롭게하여 함께 바른 깨달음을 이룰지어다.

2
Print 🖨

관련 게시물

무주좌계산랑선사소영가대사산거서 영가답서

대당자은법사출가잠 大唐慈恩法師出家箴

현서토 치문경훈 서 懸序吐緇門警訓序

59개의 댓글

  1. on 2025년 07월 01일 1:38 오후

    uoggo1

    Reply
  2. on 2025년 06월 27일 8:11 오후

    h7xwed

    Reply
  3. on 2025년 06월 25일 1:05 오후

    qh1n3t

    Reply
  4. on 2025년 06월 22일 2:53 오후

    b89993

    Reply
  5. on 2025년 06월 14일 3:32 오전

    3o55rt

    Reply
  6. on 2025년 06월 10일 11:30 오전

    xu9wuv

    Reply
  7. on 2025년 06월 07일 10:52 오후

    m4d72q

    Reply
  8. on 2025년 06월 03일 11:36 오후

    0a4naj

    Reply
  9. on 2025년 06월 01일 8:52 오전

    3k2s9g

    Reply
  10. on 2025년 05월 28일 3:41 오전

    xu11n5

    Reply
  11. on 2025년 05월 25일 11:19 오후

    e0xgqp

    Reply
  12. on 2025년 05월 24일 4:37 오전

    szvrua

    Reply
  13. on 2025년 05월 20일 10:21 오전

    c3p0l2

    Reply
  14. on 2025년 05월 18일 7:30 오후

    efucao

    Reply
← Older Comments
Leave A Reply Cancel Reply

  • 인기글
  • 최신글
  • 추천글
서장 대혜선사
2024년 01월 20일

서장 대혜선사 행장 大慧禪師 行狀

2024년 03월 19일

고소경덕사 운법사무학십문 병서 姑蘇景德寺雲法師務學十門 並序

한국의 선맥
2024년 02월 12일

한국의 선맥

2025년 05월 31일

히라가나 & 카타카나 학습기

2024년 10월 19일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2024년 10월 19일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상강례
2023년 12월 30일

상강례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2023년 12월 29일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https://youtu.be/0QD7V74zDww
아라마 뉴스 레터

전통강원, 초기경전 등 ARAMA의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

아라마 캘린더

2025 7월

월 화 수 목 금 토 일
1
2
  • 약사재일

    약사재일

    2025년 07월 02일

    (-)2025-0608

    상세 내용보기

•
3
4
5
6
7
8
9
  • 보름

    보름

    2025년 07월 09일

    (-)2025-0615

    상세 내용보기

•
10
11
12
  • 지장재일

    지장재일

    2025년 07월 12일

    (-)2025-0618

    상세 내용보기

•
13
14
15
16
17
18
  • 관음재일

    관음재일

    2025년 07월 18일

    (-)2025-0624

    상세 내용보기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8
  • 636
  • 176
카톡으로 문의하기
chatbot
최신 글
  • 히라가나 & 카타카나 학습기
  •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 최신글 전체보기
뉴스 레터

전통강원, 초기경전 등 ARAMA의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

아마라 후원

후원 : 농협 3021522870521 유반야

광고 문의 : withpanna@gmail.com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ARAMA All rights reserved.

Type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