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Menu
아라마
  • HOME
  • 전통강원
    • 1학년 치문
      • 제경서문
      • 초발심자경문
      • 사미 사미니 율의
      • 치문
    • 2학년 사집
      • 선요
      • 도서
      • 서장
      • 절요
      • 육조단경
    • 3학년 사교
      • 원각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오가해
    • 4학년 대교
      • 80화엄경
      • 60화엄
    • 승가고시
      • 행자 5급
      • 사미사미니 4급
      • 비구비구니 3급
      • 공통필수
    • 스님들용
      • 석문의범 이해
      • 대중공양
      • 법문자료
  • 법당의례
    • 기본
      • 사찰방문 예절
      • Templestay
      • 의식용 찬불가 등
      • 조계종 표준우리말
    • 상용의례
      • 새벽
      • 사시
      • 오후
      • 저녁
      • 각단불공
    • 천도의
      • 49재
      • 천도재
      • 기재
      • 명절재사
    • 특별기도
      • 지장기도
      • 법화경기도
      • 참회기도
      • 주력&다라니
      • 108배 천배
    • 대중의례
      • 통알
      • 공양작법
      • 상강례
    • 독송용
      • 소원성취 장애극복
      • 지혜발원
      • 극락왕생 발원
      • 사업 이사 기도
      • 성불 발원
  • 경장논장
    • 니까야
      • 디가니까야
      • 맛지마니까야
      • 쌍윳따니까야
      • 앙굿따니까야
      • 숫타니파타 집경
      • 담마빠다 법구경
      • 이띠붓따까
      • 우다나 자설경
    • 반야방등부
      • 반야심경
      • 금강경
      • 유마경
      • 승만경
      • 원각경
    • 정토&법화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보현보살행법경
    • 화엄부
      • 40화엄
      • 60화엄
      • 80화엄
      • 화엄경약찬게
      • 법성게
    • 논장
      • 청정도론
      • 아비달마구사론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기타
      • 42장경
      • 밀린다왕문경
      • 밀라레빠 십만송
    • 선어록
      • 중국선어록
      • 한국선어록
      • 마음수련
      • 경책모음
  • 불교학
    • 불교사
      • 인도불교사
      • 중국불교사
      • 한국불교사
      • 세계불교사
    • 초기불교
      • 초기불교 교학
      • 부처님 생애
      • 부처님제자들
    • 아비달마&유식
      • 아비달마구사론
      • 유식30송
      • 해심밀경
    • 반야&중관
      • 중론&백론&12문론
      • 중관학
    • 천태&화엄
      • 지관수행법
    • 표준과정
      • 종교학
      • 밀교
      • 계율학
      • 불교인물사전
      • 범어 티베트어
  • 법문모음
    • 한국 고승법어
      • 경봉선사
      • 만공선사
    • 전강선사
      • 전강선사 일대기
    • 송담선사
      • 참선기초 법문
    • 묘허스님
      • 노스님의 불교학
      • 노스님의 원각경
      • 찬집백연경
    • 정견스님
      • 신 윤회의 비밀
      • 불교기초교리
      • 간화결의문
      • 극락세계유람기
  • 시골스님
    • 강의
      • 불교학
      • 선어록
      • 역사
      • 인문학
      • 마음건강
    • 시골리포트
      • 계간 청암
      • 힙합반야심경
      • 전법학논문
      • 선방 안거
      • 홈페이지
      • 조계사어린이법회
      • 동국대선학과
    • 온갖리뷰
      • 도서
      • 영화
      • 시문학
    • 출간도서
    • 유튜브
  • 맵과 도표
  • 방명록
  • 자료실
소셜 로그인
naver kakao google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Trending
  •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 주장자 머리의 눈
  • 동국대, 대학생을 중심으로한 포교의 현장에서
  • 바다에 갔더니
  • 무주좌계산랑선사소영가대사산거서 영가답서
  • 동산양개화상사친서 두번째 편지 ②후서 後書
  • 로그인
  • 회원가입
아라마
Leaderboard Ad
  • HOME
  • 전통강원
    • 1학년 치문
      • 제경서문
      • 초발심자경문
      • 사미 사미니 율의
      • 치문
    • 2학년 사집
      • 선요
      • 도서
      • 서장
      • 절요
      • 육조단경
    • 3학년 사교
      • 원각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오가해
    • 4학년 대교
      • 60화엄
      • 80화엄경
    • 승가고시
      • 행자 5급
      • 사미사미니 4급
      • 비구비구니 3급
      • 공통필수
    • 스님들용
      • 석문의범 이해
      • 대중공양
      • 법문자료
  • 법당의례
    • 기본
      • 사찰방문 예절
      • Templestay
      • 의식용 찬불가 등
      • 조계종 표준우리말
    • 상용의례
      • 새벽
      • 사시
      • 오후
      • 저녁
      • 각단불공
    • 천도의
      • 49재
      • 천도재
      • 기재
      • 명절재사
    • 특별기도
      • 지장기도
      • 법화경기도
      • 참회기도
      • 주력&다라니
      • 108배 천배
    • 대중의례
      • 통알
      • 공양작법
      • 상강례
    • 독송용
      • 소원성취 장애극복
      • 지혜발원
      • 극락왕생 발원
      • 사업 이사 기도
      • 성불 발원
  • 경장논장
    • 니까야
      • 디가니까야
      • 맛지마니까야
      • 쌍윳따니까야
      • 앙굿따니까야
      • 숫타니파타 집경
      • 담마빠다 법구경
      • 이띠붓따까
      • 우다나 자설경
    • 반야방등부
      • 반야심경
      • 금강경
      • 유마경
      • 승만경
      • 원각경
    • 정토&법화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보현보살행법경
    • 화엄부
      • 40화엄
      • 60화엄
      • 80화엄
      • 법성게
      • 화엄경약찬게
    • 논장
      • 청정도론
      • 아비달마구사론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기타
      • 42장경
      • 밀린다왕문경
      • 밀라레빠 십만송
    • 선어록
      • 중국선어록
      • 한국선어록
      • 마음수련
      • 경책모음
  • 불교학
    • 불교사
      • 인도불교사
      • 중국불교사
      • 한국불교사
      • 세계불교사
    • 초기불교
      • 초기불교 교학
      • 부처님 생애
      • 부처님제자들
    • 아비달마&유식
      • 아비달마구사론
      • 유식30송
      • 해심밀경
    • 반야&중관
      • 중론&백론&12문론
      • 중관학
    • 천태&화엄
      • 지관수행법
    • 표준과정
      • 종교학
      • 밀교
      • 계율학
      • 불교인물사전
      • 범어 티베트어
  • 법문모음
    • 한국 고승법어
      • 만공선사
      • 경봉선사
    • 전강선사
      • 전강선사 일대기
    • 송담선사
      • 참선기초 법문
    • 묘허스님
      • 노스님의 불교학
      • 노스님의 원각경
      • 찬집백연경
    • 정견스님
      • 신 윤회의 비밀
      • 불교기초교리
      • 간화결의문
      • 극락세계유람기
  • 반야스님
    • 스님의 서재
    • 행복마음개발
    • 출간도서
    • 유투브
    • 인문학 독서
  • 방명록
  • 자료실
아라마
You are at:Home»경장논장»니까야»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43
By 아라마 on 2023년 12월 29일 니까야, 쌍윳따니까야, 경장논장

제2장 두 번째 품
Dutiya-vagga

무위 경(S43:12)
Asaṅkhata-sutta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무위와 무위에 이르는 길을 설하하겠다. 이제 그것을 들어라. 잘 듣고 마음에 새기도록 하여라. 나는 설하겠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을 받들었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인가?
비구들이여, 탐욕의 제거, 성냄의 제거, 어리석음의 제거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사마타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나는 그대들에게 무위와 무위에 이르는 길을 설하였다.
비구들이여, 제자들을 위해 베푸는 자인 스승이 행해야 하는 것을, 연민하기 때문에, 나는 그대들을 위해서 했다.
비구들이여, 여기 나무 밑이 있고, 빈집이 있다.
비구들이여, 삼매를 닦아라.
비구들이여, 방일하지 마라. 나중에 후회함(뉘우침)이 있게 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2) 위빠싸나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무위와 무위에 이르는 길을 설하겠다. 이제 그것을 들어라. 잘 듣고 마음에 새기도록 하여라. 나는 설하겠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을 받들었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인가?
비구들이여, 탐욕의 제거, 성냄의 제거, 어리석음의 제거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바구들이여, 위빠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나는 그대들에게 무위와 무위에 이르는 길을 설하였다.
비구들이여, 제자들을 위해 베푸는 자인 스승이 행해야 하는 것을, 연민하기 때문에, 나는 그대들을 위해서 했다.
비구들이여, 여기 나무 밑이 있고, 빈집이 있다.
비구들이여, 삼매를 닦아라.
비구들이여, 방일하지 마라. 나중에 후회함(뉘우침)이 있게 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3) 삼매 1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거친 사유가 있고 미세한 사유가 있는 삼매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미세한 사유만 있는 삼매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거친 사유도 없고 미세한 사유도 없는 삼매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 여기에서 ‘거친사유(vitakka.)’란 ‘vivtark’에 기원을 둔 말로, ‘사유하다. 사색하다. 헤아리다’의 어원적 의미를 가진다. 보통 ‘철학적으로 사색하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다. 또한 ‘미세한 사유(vicara)란 ‘vivcar’에 기원을 둔 말로, ‘맴돌다.사찰하다.조사하다’의 의미를 지닌다.
이들 두 용어는 본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첫 번째 선정에서의 심리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거친 사유의 작용’과 ‘미세한 사유의 작용’으로 대별된다.
“빠띠삼비다막가”의 마하박가(I.제25장 6절)에 보면 ‘두 번째 선정에 들어간 자에게는 거친 사유와 마세한 사유에 의한 언어적 현상(語行.어행)이 그친다(dutiyajjhanam samapannassa vitakkavicara vacfsankhara patippassadha honti…)’라는 구절이 나오는 바, 이를 통해 ‘vitakka’와 ‘vicara’는 언어적 사고의 영역 안에서 진행되는 마음의 작용을 의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PsA 에 따르면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사유한다는 것은 거친 사유이며, 사유함은 거친 사유이며, 추론이라 불리우는것은 거친 사유이다. 그것에 의해 마음이 의지하는 바(對象.대상) 안에서 맴도는 것이 미세한 사유이며, 배회하는 것이 미세한 사유이며. 따라 다니는 것이라 불리우는 것이 미세한 사유이다.

(4) 삼매 2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공한 삼매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표상없는 삼매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바램 없는 삼매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5) 염처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 보면서(이어 보면서) 머문다. 열렬함과 알아차림과 마음챙김을 지니고서, 세상에 대한 탐욕과 근심을 벗어나서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느낌에서 느낌을 따라가며 보면서 머문다. 열렬함과 알아차림과 마음챙김을 지니고서, 세상에 대한 탐욕과 근심을 벗어나서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마음에서 마음을 따라가며 보면서 머문다. 열렬함과 알아차림과 마음챙김을 지니고서, 세상에 대한 탐욕과 근심을 벗어나서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법에서 법을 따라가며 보면서 머문다. 열렬함과 알아차림과 마음챙김을 지니고서, 세상에 대한 탐욕과 근심을 벗어나서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6) 바른 노력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아직 생겨나지 않은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을 생겨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이미 생겨난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을 끊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아직 생겨나지 않은 선한 법을 생겨나게 하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이미 생겨난 선한 법을 바로 세우고, 혼란스럽지 않게 하며, 증장하고, 풍성케 하며, 닦고, 원만하게 하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7) 신통의 요소(성취수단)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바램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정진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마음의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관찰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8) 다섯가지 근(五根. 오근)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근[信根]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정진의 근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마음 챙김의 근[念根]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삼매의 근[定根]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혜의 근[慧根]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9) 다섯가지 힘(오력.五力)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信力)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정진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마음챙김의 힘(念力)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삼매의 힘(定力)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10) 깨달음의 요소(칠각지.(七覺支)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마음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念覺支.염각지]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법의 간택(법에 대한 선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擇法覺支.택법각지]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정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精進覺支.정진각지]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희열(기쁨)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喜覺支.희각지]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고요함(편안함)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輕安覺支.경안각지]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삼매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定覺支.정각지]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평정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捨覺支.사각지]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11) 팔정도 (성스러운 여덟 가지 바른 길)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사유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말(언어)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행위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생계(삶)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정진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마음챙김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위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삼매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위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

치우치지 않음 경(S43:13)
Anta-sutta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편향되지 않음과 편향되지 않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겠다. 이제 그것을 들어라. 잘 듣고 마음에 새기도록 하여라. 나는 설하겠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을 받들었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편향되지 않음인가?
비구들이여, 탐욕의 제거, 성냄의 제거, 어리석음의 제거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편향되지 않음이라고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편향되지 않음에 이르는 길인가?

<무위의 경과 같이 펼쳐져야 함.>

번뇌 없음 경 등(S43:14~43)
Anāsava-suttādi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번뇌 없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 이제 그것을 들어라. 잘 듣고 마음에 새기도록 하여라. 나는 설하겠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을 받들었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번뇌 없음인가?
비구들이여, 탐욕의 제거, 성냄의 제거, 어리석음의 제거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번뇌 없음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번뇌 없음에 이르는 길인가?
<무위의 경과 같이 펼쳐져야 함.>

진리와 진리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15) …
저 언덕과 저 언덕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16) …
미묘함과 미묘함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17) …
아주 보기 함든 것과 아주 보기 힘든 것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18) …
늙지 않음과 늙지 않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19) …
견고함과 견고함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0) …
허물어지지 않음과 허물어지지 않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1) …
드러나지 않음과 드러나지 않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2) …
분별 없음과 분별 없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3) …
평화로움과 평화로움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4) …
죽음 없음[不死]과 죽음 없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5) …
숭고함과 숭고함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6) …
경사스러움과 경사스러움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7) …
안은(安隱)과 안은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8) …
갈애의 멸진과 갈애의 멸진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29) …
경이로움과 경이로움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0) …
놀라움과 놀라움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1) …
재난 없음과 재난 없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2) …
재난 없는 법과 재난 없는 법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3) …
열반과 열반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4) …
병 없음과 병 없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5) …
탐욕의 사람짐과 탐욕의 사라짐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6) …
청정과 청정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7) …
벗어남과 벗어남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8) …
집착 없음과 집착 없음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39) …
섬과 섬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40) …
의지처와 의지처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41) …
피난처와 피난처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42) …

귀의처와 귀의처에 이르는 길을 설하리라.(S43:43) …
<위의 ⌜무위 경⌟(S43:12)과 같은 방법이 적용됨>

도피안 경(S43:44)
Parāyana-sutta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피안과 피안에 도달함에 이르는 길을 설하겠다. 이제 그것을 들어라. 잘 듣고 마음에 새기도록 하여라. 나는 설하겠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을 받들었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피안에 도달함인가?
비구들이여, 탐욕의 제거, 성냄의 제거, 어리석음의 제거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피안에 도달함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피안에 이르는 길인가?
비구들이여, 몸에 대한 마음 챙김이다. 느낌에 대한 마음 챙김이다. 마음에 대한 마음 챙김이다. 법에 대한 마음 챙김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피안에 도달함에 이르는 길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나는 그대들에게 피안에 도달함과 피안에 도달함에 이르는 길을 설하였다.
비구들이여, 제자들을 위해 베푸는 자인 스승이 행해야 하는 것을, 연민하기 때문에, 나는 그대들을 위해서 했다.
비구들이여, 여기 나무 밑이 있고, 빈집이 있다.
비구들이여, 삼매를 닦아라.
비구들이여, 방일하지 마라. 나중에 후회함(뉘우침)이 있게 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에게 주는 나의 간곡한 당부이다.”

무위 상윳따(S43)가 끝났다.

https://gikoship.tistory.com/15781187

0
Print 🖨

추천 잡아함경

관련 게시물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고소경덕사 운법사무학십문 병서 姑蘇景德寺雲法師務學十門 並序

고산원법사 면학편 상&하 孤山圓法師勉學篇 並序

43개의 댓글

  1. on 2025년 03월 24일 8:02 오전

    7ky13q

    Reply
  2. on 2025년 03월 21일 9:19 오후

    etqm5z

    Reply
  3. on 2025년 03월 21일 8:38 오후

    zpmhfb

    Reply
  4. on 2025년 03월 21일 8:27 오후

    uyyust

    Reply
  5. on 2025년 03월 02일 8:02 오후

    tpmbc1

    Reply
  6. on 2025년 02월 27일 9:20 오전

    nqu3qy

    Reply
  7. on 2025년 02월 17일 7:39 오전

    xccm59

    Reply
  8. on 2025년 02월 16일 1:19 오후

    y28ae9

    Reply
  9. on 2025년 02월 10일 10:21 오전

    kp18p1

    Reply
  10. on 2025년 02월 05일 1:45 오후

    twietm

    Reply
  11. on 2025년 01월 26일 2:06 오전

    e2ueqe

    Reply
  12. on 2025년 01월 24일 2:30 오후

    zhju0c

    Reply
  13. on 2025년 01월 19일 6:48 오전

    c3n6pr

    Reply
  14. on 2025년 01월 10일 6:08 오전

    yl3jpi

    Reply
  15. on 2025년 01월 08일 8:59 오후

    What’s up, off corse this article is realky good annd I have learned loot of things
    ffrom it regarding blogging. thanks.

    Reply
← Older Comments
Newer Comments →
Leave A Reply Cancel Reply

  • 인기글
  • 최신글
  • 추천글
서장 대혜선사
2024년 01월 20일

서장 대혜선사 행장 大慧禪師 行狀

2024년 03월 19일

고소경덕사 운법사무학십문 병서 姑蘇景德寺雲法師務學十門 並序

한국의 선맥
2024년 02월 12일

한국의 선맥

2024년 10월 19일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2024년 10월 19일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2024년 10월 10일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상강례
2023년 12월 30일

상강례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2023년 12월 29일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https://youtu.be/0QD7V74zDww
아라마 뉴스 레터

전통강원, 초기경전 등 ARAMA의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

아라마 캘린더

2025 May

월 화 수 목 금 토 일
1
2
3
4
5
  • 석가탄신일

    석가탄신일

    2025년 05월 05일

    (-)2025-0408

    상세 내용보기

  • 약사재일

    약사재일

    2025년 05월 05일

    (-)2025-0408

    상세 내용보기

• •
6
7
8
9
10
11
12
  • 동안거 결재

    동안거 결재

    2025년 05월 12일

    (-)2025-0415

    상세 내용보기

  • 보름

    보름

    2025년 05월 12일

    (-)2025-0415

    상세 내용보기

• •
13
14
15
  • 지장재일

    지장재일

    2025년 05월 15일

    (-)2025-0418

    상세 내용보기

•
16
17
18
19
20
21
  • 관음재일

    관음재일

    2025년 05월 21일

    (-)2025-0424

    상세 내용보기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84
  • 436
  • 175
카톡으로 문의하기
최신 글
  •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 최신글 전체보기
뉴스 레터

전통강원, 초기경전 등 ARAMA의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

아마라 후원

후원 : 농협 3021522870521 유반야

광고 문의 : withpanna@gmail.com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ARAMA All rights reserved.

Type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