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Menu
아라마
  • HOME
  • 전통강원
    • 1학년 치문
      • 제경서문
      • 초발심자경문
      • 사미 사미니 율의
      • 치문
    • 2학년 사집
      • 선요
      • 도서
      • 서장
      • 절요
      • 육조단경
    • 3학년 사교
      • 원각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오가해
    • 4학년 대교
      • 80화엄경
      • 60화엄
    • 승가고시
      • 행자 5급
      • 사미사미니 4급
      • 비구비구니 3급
      • 공통필수
    • 스님들용
      • 석문의범 이해
      • 대중공양
      • 법문자료
  • 법당의례
    • 기본
      • 사찰방문 예절
      • Templestay
      • 의식용 찬불가 등
      • 조계종 표준우리말
    • 상용의례
      • 새벽
      • 사시
      • 오후
      • 저녁
      • 각단불공
    • 천도의
      • 49재
      • 천도재
      • 기재
      • 명절재사
    • 특별기도
      • 지장기도
      • 법화경기도
      • 참회기도
      • 주력&다라니
      • 108배 천배
    • 대중의례
      • 통알
      • 공양작법
      • 상강례
    • 독송용
      • 소원성취 장애극복
      • 지혜발원
      • 극락왕생 발원
      • 사업 이사 기도
      • 성불 발원
  • 경장논장
    • 니까야
      • 디가니까야
      • 맛지마니까야
      • 쌍윳따니까야
      • 앙굿따니까야
      • 숫타니파타 집경
      • 담마빠다 법구경
      • 이띠붓따까
      • 우다나 자설경
    • 반야방등부
      • 반야심경
      • 금강경
      • 유마경
      • 승만경
      • 원각경
    • 정토&법화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보현보살행법경
    • 화엄부
      • 40화엄
      • 60화엄
      • 80화엄
      • 화엄경약찬게
      • 법성게
    • 논장
      • 청정도론
      • 아비달마구사론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기타
      • 42장경
      • 밀린다왕문경
      • 밀라레빠 십만송
    • 선어록
      • 중국선어록
      • 한국선어록
      • 마음수련
      • 경책모음
  • 불교학
    • 불교사
      • 인도불교사
      • 중국불교사
      • 한국불교사
      • 세계불교사
    • 초기불교
      • 초기불교 교학
      • 부처님 생애
      • 부처님제자들
    • 아비달마&유식
      • 아비달마구사론
      • 유식30송
      • 해심밀경
    • 반야&중관
      • 중론&백론&12문론
      • 중관학
    • 천태&화엄
      • 지관수행법
    • 표준과정
      • 종교학
      • 밀교
      • 계율학
      • 불교인물사전
      • 범어 티베트어
  • 법문모음
    • 한국 고승법어
      • 경봉선사
      • 만공선사
    • 전강선사
      • 전강선사 일대기
    • 송담선사
      • 참선기초 법문
    • 묘허스님
      • 노스님의 불교학
      • 노스님의 원각경
      • 찬집백연경
    • 정견스님
      • 신 윤회의 비밀
      • 불교기초교리
      • 간화결의문
      • 극락세계유람기
  • 시골스님
    • 강의
      • 불교학
      • 선어록
      • 역사
      • 인문학
      • 마음건강
    • 시골리포트
      • 계간 청암
      • 힙합반야심경
      • 전법학논문
      • 선방 안거
      • 홈페이지
      • 조계사어린이법회
      • 동국대선학과
    • 온갖리뷰
      • 도서
      • 영화
      • 시문학
    • 출간도서
    • 유튜브
  • 맵과 도표
  • 방명록
  • 자료실
소셜 로그인
naver kakao google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Trending
  •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 주장자 머리의 눈
  • 동국대, 대학생을 중심으로한 포교의 현장에서
  • 바다에 갔더니
  • 무주좌계산랑선사소영가대사산거서 영가답서
  • 동산양개화상사친서 두번째 편지 ②후서 後書
  • 로그인
  • 회원가입
아라마
Leaderboard Ad
  • HOME
  • 전통강원
    • 1학년 치문
      • 제경서문
      • 초발심자경문
      • 사미 사미니 율의
      • 치문
    • 2학년 사집
      • 선요
      • 도서
      • 서장
      • 절요
      • 육조단경
    • 3학년 사교
      • 원각경
      • 수능엄경
      • 대승기신론
      • 금강경 오가해
    • 4학년 대교
      • 60화엄
      • 80화엄경
    • 승가고시
      • 행자 5급
      • 사미사미니 4급
      • 비구비구니 3급
      • 공통필수
    • 스님들용
      • 석문의범 이해
      • 대중공양
      • 법문자료
  • 법당의례
    • 기본
      • 사찰방문 예절
      • Templestay
      • 의식용 찬불가 등
      • 조계종 표준우리말
    • 상용의례
      • 새벽
      • 사시
      • 오후
      • 저녁
      • 각단불공
    • 천도의
      • 49재
      • 천도재
      • 기재
      • 명절재사
    • 특별기도
      • 지장기도
      • 법화경기도
      • 참회기도
      • 주력&다라니
      • 108배 천배
    • 대중의례
      • 통알
      • 공양작법
      • 상강례
    • 독송용
      • 소원성취 장애극복
      • 지혜발원
      • 극락왕생 발원
      • 사업 이사 기도
      • 성불 발원
  • 경장논장
    • 니까야
      • 디가니까야
      • 맛지마니까야
      • 쌍윳따니까야
      • 앙굿따니까야
      • 숫타니파타 집경
      • 담마빠다 법구경
      • 이띠붓따까
      • 우다나 자설경
    • 반야방등부
      • 반야심경
      • 금강경
      • 유마경
      • 승만경
      • 원각경
    • 정토&법화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보현보살행법경
    • 화엄부
      • 40화엄
      • 60화엄
      • 80화엄
      • 법성게
      • 화엄경약찬게
    • 논장
      • 청정도론
      • 아비달마구사론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기타
      • 42장경
      • 밀린다왕문경
      • 밀라레빠 십만송
    • 선어록
      • 중국선어록
      • 한국선어록
      • 마음수련
      • 경책모음
  • 불교학
    • 불교사
      • 인도불교사
      • 중국불교사
      • 한국불교사
      • 세계불교사
    • 초기불교
      • 초기불교 교학
      • 부처님 생애
      • 부처님제자들
    • 아비달마&유식
      • 아비달마구사론
      • 유식30송
      • 해심밀경
    • 반야&중관
      • 중론&백론&12문론
      • 중관학
    • 천태&화엄
      • 지관수행법
    • 표준과정
      • 종교학
      • 밀교
      • 계율학
      • 불교인물사전
      • 범어 티베트어
  • 법문모음
    • 한국 고승법어
      • 만공선사
      • 경봉선사
    • 전강선사
      • 전강선사 일대기
    • 송담선사
      • 참선기초 법문
    • 묘허스님
      • 노스님의 불교학
      • 노스님의 원각경
      • 찬집백연경
    • 정견스님
      • 신 윤회의 비밀
      • 불교기초교리
      • 간화결의문
      • 극락세계유람기
  • 반야스님
    • 스님의 서재
    • 행복마음개발
    • 출간도서
    • 유투브
    • 인문학 독서
  • 방명록
  • 자료실
아라마
You are at:Home»법당의례»독송용»사업 이사 기도»천지팔양신주경경
천지팔양신주경경

천지팔양신주경경

581
By 아라마 on 2024년 01월 01일 사업 이사 기도, 독송용

우리말
이와 같이 법문하시는 것을 들었다. 한때 부처님께서 비야달마성의 조용한 곳에 계실 적에 여러 곳에서 따라 다니던 사부대중이 부처님을 향하여 둘러앉았다.
그때 대중가운데 있던 무애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합장하고 여쭈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이곳 염부주중생들이 번갈아가며 서로 출생하기를 옛적부터 지금까지 끊이지 아니하였으나, 유식한 사람은 적고 무식한 사람은 많으며 염불하는 사람은 적고 잡신에게 구하는 사람은 많고 계행을 지키는 사람은 적고 계행을 어기는 사람은 많으며 꾸준히 정진하는 사람은 적고 게으른 사람이 많으며 지혜 있는 사람은 적고 어리석은 사람은 많으며 장수하는 사람은 적고 단명한 사람은 많으며 선정을 닦는 사람은 적고 마음이 산란한 사람은 많으며 부귀한 자는 적은데 빈천한 자는 많고 온유한 사람은 적고 딱딱한 사람은 많으며 흥성하는 자는 적고 외로운 자는 많으며 정직한 자는 적은데 아첨하는 사람이 많으며 청렴하고 삼가는 사람은 적고 탐내고 흐릿한 사람은 많으며 보시하는 사람은 적은데 인색한 사람은 많고 신실한 사람은 적은데 허망한 사람이 많으며 세속은 천박하고 관법은 혹독하며 부역은 심하여 백성은 궁핍하고 어려워서 구하는 바가 얻어지지 아니함은 진실한 믿음이 아닌 사도를 보고 잘못되어서 이와 같은 고통을 겪는 듯하니 바라옵건대 세존께서 이 사견이 잘못된 중생들을 위하여 올바른 법문을 설하셔서 잘못된 것을 깨닫고 모든 고통을 면하게 하여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좋다 무애보살아, 네가 큰 자비로서 소견이 잘못된 중생들을 위해 불가사의한 여래의 바른 법을 물으니 너희들은 자세히 듣고 깊이 생각하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천지팔양경을 해설하리라. 이경은 과거의 모든 부처님께서도 말씀하셨고 미래의 모든 부처님께서도 마땅히 말씀하실 것이요. 현재 계신 부처님들도 말씀하시니라. 이 하늘과 땅 사이에는 사람이 가장 뛰어나고 높으니 모든 만물 중에 귀한 것이니 사람은 바르고 참되어야 하고 마음에는 허망함이 없어야 하며 몸은 바르고 참된 일을 행해야 하느니 왼편으로 삐친 획은 (人) 바르다는 뜻이요 오른편으로 삐친 획은 참되다는 뜻이니 항상 바르고 참된 일을 행해야 함으로 사람이라 이름 하느니라. 그러므로 사람은 능히 도를 넓히고 도는 몸을 윤택케 하는 것이니 도를 의지하고 사람을 의지하면 모두 성인의 도를 이루느니라.
또 무애보살아, 모든 중생이 이미 사람 몸을 얻었지만 복을 닦지 못하고 참된 것을 등지고 여러 가지 나쁜 업만 지었음으로 장차 목숨이 마칠 때에 고생의 바다에 빠져서 여러 가지 죄를 받게 되나니, 만약 이 경을 듣고 믿는 마음을 거역하지 아니하면 즉시 모든 죄의 어려움에서 벗어나고 고생의 바다에서 빠져나와 선신의 보호를 받아 모든 장애가 없어지고 수명이 연장되어 오래살고 일찍 죽는 일이 없어질 것이니, 이 믿는 힘만으로도 이와 같은 복을 받게 되거늘 하물며 어떤 사람이 이 경을 전부 쓰거나 받아서 지녀 읽고 외우고 법처럼 수행하면 그 공덕은 이루 말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고 한이 없어서 목숨이 마친 뒤에는 부처를 이루게 되리라.”

부처님께서 무애보살마하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어떤 중생이 사도를 믿는 소견으로 잘못되면 곧 마귀 같은 외도를 입어 도깨비나 괴상한 새의 울음소리와 온갖 괴물과 악한 귀신들이 번갈아 와서 시끄럽고 귀찮게 할 것이며 나쁜 종기나 전염병 등 여러 가지 나쁜 횡액과 병을 주어서 고통을 쉬지 않고 받게 될 것이니 만일 선지식을 만나서 이 경을 세 번만 읽어주면 그런 악한 귀신들은 모두 소멸되고 병이 낫고 몸이 건강해져 힘이 날 것이니 이 경을 읽는 공덕으로 이와 같은 복을 얻게 되느니라.
만약 어떤 중생이 음욕과 성냄과 어리석은 생각과 몹시 욕심내고 시기하는 마음이 많더라도 만약 이 경을 보고 믿고 공경하고 공양하며 세 번만 읽으면 어리석고 미욱함이 없어지고 자비를 베풀게 되므로 불법의 복을 얻게 되느니라.”

“또 무애보살아, 만일 선남자선여인이 불법을 위하여 좋은 일을 하려 할 때에 먼저 이 경을 세 번 읽고 담장을 쌓거나 터를 다지거나 집을 짓거나 안채나 바깥채나 동쪽 서쪽 행랑이나 주방과 객실을 고치거나 문을 내고 우물을 파고 아궁이를 고치고 방아를 놓고 곳간을 짓고 육축의 우리를 만들더라도 일유신과 월살귀와 장군태세와 황번표미와 오방지신과 청룡백호 주작현무와 육갑금휘와 십이제신과 토위 복룡과 모든 귀신과 도깨비들이 다 숨거나 다른 곳으로 도망가며 형상과 그림자까지도 없어지고 해치지 못할 것이며 모든 일이 대길해져서 한량없는 복을 얻으리라.
선남자야, 공을 들인 이 후에는 집안이 평안하고 가옥이 견고하며 부귀영화를 구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이루어지며 혹 먼 길을 가거나 군에 입대해서 벼슬을 구하거나 장사를 하려해도 마땅히 많은 이익을 얻게 되며 가문이 흥하여 사람이 귀히 되고 대대손손 아비는 자비롭고 아들은 효도하며 남자는 충성하고 여자는 정결하며 형은 우애롭고 아우는 공손하며 부부는 화목하고 친척 간에는 신의가 있으며 바라는 바가 다 이루어질 것이다.
만약 어떤 중생이 관에 잡혀 매달리게 되었거나 도적에게 잡혀 가더라도 이 경을 세 번 읽으면 곧 풀려남을 얻으리라.
만약 선남자선여인이 천지팔양경을 받아서 지니거나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해 쓰고 베낀다면 물이나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고 떠내려가지 않으며 혹 험한 산에 있더라도 범이나 이리에게 꼼짝 못하게 되어 할퀴거나 물지 못하게 선신이 보호하여 지켜주며 위없는 도를 이루게 되리라.
또한 어떤 사람이 망령된 말과 꾸며대는 말과 욕설과 이간하는 말을 많이 하더라도 능히 이 경을 수지 독송하며 네 가지 허물이 없어지고 네 가지 무애변을 얻어서 불도를 이룰 것이며, 만일 선남자 선여인 등이 부모가 죄를 짓고 죽어서 지옥에 떨어져 많은 고통을 받게 되었다면 그 아들이 곧 부모를 위하여 이 경을 일곱 번 읽으며 그 부모는 즉시 지옥에서 풀려나 천상에 태어날 것이며 부처님 법문을 듣고 깨달아 무생법인을 얻어 불도를 이룰 것이니라.”

부처님께서 무애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비바시 부처님 때에 어느 우바새 우바이가 사교를 믿지 않고 불법을 공경하고 받들어 이 경을 쓰고 베껴서 지니고 읽고 외우며 모름지기 하고 또 하면서 한 번도 의문하지 않고 올바로 믿은 고로 보시를 같이 행하고 고르게 공양하고 몸의 정결함을 얻어 부처를 이루었나니 그 호를 보광여래응정등각이라 하고 겁명은 대만이며, 국호는 무변이니 단, 그 백성들이 보살도를 행하였고 법을 얻지는 못하였다.
또 무애보살아, 이 천지팔양경이 이 세상에 있을 때, 있는 곳마다 팔보살과 모든 범천왕과 일체 신명들이 이 경을 둘러싸고 호위하며 향과 꽃으로 공양하기를 부처님과 같이 하느니라.”

부처님께서 무애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선남자선여인이 중생을 위하여 이 경을 풀이하여 말함으로 실상을 깊이 깨달고 깊은 이치를 얻게 된다면 그 몸이 곧 부처의 몸이요 그 마음이 곧 부처의 마음이니라.
그렇게 능히 아는 바가 곧 지혜이므로 눈으로는 항상 여러 가지 한없는 색을 보거든 색이 곧 공이고 공이 곧 색이니 느낌도 생각도 행함도 앎도 역시 공이므로 이것이 곧 묘색신여래이며, 귀로 항상 여러 가지 한없는 소리를 듣거든 소리가 곧 공이고 공이 곧 소리이므로 이것이 곧 묘음성여래이며, 코로 항상 여러 가지 한없는 냄새를 맡거든 냄새가 곧 공이고 공이 곧 냄새이므로 이것이 곧 향적여래이며, 혀로 항상 여러 가지 한없는 맛을 알거든 맛이 곧 공이고 공이 곧 맛이 되므로 이것이 곧 법희여래이며, 몸으로 항상 여러 가지 한없는 감촉을 느끼거든 감촉이 곧 공이고 공이 곧 감촉이므로 이것이 곧 지승여래이며, 뜻으로 항상 여러 가지 한없는 법을 생각하고 분별하거든 법이 곧 공이고 공이 곧 법이므로 이것이 곧 법명여래니라.
선남자야, 이 육근이 나타나되 사람들이 모두 입으로 항상 착한 말을 해서 착한 법이 늘 전하여지면 곧 성인의 도를 이루는 것이고 사도의 말을 해서 나쁜 법이 늘 전하여지면 지옥에 떨어지게 되느니라.
선남자야, 선악의 이치가 있음을 틀림없이 믿어야 하느니라.
선남자야, 사람의 몸과 마음이 불법을 담는 그릇이며 역시 십이부의 큰 경전이거늘 아득한 옛적부터 현재까지 다 읽지 못하였으며 터럭만치도 건드리지 못하였으니 이 여래장경은 마음을 알고 성품을 본 사람만이 아는 것이요 성문이나 범부들은 알지 못하느니라.
선남자야, 이 경을 읽고 외워서 깊은 진리를 깨치면 이 몸과 마음이 곧 불법을 담는 그릇인줄 알지만 만약 술에 취해서 깨지 못한 것 같이 마음이 불법의 근본이 된다는 것을 모르고 여러 갈래로 방황하면서 악한 길로 떨어져서 영원히 고통의 바다에 빠지게 되고 불법의 이름조차 듣지 못하느니라.”
그때의 오백천인들의 대중 가운데에서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법안이 밝아짐을 얻고 모두 다 크게 기뻐하고 즐거워하며 그 즉시로 더할 바가 없고 비교할 수 없는 아뇩다라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켰다.

무애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사람이 이 세상에 있으면서 태어나고 죽는 일이 가장 중하다고 하겠으나 출생 시에도 택일을 하지 못하고 때가 되면 태어나게 되고 죽을 때에도 택일을 하지 못하고 때가 되면 죽게 되거늘 어찌하여 염하거나 장사지낼 때에는 길일을 묻고 택해서 염을 하고 장사지내건만 그렇게 한 후에도 오히려 해가 되어 빈궁한 사람이 많고 가문이 멸망하는 일까지 적지 않으니 원하옵건대 세존께서 소견이 잘못된 모든 무지의 중생을 위해 그 인연을 말씀해 주셔서 바른 견해를 얻어 가져서 그 뒤바뀜을 없애주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그렇다 그렇다. 선남자야, 네가 능히 중생들의 태어남과 죽는 일, 염하는 것과 장사지내는 법을 물으니 너희들은 자세히 들으라. 너를 위해 지혜로운 이치와 대도의 법을 말하노라.
대개 하늘과 땅은 넓고 맑으며 해와 달은 항상 밝아 어느 해 어느 시간이나 좋고 아름답기만 하여 실로 다름이 없다.
선남자야, 인왕보살이 큰 자비로 중생들을 불쌍히 여기시기를 벌거숭이 자식같이 하여 스스로 백성의 부모가 되셔서 세속사람들을 쫒아 세속 법을 가르치려 일역을 만들어 천하에 나누어 주어 절후를 알게 하였는데 만, 평, 성, 수, 개, 제, 집, 위, 파, 살, 이란 글자를 어리석은 사람들이 글자대로 믿고 의지하여 사용하면 흉화를 면하는 줄로 알고 또 사도를 하는 사람들은 이 그릇된 도를 부연하여 말하니 쓸데없이 사신에게 구하고 아귀에게 절하다가 오히려 재앙을 불러들여 고통을 받는 것이니 그런 사람들의 무리를 하늘과 시절에 배반되고 땅과 이치에 어긋나며 해와 달의 밝은 빛을 등지고 항상 어두운 곳으로 가는 것이며 바른 도의 넓은 대로를 버리고 항상 사도의 좁은 길을 찾으니 뒤바뀐 소견이 심한 까닭이니라.
선남자야, 해산하려 할 때 이 경을 세 번 읽으면 아기를 순산하고 크게 길할 것이며 총명하고 지혜롭고 복덕을 갖추고 일찍 요절하는 일이 없을 것이요.
죽으려 할 때 이 경을 세 번 읽으면 조금도 방해가 없고 한량없는 복덕을 얻느니라.
선남자야, 날마다 좋은 날이요 달마다 좋은 달이요 해마다 좋은 해이니 실로 막힘없는 날들이라 언제든지 염하고 장사지내도 좋지만 단 모름지기 염하고 장사지내는 날에 애써서 이 경을 일곱 번 읽어주면 크게 길하고 이로워서 한량없는 복을 받을 것이며 가문이 영화롭고 사람은 귀히 되고 수명이 길어지고 명이 다하는 날에는 성인의 도를 이루게 되느니라.
선남자야, 염하고 장사지내는 곳을 동서남북 묻지 말고 편안한 자리를 구하면 되니 사람이 좋아하는 곳이면 귀신도 좋아하는 것이다.
이 경을 세 번 읽고 지을 곳을 닦아 편하게 묘를 쓰고 묘전을 마련하면 재앙은 영원히 사라지고 집은 부하게 되고 사람은 흥하여 크게 길하고 이로울 것이다.”
그때 부처님께서 그 뜻을 중요하게 당부하시고자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삶을 누릴 때가 좋은 날이요 장사지내는 그 날마저 좋은 때라. 태어날 때와 죽을 때에 이 경을 읽으면 크게 길하고 이로우며 복을 받으리. 달마다 좋은 달이요 해마다 좋은 해이다. 이 경을 읽고 장사지내면 천추만대에 영화롭고 창성하리라.’
그때에 대중 가운데 칠만 칠천 명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마음이 열리고 뜻을 이해하여 사도를 버리고 정도로 돌아와 불법을 얻어서 영원히 의혹을 끊고 모두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마음을 내었다.

무애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모든 범부가 혼인을 하려할 때 먼저 조건이 맞는가를 물어보고 그 후에 길일을 택해서 혼례를 치루지만 결혼한 후에 부귀하여 해로하는 사람은 적고 빈궁하게 살다가 이별하고 사별하는 사람이 많으니 똑같이 삿된 말을 믿거늘 어찌하여 이와 같은 차별이 있습니까? 원하옵건대 세존께서 중생의 의문을 풀어주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너희들을 위해 설명하리니 자세히 들으라. 하늘은 양이고 땅은 음이며 해는 양이고 달은 음이며 남자는 양이고 여자는 음이니 하늘과 땅의 기운이 합해서 온갖 초목이 나고 해와 달이 서로 옮김으로 사시 팔절이 생기며 불과 물이 서로 수순하여 모든 만물이 자라고 남녀가 서로 화합하여 자손이 번성하는 것이니 모두가 하늘과 땅의 상도라 자연의 이치며 세속의 법인 것이다.
선남자야, 어리석은 사람은 지혜가 없어서 사도하는 사람을 믿고 점치고 길하기를 바라고 선한 일을 닦지 않고 여러 가지 악한 업만 짓다가 목숨이 다한 후에 다시 사람으로 태어나는 자는 손톱 끝에 흙과 같고 지옥에 떨어져 아귀나 축생으로 생겨나는 자는 큰 땅덩어리의 흙과 같으니라. 선남자야, 다시 사람 몸 얻은 자도 바른 일을 믿고 착한 일을 하는 사람은 마치 손톱 끝에 흙과 같으나 나쁜 일을 하고 사도를 믿으면 큰 땅덩어리의 흙과 같으니라.
선남자야, 결혼을 하려고 할 때에 물과 불이 상극이고 포태가 서로 안 맞거나 나이가 맞지 않는다고 따지고 묻지 말고 녹명서를 보면 복덕이 많고 적은 것을 알 수 있으니 그것으로 권속을 삼되 불러들여 맞이하는 날에 이 경을 세 번 읽고 성례를 하면 좋은 일만 항상 거듭되고 광명이 서로 모여서 가문이 높아지고 사람은 귀히 되며 자손은 흥성하되 총명하고 지혜롭고 재주 있고 솜씨 좋고 효도하고 공경 잘하며 대대로 이어가면서 크게 길하고 이로울 것이니 명이 짧아서 요절하는 일이 없고 복덕이 풍성하고 모두 불도를 이루리라.

그때에 여덟 보살이 부처님의 위신을 받아서 대총지를 얻고도 항상 인간 세상에 있으면서 티끌 같은 광명을 화하고 사생팔해의 도를 바로 세워 사도를 파하고 다른 이와 스스로 달리하지 아니하니 그 이름을 말하니 발타라보살누진화, 나린갈보살누진화, 교목도보살누진화, 나라달보살누진화, 수미심보살누진화, 인저달보살누진화, 화륜조보살누진화, 무연관보살누진화이다.
이 여덟 보살이 함께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이 모든 부처님 처소에서 받은 다라니 주문을 지금 말해서 천지팔양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는 사람을 옹호해서 영원히 공포를 없게 하고 또 모든 좋지 않은 것들을 없게 하여 이 경을 읽는 법사를 침범하여 손해를 얻지 않게 하겠나이다.” 하고 곧 부처님 앞에서 주문을 외웠다.
<아거니 니거니 아비라 만례 만다례>
“세존이시여, 만약 착하지 않은 자가 법사에게 와서 귀찮게 하려고 하면 나의 이 주문을 듣고는 머리가 일곱 쪽으로 깨어져서 아리나무가지 같이 되게 하리다.”

그때에 무변신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전에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천지팔양경이라 하옵니까? 원하옵건대 세존께서 그 뜻을 말씀하셔서 모든 청중들로 하여금 그 뜻을 깨달아서 빨리 마음의 근본을 통달하고 부처님의 지견에 들어가 의심을 끊게 하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선남자야, 너희들은 자세히 들으라. 지금 내가 너희들을 위하여 천지팔양경의 뜻을 분별해서 설명하리라.
天은 양이요 地는 음이며 八은 분별이고 陽은 분명히 안다는 뜻이니 대승의 하염없는 이치를 분명히 알아서 팔식인연이 공하여 얻을 것이 없음을 잘 분별하라는 것이니라.
또한 八식은 날(經)이 되고 陽명은 씨(緯)가 돼서 날과 씨가 서로 어울려서 경전을 이룬 까닭에 팔양경이라 하느니라.
八자는 八식임으로 육근(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으로 된 여섯 식과 함장식과 아뢰야식을 합해 팔식이라 하거늘 팔식의 근원을 분명히 분별하면 아무것도 없는 공한 것이다.
그런즉 알기를, 두 눈은 광명천이니 광명천 가운데서 일월광명세존을 나타내고, 두 귀는 성문천이니 성문천 가운데서 무량성여래를 나타내며, 두 코는 불향천이니 불향천 가운데서 향적여래를 나타내고, 입에 혀는 법미천이니 법미천 가운데서 법희여래를 나타내며, 몸은 노사나천이니 노사나천 가운데서 성취노사나불과 노사나경사불 노사나광명불을 나타내고, 뜻은 무분별천이니 무분별천 가운데서 부동여래대광명불을 나타내고, 마음은 법계천이니 법계천 가운데서 공왕여래를 나타내며, 함장식천은 아나함경과 대반열반경을 연출하고, 아뢰야식천은 대지도론경과 유가론경을 연출하느니라.
선남자야, 불佛이 곧 법이고 법이 곧 불佛이니 합해서 한 모양이 되어 대통지승여래를 나타내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실 때에는 온 땅이 여섯 가지로 진동하고 광명이 하늘과 땅에 비쳐서 끝이 없이 호호탕탕(끝없이 넓고 넓다)하여 무어라고 이름 할 수 없었으며 모든 어둠이 모두 다 사라져 밝아지고 온갖 지옥이 일시에 소멸해서 모든 죄인이 고통 면함을 얻었다.
그때에 대중가운데 있던 팔만팔천보살이 함께 일시에 성불하였으니 그 호는 공왕여래응정등각이고 겁명은 이구겁이며 국호는 무변이니, 온갖 백성들이 다 보살의 육바라밀을 행해서 너 나 할 것 없이 무쟁삼매를 증득하여 더 얻을 바가 없는데 이르렀고 육만 육천 비구와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들은 대총지를 얻어 불이법문에 입문하여 수없는 천룡, 야차와 건달바와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와 사람인듯 하면서 사람이 아닌 사람 등은 진리의 눈이 깨끗함을 얻어 보살도를 행하였다.

“선남자야, 만약 또 어떤 사람이 벼슬을 하여서 부임하는 날에나 새집에 들어 갈 때에 이 경을 세 번만 읽으면 크게 길하고 유익하여 선신이 가호하고 수명이 연장되어 장수하고 복덕이 풍성하리라.
선남자야, 만약 이 경을 한번만 읽어도 모든 경을 한번 읽은 것과 같고, 만약 이 경을 한권만 베껴도 모든 경을 한번 베낀 것과 같아서 그 공덕은 말할 수 없고 한량이 없으며 허공과 같이 끝이 없어 성스런 도의 결실을 이루느니라.
또 무변신보살마하살아, 만약 어떤 중생이 정법은 믿지 않고 항상 사견만 내다가 홀연히 이 경을 듣고 즉시 비방하여 부처님 말씀이 아니라고 한다면 이 사람은 금생에 나병을 얻어 온 몸에 더러운 창질이 생겨 피고름이 흘러 악취를 풍겨서 사람들의 미움을 받다가 명이 다한 날에 아비무간지옥으로 떨어져 위에 붙은 불은 아래로 내려 뿜고 아래에서 붙은 불은 위로 올려 뿜으며 쇠창으로 온 몸을 찌르며 구리 녹인 물을 입에 부으니 뼈와 힘줄이 녹아서 문드러지며 하루 낮과 하루 밤사이 만 번 죽고 만 번 살아나니 큰 고통을 쉴 새 없이 받으니 이 경을 비방한 연고로 이와 같은 죄를 받느니라.”
부처님께서 죄인을 위해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이 몸은 자연으로 생긴 몸이니 머리와 사지도 자연으로 갖추었고 자라기도 자연히 자랐으며 늙는 것도 자연히 늙었도다. 나는 것도 자연히 생겨났으니 죽는 것도 자연히 죽으리라. 키가 크기를 구하여도 크지 않으니 적어지기를 구한다고 적어질까. 괴로움과 즐거움도 네가 받고 잘못되고 잘되는 것도 네게 달렸으니 좋은 공덕 지으려거든 이 경을 묻지 말고 스승으로 삼아 읽고 천추만대 득도하여 법을 전하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함을 다 마치시니 모든 대중이 아직까지 있어본 적이 없는 기쁨을 얻어서 마음이 밝아지고 뜻이 깨끗해져서 즐거워 뛰면서 모든 모양이 참모양이 아닌 줄을 알아 부처님의 지견을 알아 입문하여 부처님의 지견을 깨달았으나 입문한 것도 없고 깨달은 것도 없으며 아는 것도 없고 본 바도 없으매 한 가지 법도 얻은 게 없음이 즉 열반의 즐거움이니라. -천지팔양신주경 끝.

0
Print 🖨

천지팔양신주경 개업

관련 게시물

대방광불화엄경 입부사의해탈경계 보현행원품 普賢行願品

대방광불화엄경 입부사의해탈경계 보현행원품 普賢行願品

묘법연화경 여래수량품 제16  如來壽量品 第十六

묘법연화경 여래수량품 제16 如來壽量品 第十六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 觀世音菩薩普門品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 觀世音菩薩普門品

581개의 댓글

  1. on 2025년 05월 08일 9:37 오후

    Appreciated this entry. It’s so detailed and filled with helpful information. Many thanks for providing such valuable content.

    Reply
  2. on 2025년 05월 08일 2:48 오전

    猫に小判

    Reply
  3. on 2025년 05월 07일 7:53 오후

    goregasm

    Reply
  4. on 2025년 05월 06일 7:24 오후

    口は災いの元

    Reply
  5. on 2025년 05월 06일 9:13 오전

    Excellent web site you have here.. It’s hard to find good quality writing like yours nowadays. I honestly appreciate individuals like you! Take care!!

    Reply
  6. on 2025년 05월 04일 8:55 오전

    This makes so much sense now

    Reply
  7. on 2025년 05월 02일 2:23 오후

    Really appreciate your perspective

    Reply
  8. on 2025년 04월 30일 2:39 오전

    This text is worth everyone’s attention. How can I find out more?

    Reply
  9. on 2025년 04월 27일 8:36 오후

    I can definitely see the logic behind your point of view, and it aligns closely with an article I recently read on http://taisunwin.deals/. It adds even more perspective to this discussion.

    Reply
  10. on 2025년 04월 25일 12:52 오전

    I totally agree with this comment. It’s a view that I’ve come across on https://wi88club.pro/, and I think it’s one worth paying attention to, given the solid arguments behind it.

    Reply
  11. on 2025년 04월 24일 4:42 오후

    I agree with this viewpoint completely. I’ve also read a similar analysis on https://fa88.deal/, and I think it adds valuable insights to this ongoing conversation.

    Reply
← Older Comments
Leave A Reply Cancel Reply

  • 인기글
  • 최신글
  • 추천글
서장 대혜선사
2024년 01월 20일

서장 대혜선사 행장 大慧禪師 行狀

2024년 03월 19일

고소경덕사 운법사무학십문 병서 姑蘇景德寺雲法師務學十門 並序

한국의 선맥
2024년 02월 12일

한국의 선맥

2024년 10월 19일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2024년 10월 19일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2024년 10월 10일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상강례
2023년 12월 30일

상강례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2023년 12월 29일

번뇌 없음의 경(S43:12 ~ S43:44 )

https://youtu.be/0QD7V74zDww
아라마 뉴스 레터

전통강원, 초기경전 등 ARAMA의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

아라마 캘린더

2025 May

월 화 수 목 금 토 일
1
2
3
4
5
  • 석가탄신일

    석가탄신일

    2025년 05월 05일

    (-)2025-0408

    상세 내용보기

  • 약사재일

    약사재일

    2025년 05월 05일

    (-)2025-0408

    상세 내용보기

• •
6
7
8
9
10
11
12
  • 동안거 결재

    동안거 결재

    2025년 05월 12일

    (-)2025-0415

    상세 내용보기

  • 보름

    보름

    2025년 05월 12일

    (-)2025-0415

    상세 내용보기

• •
13
14
15
  • 지장재일

    지장재일

    2025년 05월 15일

    (-)2025-0418

    상세 내용보기

•
16
17
18
19
20
21
  • 관음재일

    관음재일

    2025년 05월 21일

    (-)2025-0424

    상세 내용보기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0
  • 821
  • 175
카톡으로 문의하기
최신 글
  • 문수동자(文殊童子)와 어사 박문수
  • 목마 타고 승천한 동자(童子) – 칠불암 아자방
  • 작아도 가볍게 볼수 없는 것 네가지
- 최신글 전체보기
뉴스 레터

전통강원, 초기경전 등 ARAMA의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

아마라 후원

후원 : 농협 3021522870521 유반야

광고 문의 : withpanna@gmail.com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ARAMA All rights reserved.

Type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