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Menu
아라마
  • HOME
  • 전통강원
    • 1학년 치문
      • 제경서문
      • 초발심자경문
      • 사미 사미니 율의
      • 치문
    • 2학년 사집
      • 선요
      • 도서
      • 서장
      • 절요
      • 육조단경
    • 3학년 사교
      • 원각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오가해
    • 4학년 대교
      • 80화엄경
      • 60화엄
    • 승가고시
      • 행자 5급
      • 사미사미니 4급
      • 비구비구니 3급
      • 공통필수
    • 스님들용
      • 석문의범 이해
      • 대중공양
      • 법문자료
  • 법당의례
    • 기본
      • 사찰방문 예절
      • Templestay
      • 의식용 찬불가 등
      • 조계종 표준우리말
    • 상용의례
      • 새벽
      • 사시
      • 오후
      • 저녁
      • 각단불공
    • 천도의
      • 49재
      • 천도재
      • 기재
      • 명절재사
    • 특별기도
      • 지장기도
      • 법화경기도
      • 참회기도
      • 주력&다라니
      • 108배 천배
    • 대중의례
      • 통알
      • 공양작법
      • 상강례
    • 독송용
      • 소원성취 장애극복
      • 지혜발원
      • 극락왕생 발원
      • 사업 이사 기도
      • 성불 발원
  • 경장논장
    • 니까야
      • 디가니까야
      • 맛지마니까야
      • 쌍윳따니까야
      • 앙굿따니까야
      • 숫타니파타 집경
      • 담마빠다 법구경
      • 이띠붓따까
      • 우다나 자설경
    • 반야방등부
      • 반야심경
      • 금강경
      • 유마경
      • 승만경
      • 원각경
    • 정토&법화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보현보살행법경
    • 화엄부
      • 40화엄
      • 60화엄
      • 80화엄
      • 화엄경약찬게
      • 법성게
    • 논장
      • 청정도론
      • 아비달마구사론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기타
      • 42장경
      • 밀린다왕문경
      • 밀라레빠 십만송
    • 선어록
      • 중국선어록
      • 한국선어록
      • 마음수련
      • 경책모음
  • 불교학
    • 불교사
      • 인도불교사
      • 중국불교사
      • 한국불교사
      • 세계불교사
    • 초기불교
      • 초기불교 교학
      • 부처님 생애
      • 부처님제자들
    • 아비달마&유식
      • 아비달마구사론
      • 유식30송
      • 해심밀경
    • 반야&중관
      • 중론&백론&12문론
      • 중관학
    • 천태&화엄
      • 지관수행법
    • 표준과정
      • 종교학
      • 밀교
      • 계율학
      • 불교인물사전
      • 범어 티베트어
  • 법문모음
    • 한국 고승법어
      • 경봉선사
      • 만공선사
    • 전강선사
      • 전강선사 일대기
    • 송담선사
      • 참선기초 법문
    • 묘허스님
      • 노스님의 불교학
      • 노스님의 원각경
      • 찬집백연경
    • 정견스님
      • 신 윤회의 비밀
      • 불교기초교리
      • 간화결의문
      • 극락세계유람기
  • 시골스님
    • 강의
      • 불교학
      • 선어록
      • 역사
      • 인문학
      • 마음건강
    • 시골리포트
      • 계간 청암
      • 힙합반야심경
      • 전법학논문
      • 선방 안거
      • 홈페이지
      • 조계사어린이법회
      • 동국대선학과
    • 온갖리뷰
      • 도서
      • 영화
      • 시문학
    • 출간도서
    • 유튜브
  • 맵과 도표
  • 방명록
  • 자료실
소셜 로그인
naver kakao google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Trending
  •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 주장자 머리의 눈
  • 동국대, 대학생을 중심으로한 포교의 현장에서
  • 바다에 갔더니
  • 무주좌계산랑선사소영가대사산거서 영가답서
  • 동산양개화상사친서 두번째 편지 ②후서 後書
  • 로그인
  • 회원가입
아라마
Leaderboard Ad
  • HOME
  • 전통강원
    • 1학년 치문
      • 제경서문
      • 초발심자경문
      • 사미 사미니 율의
      • 치문
    • 2학년 사집
      • 선요
      • 도서
      • 서장
      • 절요
      • 육조단경
    • 3학년 사교
      • 원각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오가해
    • 4학년 대교
      • 60화엄
      • 80화엄경
    • 승가고시
      • 행자 5급
      • 사미사미니 4급
      • 비구비구니 3급
      • 공통필수
    • 스님들용
      • 석문의범 이해
      • 대중공양
      • 법문자료
  • 법당의례
    • 기본
      • 사찰방문 예절
      • Templestay
      • 의식용 찬불가 등
      • 조계종 표준우리말
    • 상용의례
      • 새벽
      • 사시
      • 오후
      • 저녁
      • 각단불공
    • 천도의
      • 49재
      • 천도재
      • 기재
      • 명절재사
    • 특별기도
      • 지장기도
      • 법화경기도
      • 참회기도
      • 주력&다라니
      • 108배 천배
    • 대중의례
      • 통알
      • 공양작법
      • 상강례
    • 독송용
      • 소원성취 장애극복
      • 지혜발원
      • 극락왕생 발원
      • 사업 이사 기도
      • 성불 발원
  • 경장논장
    • 니까야
      • 디가니까야
      • 맛지마니까야
      • 쌍윳따니까야
      • 앙굿따니까야
      • 숫타니파타 집경
      • 담마빠다 법구경
      • 이띠붓따까
      • 우다나 자설경
    • 반야방등부
      • 반야심경
      • 금강경
      • 유마경
      • 승만경
      • 원각경
    • 정토&법화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보현보살행법경
    • 화엄부
      • 40화엄
      • 60화엄
      • 80화엄
      • 법성게
      • 화엄경약찬게
    • 논장
      • 청정도론
      • 아비달마구사론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기타
      • 42장경
      • 밀린다왕문경
      • 밀라레빠 십만송
    • 선어록
      • 중국선어록
      • 한국선어록
      • 마음수련
      • 경책모음
  • 불교학
    • 불교사
      • 인도불교사
      • 중국불교사
      • 한국불교사
      • 세계불교사
    • 초기불교
      • 초기불교 교학
      • 부처님 생애
      • 부처님제자들
    • 아비달마&유식
      • 아비달마구사론
      • 유식30송
      • 해심밀경
    • 반야&중관
      • 중론&백론&12문론
      • 중관학
    • 천태&화엄
      • 지관수행법
    • 표준과정
      • 종교학
      • 밀교
      • 계율학
      • 불교인물사전
      • 범어 티베트어
  • 법문모음
    • 한국 고승법어
      • 만공선사
      • 경봉선사
    • 전강선사
      • 전강선사 일대기
    • 송담선사
      • 참선기초 법문
    • 묘허스님
      • 노스님의 불교학
      • 노스님의 원각경
      • 찬집백연경
    • 정견스님
      • 신 윤회의 비밀
      • 불교기초교리
      • 간화결의문
      • 극락세계유람기
  • 반야스님
    • 스님의 서재
    • 행복마음개발
    • 출간도서
    • 유투브
    • 인문학 독서
  • 방명록
  • 자료실
아라마
You are at:Home»전통강원»2학년 사집»선요»04 고봉화상선요 서 – 한문현토, 우리말직역

04 고봉화상선요 서 – 한문현토, 우리말직역

0
By 아라마 on 2023년 12월 30일 선요, 제경서문

 

 

장로자각색선사 좌선의

 

 

 

高峰和尙禪要序
 
參禪은 雖以 不立文字하고 不假修證으로 爲宗이나, 然이나 旣可參則 必有要하니 要者何오. 如 網之有綱하여 衣之有領하야, 使人으로 一擧而 徑得 其直遂者가 是也니라. 萬目이 非不網也나 遣綱擧目이면 網必不張이요, 萬縷 非不衣也이 捨領擧縷면 衣必不振이니라. 
永嘉 云하사되 「摘葉尋枝는 我不能이라.」하니 枝與葉은 非要요, 根本이라사 固要也어늘 學者가 復昧其根本이로다. 鵝湖 云하사되 「要在 當人 能擇上이라.」하니 擇善而從이 可也어늘 學者가 往往에 差決擇 於發靭하야 終 適越而北轅이로다. 乃至 從上祖師의 遺編이 山積하니, 一話一言이 固無非綱領이로대 奈何 世降聖遠에 情僞日滋하야 心意識에 有以蠱蝕之라, 則視綱領하야 爲目縷者가 盖怱怱矣리요. 
我師 高峰和尙께서 自雙峰 而西峰으로 二十餘年을 念此之故로 不獲已하사 示人剋的하시니, 如神藥이 刁圭而 起死하고 靈符가 點畵而驅邪니라. 故로 有採 其奇方秘呪하야 得以 爲學徒綱領者러라.
或曰하되 “獲禽在目이라 不在綱이요, 禦寒在縷라 不在領이니, 八萬四千法門이 門門可入일새 目與縷는 果非要耶아”
將應之曰하되 世尊法門이 信廣大無邊이나 顧乃 設爲方便으로 狹小一門일새, 使 諸子로 出火宅而 入大乘하시니 是는 攝目縷하야 爲綱領耳니라.
然則 綱耶아 目耶아 領耶아 縷耶아 要耶아 非要耶아 未具 頂門正眼인댄 未可 以易言也니라.
喬祖가 預 西峰法席以來로 每抄集 示徒法語之 切於參決者를 名之曰 禪要라하고 久欲 與有志者로 共之러니 一日에 擧似姑蘇 永中上人하니 欣然히 欲 募緣鋟梓커니 且俾 喬祖로 爲之序하라하야늘 喬祖 旣已承命하고 復告之曰하되 “師의 別有一要語가 在 綱領外하야 藏之 虛空骨中하니 兄欲鋟하고 我欲序가 皆不能이라 尙俟他日에 更作 一番揭露하노라.”
 
 至元 甲午 重九日 天目 參學 直翁 洪喬祖 謹書
 

=================

고봉화상선요서

=================

참선이 비록 문자를 세우지 않고 방편없이 닦아 증득함으로써 으뜸으로 삼더라도 그러나 이미 ‘참구할 수 있다.’ 하면 반드시 요체가 있을 것이다. 요체란 무엇인가? 마치 그물에 벼리가 있고 옷에는 옷깃이 있듯, 사람이 한번 들면 단번에 곧게 펼쳐올리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많은 그물코가 그물 아닌 것은 아니나 벼리를 놓아두고 그물코만 들면 그물은 결코 펼쳐지지 않고, 많은 실오라기가 옷 아닌 것은 아니나 옷깃을 두고서 실오라기만 들면 옷을 반듯하게 들어 올릴 수 없다.

영가대사께서 이르시되 “잎을 따거나 가지 치는 짓은 나는 못한다.” 하셨다. 가지와 잎은 요체가 아니고 뿌리째 뽑아내는 것이 진짜 중요한데도 배우는 이들이 근본에 매함을 반복한다. 근본을 모르고 헤멘다.

아호스님께서 이르시되 “요체는 본인이 선택하는 데에 있다.” 하셨다. 바름을 택하여 따르는 것이 옳거늘 배우는 이들이 번번히 출발할 때 그른 것을 결택하여 결국 남쪽 월나라를 찾아가면서도 북쪽 오랑캐로 수레를 몰게 된다.

그래서 옛부터 조사스님들께서 남겨주신 가르침이 산처럼 쌓이게 된 것이다. 한마디 한마디 진실로 벼리와 옷깃 아닌 것 없건만, 어찌하여 세월이 흐르고 성인의 시절은 멀어졌다고 속이는 마음은 날로 불어나고, 심의식 마음 깊숙히에 사람을 좀먹는 미혹벌레를 가지고 있으니, 벼리와 옷깃을 보고도 그물코와 실오라기라 여기는 이들이 많아지는 것을 도대체 어찌해야 할까.

우리 고봉화상께서는 쌍봉사에서부터 서봉사에서 스무해가 넘도록 이런 것들을 염려하신 까닭에 부득이 사람들에게 확실한 것을 보이시게 된 것이다. 마치 신약이 매우 적은 양으로도 죽은 이를 일으키고, 영험한 부적이 한 점 획으로도 삿된 것을 물리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이한 처방과 비밀한 주문들을 모아 배우는 이들의 강령 지침으로 삼게 된 것이다.

누군가는 이르되 “새를 잡는 것은 그물코이지 벼리에 있지 않고, 추위를 막는 것도 실오라기이지 옷깃에 있지 않다. 팔만사천 법문이 법문마다 도에 들 수 있는 문이니, 그물코와 실오라기도 결국은 요체가 아닌가.” 한다.

이에 대답한다. 부처님 법문이 진실로 광대무변하나 살펴보면 곧 방편으로 좁고작은 한 문을 세우신 것이다. 법화경에서 모든 아들들로 하여금 불타는 집에서 나와 대승으로 들게 하시니, 이는 그물코와 실오라기를 가지고 벼리와 옷깃으로 삼은 것이다.

그렇다면 벼리인지 그물코인지, 옷깃인지 실오라기인지, 요체인지 요체가 아닌지는 정문정안 깨달으면 생긴다는 정수리에 또하나의 눈 지혜안목

을 갖추지 못하면 쉽사리 말할 수 없다.

나 교조가 서봉의 법석에 참여한 이후로 제자들에게 보이신 법어가 운데 참구와 결택에 필요한 것들을 매번 받아 적어 모았으니, 선요라 이름했다. 

뜻있는 이들과 분들과 함께 하고자 오래 마음먹고 있다가, 하루는 고소산 영중스님께 들어보이니 기뻐하시며 시주인연을 모아 판각으로 새겨 책을 펴고자 하셨다. 우선 나에게 선요의 서문을 쓰라 하시니, 내가 이미 명을 받들기는 했으나 다시 이렇게 말씀드렸다. “고봉화상께는 따로 하나의 요긴한 법어가 있지만 벼리와 옷깃 밖의 허공의 뼛속에 감추어져 있으니, 하물며 책을 만들고 제가 서를 쓴다하여도 두루하게 잘해낼 수 없습니다. 바라건대 뒷날을 기다려 다시 한 번 일으켜서 높이 드날렸으면 합니다.”

지원 갑오1294 9월 9일

천목산에서 참학한 직옹 홍교조 삼가 쓰다.

0
Print 🖨

전통강원 선요 제경서문

관련 게시물

장로자각색선사 귀경문 長蘆慈覺賾禪師龜鏡文

장로자각색선사 귀경문 長蘆慈覺賾禪師龜鏡文

장로자각색선사 자경문 長蘆慈覺賾禪師 自警文

장로자각색선사 자경문 長蘆慈覺賾禪師 自警文

영명지각수선사 수계 永明智覺壽禪師垂誡

영명지각수선사 수계 永明智覺壽禪師垂誡

Leave A Reply Cancel Reply

  • 인기글
  • 최신글
  • 추천글
서장 대혜선사
2024년 01월 20일

서장 대혜선사 행장 大慧禪師 行狀

2024년 03월 19일

고소경덕사 운법사무학십문 병서 姑蘇景德寺雲法師務學十門 並序

한국의 선맥
2024년 02월 12일

한국의 선맥

2024년 10월 19일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2024년 10월 19일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2024년 10월 10일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상강례
2023년 12월 30일

상강례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2023년 12월 29일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https://youtu.be/0QD7V74zDww
아라마 뉴스 레터

전통강원, 초기경전 등 ARAMA의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

아라마 캘린더

2025 May

월 화 수 목 금 토 일
1
2
3
4
5
  • 석가탄신일

    석가탄신일

    2025년 05월 05일

    (-)2025-0408

    상세 내용보기

  • 약사재일

    약사재일

    2025년 05월 05일

    (-)2025-0408

    상세 내용보기

• •
6
7
8
9
10
11
12
  • 동안거 결재

    동안거 결재

    2025년 05월 12일

    (-)2025-0415

    상세 내용보기

  • 보름

    보름

    2025년 05월 12일

    (-)2025-0415

    상세 내용보기

• •
13
14
15
  • 지장재일

    지장재일

    2025년 05월 15일

    (-)2025-0418

    상세 내용보기

•
16
17
18
19
20
21
  • 관음재일

    관음재일

    2025년 05월 21일

    (-)2025-0424

    상세 내용보기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
  • 63
  • 175
카톡으로 문의하기
최신 글
  •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 최신글 전체보기
뉴스 레터

전통강원, 초기경전 등 ARAMA의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

아마라 후원

후원 : 농협 3021522870521 유반야

광고 문의 : withpanna@gmail.com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ARAMA All rights reserved.

Type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