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수익은 전액 홈페이지 운영에 사용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오타 혹은 오류사항이 있는 게시글에 댓글을 달아주세요. 신고도 환영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디가니까야 DN15. 인연의 큰 경

 

인연의 큰 경 - 대인연경(大因緣經. Mahanidana sutta. D15)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꾸루(지금의 델리 근처)에서 깜마사담마 라는 꾸루들의 성읍에 머물고 계셨다. 그 무렵 아난다

존자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경의를 표하고 난 뒤에 한 곁에 앉았다. 아난다 존자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불가사의합니다. 

세존이시여. 연기(緣起)는 참으로 심오하고도 심오한듯 생각됩니다. 그리고 제게는 명료한 것과 같이 생각됩니다."

"아난다여, 그와 같이 말하지 말라.

아난다여, '연기는 참으로 심오하고도 심오한듯 생각됩니다. 그리고 제게는 명료한 것과 같이 생각됩니다.'라고 그렇게 말하지 말라. 

아난다여, 법을 완전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엉킨 실타래처럼 되고 먼지덩어리처럼 되고, 엉킨 문자 풀처럼 되어 고통스러운 곳, 불행한 곳, 험난한 곳,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다.

 

2.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늙음·죽음(老死)이 있습니까?' 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늙음·죽음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는다면 '태어남을 조건으로 하여 늙음·죽음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태어남(生)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그는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태어남이 있습니까?' 라고 질문을 받으면 존재[有][1]를 조건으로 하여 태어남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존재가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존재가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집착[2]을 조건으로 하여 존재가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집착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집착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갈애[3]를 조건으로 하여 집착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갈애가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갈애가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느낌(受)을 조건으로 하여 갈애가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느낌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느낌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감각접촉(觸)을 조건으로 하여 느낌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감각접촉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감각접촉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정신·물질[名色][4]을 조건으로 하여 감각접촉이 있습니다.'[5]라고 대답해야 한다.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정신·물질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정신·물질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의식(識)를 조건으로 하여 정신·물질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아난다여, '조건이 있기 때문에 의식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 만일 '그러면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의식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하여 의식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해야 한다.[6]

 

[1] 청정도론 등의 주석서는 ‘업으로서의 존재(業有)’ 와 ‘재생으로서의 존재(生有)’의 두 가지가 있다고 설명한다. 업으로서의 존재는 '의도와, 의도와 관련된 탐욕 등의 없이'라고 불리는 법들을 말하며, 존재로 인도하는 업은 모두 업으로서의 존재이다. 재생으로서의 존재는 업에서 생긴 무더기들 즉 오온을 말하며 중생이라는 존재와 개체를 말한다. 
[2] 집착은 주석서들에는 감각적 욕망에 대한 집착, 견해에 대한 집착, 계율과 의식에 대한 집착, 자아의 교리에 대한 집착의 넷을 들고 있다.
[3] 갈애(渴愛)는 여성명사로 기본적으로는 갈증, 목마름 등을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주로 愛로 옮겼으나 우리는 어원을 살려서 갈애로 옮긴다. 갈애는 각각의 갈애가 일어나는 형태에 따라 ①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慾愛) ②존재에 대한 갈애(有愛) ③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갈애(無有愛)의 셋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눈, 귀 등의 일어나는 장소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렇게 해서 18가지가 되고 안팎의 각각으로 36가지가 되고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모두 108가지가 된다. 
[4] 본래 정신(nama, 名)은 느낌, 인식, 상카라들, 의식[受想行識]의 네 가지 무더기[四蘊]를 뜻하고 물질(rupa, 色)은 물질의 무더기(色蘊)를 의미한다. 그러나 청정도론에서 “정신(nama, 名)이란 대상을 향하여 기울기 때문에 느낌 등 세 가지 무더기들을 뜻한다. 물질이란 네 가지 근본물질들과 그 네 가지 근본물질에서 파생된 물질들이다.”(XVII.187)라고 정의하듯이 연기각지(緣起各支)로서의 정신은 느낌·인식·상카라(受.想.行)의 3온만을 의미한다고 주석서들은 말한다. 의식(識)는 따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5] 여기서는 12(十二) 연기의 여섯 감각장소(六入)가 빠지고 바로 감각접촉은 정신·물질에 조건 지워졌다(名色緣觸)고 나타난다. 이것이 본경에서 설하는 연기법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주석서는 '①조건이 일어남의 특별함과 ②남은 조건의 특별함을 보여주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결론으로 ‘조건의 근본원인(nidana, 본경의 제목임)을 보여주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달리 말하면, 여섯 감각장소를 넣어 버리면 감각접촉이 모두 여섯 감각장소만을 조건한 것처럼 보여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감각접촉은 반드시 여섯 감각장소만을 조건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삼사화합생촉(三事和合生觸, 감각기능(根), 대상(境), 알음알이(識), 셋의 화합으로 감각접촉이 생긴다)에서 보듯이 12처 가운데 안.이.비.설.신.색.성.향.미.촉의 10가지와 법의 일부는 물질(色)이고 의(意, mano)와 6식은 정신(名)이니, 오히려 정신·물질(名色)을 조건하여 감각접촉이 있다고 하는 것이 근본원인(nidana)을 드러내는데 훨씬 분명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육입을 제외시겼다는 주석서의 설명이다. 조금 산만하겠지만 중요한 부분이므로 주석서와 복주서의 해당 부분을 직역한다.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하여 감각접촉이 있다고 했다. 그것은 ‘여섯 감각장소(六入)를 조건으로 하여 감각접촉이 있다.’라고 설하게 되면 눈의 감각접촉 등 여섯 가지의 과보로 나타난 감각접촉만을 취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 [본경]에서는 ‘여섯 감각장소를 조건으로 하여’라는 이런 구문을 취하거나 취하지 않거나 간에 ①조건이 일어남의 특별함과 ②여섯 감각장소 이외에도 감각접촉의 남은 조건의 특별함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그래서 [여섯 감각장소를 조건으로 라는 구문을 생략하여] 이렇게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하여 감각접촉이 있다]고 말씀하셨다고 알아야 한다. 그러면 이런 방법으로 세존께서는 무엇을 말씀하시는가? 조건들의 근본원인(nidana)을 말씀하신다. 왜냐하면 이 경은 조건 가운데서 헝클어진 것을 없애고 잡목을 제거한 뒤에 말씀하셨기 때문에 ‘근본원인에 대해 길게 설하신 [경](mahanidana, 大因緣)’이라 불리기 때문이다여기에 대해서 복주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취하거나’라는 것은 여섯 가지의 과보로 나타난 감각접촉이다. ‘취하지 않거나’라는 것은 과보로 나타난 감각접촉이 아닌 유익하거나 해롭거나 작용만 하는 감각접촉이다. 이 구문은 ‘조건이 일어남의 특별함을 보여 주기 위해서’와 연결지어 해석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은 조건의 일어남만이 취착된 것이라는 것을 뜻할 뿐만 아니라 조건도 취착된 것이라는 뜻도 된다. 그래서 안의 감각장소인 여섯 감각장소를 취함에 의해서 취함이라고 만든 뒤 ‘여섯 감각장소 이외에도 감각접촉의 남은 조건의 특별함을 보여 주기 위해서이다.’라고도 설명하였다. 왜냐하면 감각접촉은 눈 등의 여섯 감각장소만이 그 조건인 것은 아니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눈과 형상들을 반연하여 눈의 의식이 일어난다. 이 셋의 화합이 감각접촉이다.”라는 등의 말씀으로부터 형상의 감각장소 등의 물질(色)과 눈의 의식등의 정신(名)도 그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눈등의 여섯 감각장소 이외의 남은 [조건인] 전향(轉向) 등처럼 일반적인 것이 아니며, 그런 감각접촉의 일반적인 것과는 다른 특별한 조건을 pi(역시)라는 단어로써 특별하지 않은 일반적인 조건을 제외하기 위해서 세존께서는 여기서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하여 감각접촉이 있다.’고 말씀하셨다고 적용해야 한다. [위방가의] 아비담마 바자니야에도 이러한 조건의 [특별함]을 두고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하여 감각접촉이 있다.”고 설하셨으며 그 주석서에서도 “조건의 특별함을 보여 주시기 위해서이고 중요한 근본 원인을 취하기 위해서이다.”라고 주석을 하였다. 
[6] 본경은 의식의 조건으로 다시 정신·물질을 언급하면서 의식·정신·물질의 상호관계로 연기를 설명한다. 이렇게 하여 본경에서는 12지 연기 가운데 무명·행·육입이 나타나지 않는 9지 연기로 연기의 근본(nidana)을 정밀하게 설하고 있다.  

 

3. "아난다여, 이처럼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하여 의식이, 의식을 조건으로 하여 정신·물질이,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하여 감각접촉이, 감각접촉을 조건으로 하여 느낌이, 느낌을 조건으로 하여 갈애가, 갈애를 조건으로 하여 집착이, 집착을 조건으로 하여 존재가, 존재를 조건으로 하여 태어남이, 태어남을 조건으로 하여 늙음·죽음과 슬픔·비탄·고통·근심·번민이 있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가 일어난다. 

 

4.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이 있다고 말하였다.[7] 

아난다여,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이 있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신들이 신이 되고, 간답바들이 간답바가 되고, 약카들이 약카가 되고, 존재하는 것들이 존재하는 것이 되고, 인간들이 인간이 되고, 네발 짐승들이 네발 짐승이 되고, 새들이 새가 되고, 파충류들이 파충류가 되는 이런 태어남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없다고 하자. 그러면 이런저런 중생들의 이런 태어남은 결코 없을 것이다. 

아난다여, 그러면 이처럼 태어남이 소멸해버려 태어남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늙음·죽음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늙음·죽음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태어남이다."

 

[7] 이상으로 9지 연기의 전체 골격을 드러내시고 이제 연기의 정형구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신다. 그래서 주석서도 “이제 그들 각각의 조건들이 참되고 거짓되지 않고 다르지 않게 조건짓는 상태를 보여주시기 위해서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이 있다’는 등을 말씀하신다.”라고 적고 있다.
[8]존재하는 것으로 옮긴 원어는 bhuta 이다. Bhuta의 기본적인 의미는 ‘존재하는 것, 생긴 것’의 의미이다. 초기경에서 bhuta는 크게 세 가지 문맥에서 나타난다.첫 번째는 ‘존재하는 것 = 생긴 것, 있는 것 = 진실, 사실’의 의미로 쓰인다. 중국에서 여실지견(如實知見)으로 옮긴 단어 가운데 여실(있는 그대로)에 해당하는 것이 yatha-bhutam이다. 초기경에 아주 많이 나타나는 표현이다. 두 번째는 ‘존재하는 것 = 기본 요소 = 지.수.화.풍 = 근본물질’로 쓰였다. 이것은 사대(四大, 네 가지 근본물질)로 나타나고 있다.그리고 세 번째가 본문에서처럼 ‘존재하는 것 = [살아있는] 존재’라는 뜻으로 쓰인다. 

 

5.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있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욕계의 존재, 색계의 존재, 무색계의 존재, 이러한 존재가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존재가 소멸해 버려 존재가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태어남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태어남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존재이다."

 

6. "집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집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감각적 쾌락에 대한 집착, 견해에 대한 집착, 계율과 의식에 대한 집착, 자아의 교리에 대한 집착 - 이러한 집착은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집착이 소멸해 버려 집착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존재를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존재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집착이다."

 

7. "갈애를 조건으로 집착이 있다라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갈애를 조건으로 집착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형상에 대한 갈애, 소리에 대한 갈애, 냄새에 대한 갈애, 맛에 대한 갈애, 감촉에 대한 갈애, 법(마음현상)에 대한 갈애 - 이러한 갈애[9]가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갈애가 소멸해 버려 갈애가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집착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집착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갈애이다."

 

[9] 여기서는 갈애를 여섯 가지 밖의 감각장소(六外處, 六境)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아래의 느낌과 감각접촉도 같은 방법으로 여섯 가지 감각장소와 관련지어 설명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도 본경에서는 여섯 감각장소가 중복되기 때문에 ‘명색연육입 육입연촉’을 줄여서 ‘명색연촉(名色緣觸)’으로 설명하고 있다고도 이해할 수 있겠다. 

 

8.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형상에 닿아서 생긴 느낌, 소리에 닿아서 생긴 느낌, 냄새에 닿아서 생긴 느낌, 맛에 닿아서 생긴 느낌, 감촉에 닿아서 생긴 느낌, 법에 닿아서 생긴 느낌 - 이러한 느낌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느낌이 소멸하여 버려 느낌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갈애를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갈애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느낌이다."

 

9. "아난다여, 이처럼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10], 갈애를 조건으로 구함이, 구함을 조건으로 얻음이, 얻음을 조건으로 분별이, 분별을 조건으로 욕심과 탐냄이, 욕심과 탐냄을 조건으로 집착이, 집착을 조건으로 간직함이, 간직함을 조건으로 인색이, 인색을 조건으로 지킴이, 지킴을 조건으로 하여 몽둥이를 들고 무기를 들고 싸우고 말다툼을 하고 분쟁하고 상호비방하고 이간질하고 거짓말하는 수많은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들이

생겨난다.[11]

 

[10] 연기의 구성요소들(各支) 가운데서 생사유전(生死流轉)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 바로 갈애이다. 그래서 사성제에서도 고의 원인을 밝히는 집성제(괴로움의 일어남의 진리)에서 갈애를 괴로움의 원인으로 들고 있는 것이다. 갈애는 이처럼 중요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이제 여기서부터는 이러한 갈애가 실제로 전개되는 상황을 9가지로 심도 깊게 설명하고 계시는데 연기를 설명하는 다른 경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본경 특유의 가르침이다. 여섯 감각장소(六入)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본경의 첫 번째 큰 특징이라면 이것은 두 번째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주석서는 이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윤회의 뿌리가 되는 앞의 갈애를 ‘수연애(受緣愛)’로 설명하신 뒤 이제는 [말의] 등짝을 때리고 목의 털을 거머쥐고서 용감무쌍하게 길 위로 올라선 사람과 같이 9가지 구문을 통해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갈애의 [모습을] 설하신다.”
[11] 이9가지는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갈애의 적나라한 모습이다. 윤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갈애가 어떻게 현실 속에서 실제로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들로 중생에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 주고 계신다. 그래서 주석서에서는 이것을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갈애라고 표현하고 있다.    

* 조건으로/원인으로 = 인연으로

 

10. "지킴[12]를 조건으로 하여 몽둥이를 들고 무기를 들고 싸우고 말다툼을 하고 분쟁하고 상호비방하고 중상모략하고 거짓말하는 수많은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들이 생겨난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지킴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지킴이 소멸하여 버려 지킴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몽둥이를 들고 무기를 들고 싸우고 말다툼하고 분쟁하고 상호비방하고 이간질하고 거짓말하는 수많은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들이 생겨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몽둥이를 들고 무기를 들고 싸우고 말다툼하고 분쟁하고 상호비방하고 이간질하고 거짓말하는 수많은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들이 생겨나는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지킴이다."

 

[12] ‘지킴’이란 대문을 걸어 잠그고 보석함을 지킴에 의해서 잘 수호하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는 나쁜 뜻으로 쓰였다.

 

11. "인색[13]을 조건으로 지킴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인색을 조건으로 지킴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인색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인색이 소멸하여 버려 인색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수호를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지킴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인색이다."

 

[13] ‘인색’의 원어는 macchariya이다. 주석서는 “남의 성공을 견디지 못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 단어를 경이로움을 뜻하는 acchariya에 견주어서’이런 경이로움이 내게만 있고 남에게는 없기를(ma).’이라고 한다고 해서 ma+acchariya로 재미있게 풀이하고 있다. 다른 문맥에서는 주로 질투(issa)와 짝을 이루어 issa-macchariya(질투와 인색)로 많이 나타난다.

  

12. "간직함[14]을 조건으로 인색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간직함을 조건으로 인색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간직함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간직함이 소멸하여 버려 간직함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인색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인색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간직함이다."

 

[14] ‘간직’은 수행의 문맥에서는 ‘파악, 파지, 이해’의 뜻으로 쓰이지만 여기서는 문자 그대로 간직함을 뜻한다. 그래서 주석서에서는 ‘갈애와 사견으로 간직하는(거머쥐는) 행동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13. "집착을 조건으로 간직함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집착을 조건으로 간직함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집착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집착이 소멸하여 버려 집착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간직함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간직함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집착이다."

 

14. "욕심과 탐냄을 조건으로 집착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욕심과 탐냄을 조건으로 집착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욕심과 탐냄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욕심과 탐냄이 소멸하여 버려 욕심과 탐냄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집착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집착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욕심과 탐냄이다."

 

15. "분별을 조건으로 욕심과 탐냄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분별을 조건으로 욕심과 탐냄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분별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분별이 소멸하여 버려 분별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욕심과 탐냄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욕심과 탐냄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분별이다."

 

16. "얻음을 조건으로 분별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얻음을 조건으로 분별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얻음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얻음이 소멸하여 얻음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분별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분별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얻음이다."

 

17. "구함[15]를 조건으로 얻음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구함을 조건으로 얻음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구함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구함이 소멸하여 버려 구함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얻음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얻음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기원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구함이다."

 

[15] “구함이란 형상 등의 대상을 탐구하는 것이니 갈애가 있을 때 구함이 있다.”

 

18. "갈애[16]를 조건으로 구함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갈애를 조건으로 구함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갈애가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갈애가 소멸하여 버려 갈애가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추구를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구함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갈애다. 

 

아난다여, 이와 같이 두 가지 법들[17]이 이처럼 두 가지 부분으로 느낌에 의해서 하나가 된다.[18]

 

[16] “갈애는 추구하는 갈애와 추구된 갈애의 두 가지가 있다. 그 갈애 때문에 양들이 다니는 길과 갈고리를 사용해야만 하는 험난한 길 등을 다니면서 즐길 거리를 찾고 구하는 것을 ‘추구하는 갈애’라 한다. 찾았고 구했고 획득한 것들에 대한 갈애가 ‘추구된 갈애’이다. 이 두 가지도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갈애의 [모습]이다. 그러므로 느낌을 조건으로 이러한 두 가지 갈애가 있게 된다.”
[17] 여기서 두 가지 법들이란 윤회의 뿌리가 되는 갈애와 바로 위 주해에서 설명한 벌어지고 있는 갈애를 뜻한다.
[18] 윤회의 뿌리가 되는 갈애와 현실에서 벌어지는 갈애, 둘 모두 여섯 감각장소에서 기인한 느낌을 조건으로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갈애는 느낌이라는 하나의 조건을 가진다.

 

19. "감각접촉을 조건으로 느낌이 있다라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감각접촉을 조건으로 느낌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형상에 대한 감각접촉, 소리에 대한 감각접촉, 냄새에 대한 감각접촉, 맛에 대한 감각접촉, 감촉에 대한 감각접촉, 법에 대한 감각접촉, 이러한 감각접촉이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식으로도 그 어디에도 그 누구에게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자. 

아난다여, 감각접촉이 소멸해버려 감각접촉이 어떤 식으로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데도 느낌을 천명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느낌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감각접촉이다."

 

20. 정신·물질(名色.명색)을 조건으로 감각접촉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감각접촉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여기 [느낌, 인식, 상카라들, 의식] 각각의 성질들이나 특징들이나 표상(因相.인상)들이나 개요들에 의해서 정신의 몸(名身.정신적인 몸)이라는 개념이 생긴다. 그러나 만약 이런 각각의 성질들이나 특징들이나 표상들이나 개요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물질(色)의 몸(色身)에서 명칭을 통해 생기는 정신적 감각접촉이 알려질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여기 각각의 성질들이나 특징들이나 표상들이나 개요들에 의해서 물질의 몸이라는 개념이 생긴다. 그러나 만약 이런 각각의 성질들이나 특징들이나 표상들이나 개요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명칭으로 얻어지는 정신의 감각접촉이나, 부딛힘으로 얻어지는 물질의 감각접촉이 알려질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여기 성질들이나 특징들이나 표상들이나 개요들에 의해서 정신의 몸과 물질의 몸이라는 개념이 생긴다. 그러나 만약 이런 고유성질들이나 특징들이나 표상들이나 개요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명칭으로 얻어지는 정신의 감각접촉이나 부딪힘으로 얻어지는 물질의 감각접촉이

알려질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여기 각각의 성질들이나 특징들이나 표상들이나 개요들에 의해서 정신·물질이라는 개념이 생긴다. 그러나 만약 이런 각각의 성질들이나 특징들이나 표상들이나 개요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감각접촉이 알려질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감각접촉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정신·물질이다." 

 

* 명칭(이름 붙이기)으로 옮긴 원어는 adhivacana 이다. 이것은 부딛힘으로 옮긴 patigha와 함께 이 문단을 이해하는 핵심용어이다.

아비담마에서는 adhivacana 이름이라는 뜻으로, 정신(名) 즉 수.상.행.식의 특징을, patigha 는 부딛힘이란 뜻으로 물질(色)의 특징을 나타낸다.

물질이 있을 때는 반드시 부딛힘이 있지만 물질이 제거되면 부딛힘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석서등에서는 '부딪힘으로 얻어지는 감각접촉이란 부딛힘을 가진 물질의 온(色蘊)을 대상으로 일어난 감감접촉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21. "의식을 조건으로 정신·물질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의식을 조건으로 정신·물질이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의식이 모태에 들지 않았는데도 정신·물질이 모태에서 응결될 수 있겠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의식이 모태에 들어간 뒤 잘못되어버렸는데도 정신·물질이 오온을 구비한 그러한 상태로 태어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의식이 어린 소년이나 어린 소녀와 같은 어린아이일 때 단절되었다면 정신·물질이 향상하고 증장하고 성숙하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정신·물질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의식이다."

 

22.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의식이 있다고 말하였다. 

아난다여,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의식 있다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알아야 한다. 

아난다여, 만일 의식이 정신·물질에 확립됨을 얻지 못하였는데도 미래에 태어남과 늙음·죽음과 괴로움의 일어남이 생긴다고 천명할 수 있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이것이 바로 의식의 원인이고, 인연이고, 근본이고, 조건이니, 그것은 다름 아닌 정신·물질이다. 

아난다여, 이와 같이 하여 태어나고, 늙고, 죽고, 죽어서는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의식과 정신·물질의 상호 조건에 의해, 이렇게 말에 대한 길이 전개되고, 이렇게 언어의 길이 전개되고, 이렇게 개념의 길이 전개되고, 이렇게 지혜의 영역이 전개되고, 이 의식과 정신·물질의 상호 조건에 의해 윤회는 전개되는 것이다. 정신·물질은 의식과 더불어 오온의 이러한 상태를 천명하기 위한 것이다." 

 

* 지혜의 영역이 전개된다라는 말은 지혜로써 드러내어야 하고, 알아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23. "아난다여, 그런데 자아를 주장하는 자는 어떻게 자아[19]를 천명하는가? 

아난다여, 자아를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我)라고 주장하는 자는 '자아는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아난다여, 자아를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라고 주장하는 자는 '자아는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아난다여,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라고 주장하는 자는 '자아는 물질을 가지지 않은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아난다여,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라고 주장하는 자는 '자아는 물질을 가지지 않은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19] 여기서 주의해서 봐야 할 점은 이런 문자 풀처럼 얽히고 설킨 윤회의 전개의 중심에는 바로 ‘자아(atta)’가 있다는 점이다. 선정, 삼매, 신통이 아무리 자유자재하더라도 자아라는 개념을 해체하지 못하는 한 그는 결코 성자가 아니다. 아마 많은 사람들은 ‘자아가 없으면 아무것도 없는 허무주의가 아니냐?’고 회의하고 두려워할지도 모른다. 거기에 대한 대답이 바로 본경의 주제인 연기이다. 자아가 없다는 말은 연기한다는 말이다. 여러 조건들이 서로 일어나고 사라지고 뭉치고 흩어지고 하면서 흘러가는 것이 연기의 실상이다. 이것이 바로 무아다. 그러므로 연기를 꿰뚫지 못하는 한 자아의 개념은 척파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본경에서도 심오한 연기의 가르침의 결론으로 자아개념의 척파를 설하신다. 불교의 관점에서 볼 때 자아란 매 순간 일어나고 사라지는 오온들을 두고 나라거나 내 것이라고 취착한 것이거나 이러한 오온들이 일어나고 사라지면서 서로 부딪혀서 만들어내는 물안개와 물보라와 같은 개념적 존재일 뿐이다. 

 

24. "아난다여, 여기서 자아를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라고 주장하는 자는 현세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혹은

그는 다음 생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혹은 그는 '그렇지 않더라도 그러한 상태로 될 것이다.'라고 여긴다.

아난다여,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아는 물질을 가진 유한한 자이다.'라는 견해에 묶여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아난다여, 여기서 자아를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라고 주장하는 자는 현세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혹은 그는 다음 생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혹은 그는 '그렇지 않더라도 그러한 상태로 될 것이다.'

라고 여긴다.

아난다여,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아는 물질을 가진 무한한 자이다.'라는 견해에 묶여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아난다여, 여기서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라고 주장하는 자는 현세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한다. 혹은 그는 다음 생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이다.'라고 주장하고 천명한다. 혹은 그는 '그렇지 않더라도 그러한 상태로 될 것이다.'라고 여긴다. 

아난다여,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아는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이다.'라는 견해에 묶여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아난다여, 여기서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라고 주장하는 자는 현세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이다.'라고 주장하고 천명한다. 혹은 그는 다음 생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이다.'라고 주장하고 천명한다. 혹은 그는 '그렇지 않더라도 그러한 상태로 될 것이다.'라고 여긴다.

아난다여,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아는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이다.'라는 견해에 묶여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아난다여, 자아를 주장하는 자는 이와 같이 자아를 천명한다."

 

25. "아난다여, 그런데 자아를 주장하지 않는 자는 어떻게 자아를 천명하지 않는가? 

아난다여, 자아를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라고 주장하지 않는 자는 '자아는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아난다여, 자아를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라고 주장하지 않는 자는 '자아는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아난다여,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라고 주장하지 않는 자는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아난다여,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라고 주장하지 않는 자는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26. "아난다여, 여기서 자아를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라고 주장하지 않는 자는 현세에서의 자아는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혹은 그는 다음 생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혹은 그는 '그렇지 않더라도 그러한 상태가 될

것이다.'라고도 여기지 않는다.

아난다여,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아는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이다.'라는 견해에 묶여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아난다여, 여기서 자아를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라고 주장하지 않는 자는 현세에서의 자아는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혹은 그는 다음 생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닌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혹은 그는 '그렇지 않더라도 그러한 상태가 될 것이다.'라고도 여기지 않는다.

아난다여,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아는 물질을 지닌 무한한 자이다.'라는 견해에 묶여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아난다여, 여기서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라고 주장하지 않는 자는 현세에서의 자아는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혹은 그는 다음 생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혹은 '그렇지 않더라도 그러한

상태가 될 것이다.'라고도 여기지 않는다.

아난다여,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아는 물질을 지니지 않은 유한한 자이다.'라는 견해에 묶여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아난다여, 여기서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라고 주장하지 않는 자는 현세에서의 자아는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혹은 그는 다음 생에서의 자아를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이다.'라고 천명하지 않는다. 혹은 '그렇지 않더라도 그러한

상태가 될 것이다.'라고도 여기지 않는다.

아난다여, 그렇기 때문에 그는 '자아는 물질을 지니지 않은 무한한 자이다.'라는 견해에 묶여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아난다여, 자아를 주장하지 않는 자는 이와 같이 자아를 천명하지 않는다."

 

27. "아난다여, 그런데 자아를 관찰하는 자들은 어떻게 자아를 관찰하는가? 

아난다여, 느낌을 관찰 하면서 다음과 같이 자아를 관찰한다(자아로 간주한다). 

'느낌은 나의 자아다.'

'느낌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나의 자아는 느껴지지 않는다.'

'느낌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그러나 나의 자아는 느껴지지 않는 것은 아니다. 나의 자아는 느낀다. 나의 자아는 느끼는 성질을 가졌기 때문이다.'라고.  

아난다여, 이와 같이 관찰하면서 자아를 관찰한다. 

 

28. "아난다여, 여기서 '느낌은 나의 자아다.'라고 말하는 자에게는 이와 같이 말해주어야 한다.

'도반이여, 세 가지 느낌이 있나니 즐거운 느낌과 괴로운 느낌과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입니다. 이러한 세 가지 느낌들 가운데서 그대는

어떠한 자아를 관찰합니까?'라고.  

아난다여, 즐거운 느낌을 느낄 때는 괴로운 느낌을 느끼지 못하고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끼지도 못한다. 그때는 오직 즐거운 느낌만을 느낀다. 

아난다여, 괴로운 느낌을 느낄 때는 즐거운 느낌을 느끼지 못하고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끼지 못한다. 그때는 오직 괴로운 느낌만을 느낀다. 

아난다여,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는 느낌을 느낄 때는 즐거운 느낌을 느끼지 못하고 괴로운 느낌을 느끼지 못한다. 그때는 오직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만을 느낀다." 

 

29. "아난다여, 즐거운 느낌도 무상하고 형성된 것이며 조건에 의해서 일어난 것이요 다해 없어지는 법이며 사라짐의 법이며 탐냄을 떠난 법이며 소멸하는 법이다. 

아난다여, 괴로운 느낌도 무상하고 형성된 것이며 조건에 의해서 일어난 것이요 다해 없어지는 법이며 사라짐의 법이며 탐냄을 떠난 법이며 

소멸하는 법이다.

아난다여,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도 무상하고 무상하고 형성된 것이며 조건에 의해서 일어난 것이요 다해 없어지는 법이며 사라짐의 법이며 탐냄을 떠난 법이며 소멸하는 법이다. 

아난다여, 그러므로 즐거운 느낌을 느끼면서 '이것은 나의 자아다.'라고 하는 자는 누구든지 그 즐거운 느낌이 소멸하면 '나의 자아는 사라져버렸다.'고 해야 한다. 

아난다여, 그러므로 괴로운 느낌을 느끼면서 '이것은 나의 자아다.'라고 하는 자는 누구든지 그 괴로운 느낌이 소멸하면 '나의 자아는 사라져 버렸다.'고 해야한다. 

아난다여, 그러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끼면서 '이것은 나의 자아다.'라고 하는 자는 누구든지 그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 소멸하면 '나의 자아는 사라져버렸다.'고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느낌은 나의 자아이다.'라고 말하는 자는 결국 '자아는 현생에서 무상하고, 즐거움과 괴로움이 섞여있고, 일어나고 사라지기 마련인

법이다.'라고 관찰하면서 관찰하는 것이 된다. 

아난다여, 그러므로 여기서 '느낌은 나의 자아다.'라고 관찰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30. "아난다여, 여기서 '느낌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나의 자아는 느껴지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자에게는 이와 같이 말해주어야 한다. 

'도반이여, 만약 느낌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면 내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까?' 라고."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느낌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나의 자아는 느껴지지 않는다.'라고 관찰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31. "아난다여, 여기서 '느낌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그러나 나의 자아는 느껴지지 않는 것은 아니다. 나의 자아는 느낀다. 나의 자아는 느끼는 성질을 가졌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는 자에게는 이와 같이 말해주어야 한다. 

'도반이여, 만약 모든 종류의 느낌이 남김없이 전부 소멸해 버린다면 느낌이 소멸해 버렸기 때문에 그 어디서도 느낌은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그런데도 내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까?'라고."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그러므로 '느낌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그러나 나의 자아는 느껴지지 않는 것은 아니다. 나의 자아는 느낀다. 나의 자아는 느끼는 성질을 가졌기 때문이다.'라고 관찰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32. "아난다여, 비구는 느낌을 자아라고 관찰하지 않으며, 자아는 느껴지지 않는다고도 관찰하지 않으며, 자아는 느끼는 성질을 가졌기 때문에 느낀다고도 관찰하지도 않는다. 그는 이와 같이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세상에 대해서 어떤 것도 집착하지 않는다. 집착하지 않으면 갈애가

소멸한다. 갈애가 소멸하면 스스로 완전히 열반에 든다. 

'태어남은 다했다. 청정범행은 성취되었다. 할 일은 다 해 마쳤다. 다시는 어떤 존재로도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라고 안다.  

아난다여, 이와 같이 해탈한 마음을 가진 비구에 대해 말하기를 '그는 여래는 사후에 있다는 견해를 가졌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옳지 않다. '그는 여래는 사후에 있지 않다는 견해를 가졌다.'라고 한다면 그것도 옳지 않다. '그는 여래는 사후에 있기도 하고 있지 않기도 한다는 견해를 가졌다.'라고 한다면 그것도 옳지 않다. '그는 여래는 사후에 있는 것도 아니고 있지 않는 것도 아니다는 견해를 가졌다.'라고 한다면 그것도 옳지 않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아난다여, 어떠한 명칭이 있든지, 어떠한 명칭의 길이 있든지, 어떠한 어원의 길이 있든지, 어떠한 개념이 있든지, 어떠한 개념의 길이 있든지, 어떠한 지혜가 있든지, 어떠한 지혜의 영역이 있든지, 어떠한 윤회의 유전이 있든지, 그 모든 것을 비구는 완전한 지혜로 안 뒤 해탈했다. 그러므로 '그 비구는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고, 이러한 견해를 가졌다.'라고 한다면 참으로 옳지 않다." 

 

33. "아난다여, 참으로[20] 일곱 가지 의식의 거주처[21]와 두 가지 장소가 있다. 무엇이 일곱인가?" 

아난다여, 여러 몸과 각기 다른 지각력을 지닌 의식으로 살아가는 중생[22]들이다.

예를 들면 인간들과 어떤 신들과 어떤 악처에 떨어진 자들이다[23]. 이것이 첫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아난다여, 몸은 여럿이되 동일한 지각력을 지닌 의식으로 살아가는 중생들이다.

예를 들면 [여기 이 세상에서] 초선을 닦아서 죽은 뒤 범중천에 태어난 신들이다. 이것이 두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아난다여, 몸은 동일하되 각기 다른 지각력을 지닌 의식으로 살아가는 중생들이다.

예를 들면 광음천의 신들이다. 이것이 세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아난다여, 동일한 몸과 동일한 지각력을 지닌 의식으로 살아가는 중생들이다.

예를 들면 변정천의 신들이다. 이것이 네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아난다여, 일체의 물질적 현상에 대한 지각을 넘어서고, 장애에 대한 지각을 소멸하고, 갖가지 지각에 마음을 내지 않아 '끝이 없는 허공(무한한 허공)’이라고 하는 일체의 공간에 걸림이 없는 경지인 공무변처(空無邊處)에 도달한 중생들이 있다. 

이것이 다섯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아난다여, 공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여 '무한한 의식'라고 하면서 식무변처에 도달한 중생들이 있다. 

이것이 여섯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아난다여, 일체 식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여 '아무 것도 없다.'라고 하면서 무소유처에 도달한 중생들이 있다. 

이것이 일곱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아난다여, 그리고 무상유정처가 있고 비상비비상처가 있다."

 

[20] 이제 이 문맥에서 갑자기 의식의 거주처와 두 가지 장소, 그리고 팔해탈을 설하시는 이유는 주석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위[25 ~26에서 네 가지로] 자아를 천명하지 않음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가면서 양면해탈을 하게 되고 다시 [27 ~ 32에서 세 가지로 유신견으로서의] 자아를 관찰하지 않음을 통해서 혜해탈을 하게된다. 이러한 [범부인,] 두 부류의 비구들에 대한 벗어남과 그런 [혜해탈과 양면해탈의] 이름을 제대로 보여 주시기 위해서이다.” 복주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부연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가면서'라는 것은[25 ~ 26에서] 사마타를 닦음에 잘 확립된 뒤에 위빳사나로 인도함과 도(道)로 인도함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간다는 [뜻이다.] 양면으로 벗어나기 때문에 양면해탈이라 한다.” 부연해서 설명하자면 아래 34에서 “의식의 거주처와 두 가지 장소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맛고 잘못됨과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분명하게 알고서 해탈한다. 아난다여, 이를 일러 비구는 지혜로써 해탈한 자(혜해탈자)라고 한다.”고 나타나듯이 의식의 거주처와 두 가지 장소를 통해서는 혜해탈자에 대한 설명과 이름을 드러내고 있으면, 35 이하의 팔해탈과 상수멸을 통해서는 양면해탈자에 대한 설명과 이름을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위에서 네 가지 자아(25 ~ 26)와 세 가지를 통한 유신견을 파한 경지(27 ~ 32)가 각각 양면해탈과 혜해탈인데, 이를 더 부연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제 의식의 거주처와 두 가지 장소와 팔해탈을 설하신다는 것이다.
[21] “여기서 의식이 머문다(문자적으로는 서있다)고 해서 의식의 거주처이다. 의식이 가서 머무는 곳과 동의어이다.”
“의식이 가서 머무는 곳이란 재생연결식이 지금 [가서] 머물기 때문이다. 뜻으로는 특히 다섯 온을 가진 존재의 경우에는 (즉 욕계와 색계의 존재) 색수상행의 네 가지 무더기가 의식의(識)의 거주처요 네 무더기를 가진 존재의 경우에는 (즉 물질이 없는 무색계의 존재) 수상행의 세 가지 무더기가 의식의 거주처라고 알아야 한다.”
[22] “여기서 중생들이란 재생연결식으로 설하였다.”즉 아비담바적으로 보면 어떤 곳에 재생연결식이 처음 생기는 것이 그곳에 중생이 태어나는 것이다.
[23] 주석서에 의하면 여기서 어떤 신들이란 욕계 천상(六欲天)의 신들을 말한다. 주석서에서는 인간들과 여섯 욕계 천상의 신들과 일부 악처 중생들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34. "아난다여, 여러 몸과 각기 다른 지각력을 지닌 의식으로 살아가는 중생들이 있다. 예를 들면 인간들과 어떤 신들과 어떤 악처에 떨어진 자들이다. 이것이 첫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그런데 이러한 첫 번째 의식의  거주처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몸은 여럿이되 동일한 지각력을 지닌 의식으로 살아가는 중생들이 있다. 예를 들면 여기 이 세상에서 초선을 닦아서 죽은 뒤 태어난 범중천의 신들이다. 이것이 두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그런데 이러한 두 번째 의식의 거주처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몸은 동일하되 각기 다른 지가력을 지닌 의식으로 살아가는 중생들이 있다. 예를 들면 광음천의 신들이다. 이것이 세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그런데 이러한 세 번째 의식의 거주처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동일한 몸과 동일한 지각력을 지닌 의식으로 살아가는 중생들이 있다. 예를 들면 변정천의 신들이다. 이것이 네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그런데 이러한 네 번째 의식의 거주처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일체의 물질적 현상에 대한 지각을 넘어서고, 장애에 대한 지각을 소멸하고, 갖가지 지각에 마음을 내지 않아 '끝이 없는 허공(무한한 허공)’이라고 하는 일체의 공간에 걸림이 없는 경지인 공무변처에 도달한 중생들이 있다. 이것이 다섯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그런데 이러한 다섯번째 의식의 거주처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공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여 '무한한 의식'이라고 하면서 식무변처(識無邊處)에 도달한 중생들이 있다. 이것이 여섯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그런데 이러한 여섯 번째 의식의 거주처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일체 식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여 '아무것도 없다'라고 하면서 무소유처(無所有處)에 도달한 중생들이 있다. 이것이 일곱 번째 의식의 거주처이다. 그런데 이러한 일곱 번째 의식의 거주처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무상유정처(無想有情處)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비상비비상처를 철저히 알고 그것의 일어남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사라짐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맛을 철저히 알고 그것의 잘못됨을 철저히 알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남을 철저히 아는 자가 그것을 기뻐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아난다여, 비구는 일곱 가지 의식의 거주처(識處)와 두 가지 장소(處)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맛과 잘못됨과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분명하게 알고서 해탈했다. 

아난다여, 이를 일러 비구는 지혜로써 해탈한 자(慧解脫. 혜해탈)라고 한다."

 

* 여기서 의식과 거주처와 두 가지 장소 그리고 여덟가지 해탈을 설하시는 이유를 주석서는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25-26에서 네 가지 자아천명 즉1) 물질을 가진 유한한 자아2) 물질은 가진 무하한 자아3) 물질을 가지지 않은 유한한 자아4) 물질을 가지지 않은 무한한 자아를 천명하지 않음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가면서 양면해탈을 하게 되고 27-32에서 세 가지 즉1) 느낌은 나의 자아다 2) 느낌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나의 자아는 느끼지 않는다 3) 느낌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 나의 자아는 느끼지 않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나의 자아는 느낀다. 나의 자아는 느끼는 성질을 가졌기 때문이다. 로 관찰하지 않음을통해서 혜해탈을 하게 된다. 이러한 두 부류의 비구들에 대한 벗어남과 혜해탈과 양면해탈의 이름을 제대로 보여주기 위해서이다(DA.ii.508)

* 의식이 머무는 곳 : 의식이 머무는 곳이란 재생연결의식이 지금(가서) 머물기 때문이다. 뜻으로는 특히 다섯 무더기를 가진 존재의 경우(즉 욕계와 색계의 존재)에는 색수상행의 네 가지 무더기가 알음알이의 거주처요, 네 무더기를 가진 존재의 경우(즉 물질이 없는 무색계의 존재)에는 수상행의 세 가지 무더기가 알음알이의 거주처라 알아야 한다(DAT.ii.148-49) 

 

 

35. "아난다여, 참으로 여덟 가지 해탈[24]이 있다. 무엇이 여덟인가?"

여기 비구는 빛깔(의 영상)을 지니고서 빛깔을 본다. 이것이 첫 번째 해탈이다.[25]

여기 비구는 안으로 빛까에 대한 지각을 지니지 않은 상태에서 밖으로 빛깔을 본다.이것이 두 번째 해탈이다.[26]

여기 비구는 깨끗하다(淨)고 확신한다. 이것이 세 번째 해탈이다.  

여기 비구는 일체의 물질적 현상에 대한 지각을 넘어서고, 장애에 대한 지각을 소멸하고, 갖가지 지각에 마음을 내지 않아 '끝이 없는 허공(무한한 허공)’이라고 하는 일체의 공간에 걸림이 없는 경지인 공무변처를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네 번째 해탈이다. 

여기 비구는 공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여 '무한한 의식'라고 하면서 식무변처를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다섯 번째 해탈이다. 

여기 비구는 식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여 '아무것도 없다.'라고 하면서 무소유처를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여섯 번째 해탈이다. 

여기 비구는 무소유처를 완전히 초월하여 비상비비상처를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일곱 번째 해탈이다. 

여기 비구는 일체 비상비비상처를 완전히 초월하여 상수멸(想受滅, 인식과 느낌의 그침)[27]을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여덟 번째 해탈이다.

아난다여, 이것이 여덟 가지 해탈이다."

 

[24] “해탈은 무슨 뜻에서 해탈이라 하는가? 벗어남의 뜻에서 해탈이라 한다. 그러면 이 ‘벗어남의 뜻’이란 무엇인가? 반대되는 법들로부터 잘 벗어난다는 뜻이며, 대상을 즐기는 것을 잘 벗어난다는 뜻이다. 아버지의 무릎에서 사지를 늘어뜨리고 잠든 어린아이처럼 거머쥐고 있지 않은 상태로 어떠한 의심도 없이 대상에 들어가는 것이라고 설하신 것이다. 그러니 이 뜻은 맨 마지막의 [여덟 번재] 해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처음의 7가지에만 있다.”
“벗어남의 뜻”은 상수멸이라는 이 마지막 [여덟 번째] 해탈에는 없다. 이 [여덟 번째 해탈에는 ] 
다만 해탈했음의 뜻만이 적용된다.” 즉 상수멸은 마음과 마음부수 모두가 소멸된 경지이므로 반대되는 법들이니 대상이니 하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들로부터 벗어남이라는 해탈의 뜻은 적용되지 않고 오직 해탈했음이라는 근본적인 뜻만이 적용된다는 말이다.
[25] ‘색계에 속하는 [禪에 들어] [밖으로] 물질들을 본다’고 옮긴 원어를 직역하면 ‘물질을 가진 자가 물질들을 본다’이다. 주석서에서는 “안으로 머리털 등에서 푸른색의 까시나 등을 통해서 생겨난 색계선들의 물질이 그에게 있다고 해서 물질을 가진 자라 한다.”라고 설명하고 있어서 이와 같이 의역을 하였다. 그리고 계속하기를 “'밖으로 물질들을 본다.’는 것은 밖으로도 푸른색 등의 까시나의 물질들을 禪의 눈으로 본다는 뜻이다. 이것을 통해서 안과 밖의 토대들을 가진 까시나들에서 생긴 禪을 가진 사람의 네 가지 색계선들을 보이신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요약하면 이 수행자는 안의 물질을 대상으로 삼아서도 색계선에 들고 밖의 물질을 대상으로 삼아서도 색계선에 든다는 의미이다. 물질을 대상으로 禪을 닦으면 거기서는 반드시 표상이 일어나는데 표상은 근접의 표산 -> 익힌 표상 -> 닮은 표상으로 발전하고, 닮은 표상이 확립될 때 그것을 대상으로 본삼매에 든다. 이것이 [청정도론] 등의 주석서 무헌에서 한결같이 설하는 물질을 대상으로 한 삼매 수행의 과정이다.
[26] “’안으로 물질에 대한 인식이 없으면서’ 라는 것은 자신의 머리털 등에서 색계선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렇게 해서 밖으로 준비단계의 수행을 짓고서 밖으로 禪을 일으킨 사람의 색계선들을 보이신 것이다.”즉 안의 물질을 대상으로 삼아서는 삼매에 들지 않고 밖의 물질을 대상으로 삼아서 색계선에 드는 사람을 말한다. 
[27] 이 경지를 상수멸이라 부르는 이유는 이 경지에서는 인식(想)과 느낌(受)이라는 마음의 상카라들(心行)이 완전히 없어지기(滅) 때문이다(청정도론 XXIII.24). 초기경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상수멸로 나타나는데 아비다마와 주석서 등에서는 니로다사마빳띠(滅盡定)란 용어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상수멸과 멸진정은 동의어이다. 이 상수멸의 경지는 불환과 이상의 성자들만이 체즉할 수 있는 경지이다.  

 

36. "아난다여, 비구는 이 여덟 가지 해탈을 순서대로도 증득하고, 역순으로도 증득하고, 순서대로와 역순으로도 증득한다. 그리고 그는 바라는 대로 원하는 대로 원하는 만큼 증득하기도 하고 출정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는 모든 번뇌가 다하여 아무 번뇌가 없는 마음의 해탈[心解脫][28]과 지혜에 의한 해탈[慧解脫 ]을 바로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깨달아 알고 체득하고 성취하여 머문다. 

아난다여, 이를 일러 비구는 양면해탈[29]을 한 자라고 한다. 

아난다여, 이 양면해탈과는 다른 더 높고 더 수승한 양면해탈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28] 네가지 선(禪)을 두루 닦아 그 힘으로 여러 신통지를 얻는 것을 심해탈(心解脫, ceto-vimutti)이라 하고 있고, 지혜를 통해서만 해탈을 성취하는 것을 혜해탈(慧解脫. panna-vimutti)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둘을 갖춘 것을 양면해탈(兩面解脫, 이라고 부르고 있다. 심해탈이라고 하지만 마음을 하나로 집중하는[心一境, citta-ekaggata] 삼매만으로는 해탈을 성취할 수 없고 이 경우에도 번뇌를 멸하는 지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삼매[定]와 지혜[慧] 혹은 사마타와 위빳사나의 두(ubhato) 부분(bhaga)을 다 닦아서 성취한 해탈이라 하여 양면해탈이라고 한다. 
지혜가 없이는 해탈이 불가능하고 선정의 힘이 아니면 지혜가 생길 수 없다는 점은 초기경에서부터 남북방 불교에서 모두 다 강조하고 있다. 한편 사마타와 위빳사나라는 술어는 초기경에서도 거의 대부분 함께 붙어서 나타나며 부처님께서는 이 둘을 부지런히 닦을 것을 강조하셨다. 그래서 중국에서는도 止觀수행이 크게 성행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보조국사께서 定慧雙修를 주창하신 것이다. 
[29] “양면해탈이란 두 부분으로 해탈한 것이니 무색의 증득으로 물질의 무리(色身)로부터 해탈하였고, 도에 의해서 정신의 무리(名身)로부터 해탈하였다는 [뜻이다]. 이 양면해탈은 공무변처 등의 어떤 경지로부터 출정하여(出定) 아라한과를 얻는 것과 불환자가 된 뒤 멸진정으로부터 출정하여 아라한과를 얻는 것으로 모두 다섯 가지가 있다.”
이것이 양면해탈에 대한 주석서의 정리된 설명으로 잘 알려진 것이다. 여기서 보듯이 양면해탈은 반드시 사마타 수행을 통해서 공무변처부터 비상비비상처까지의 4무색정 가운데 하나에 들었다가 출정해서 아라한도를 증득해야 한다. 아라한도 등의 [네 가지] 도는 반드시 위빳사나를 통해야 가능하다. 이렇게 사마타를 통해서 4무색계정 가운데 하나를 증득하고 위빳사나를 통해서 아라한이 되는 것을 양면해탈이라 한다. 그래서 위 33의 첫 번째 주해에서 인용했듯이 “사마타를 닦음에 잘 확립된 뒤에 위빳사나로 인도함과 도로 인도함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간다.”라고도 설명하는 것이다.
한편 지혜에 의한 해탈(慧解脫)은 색계4선 이하를 증득한 뒤 출정하거나 아예 禪의 증득 없이 위빳사나를 통해서 아라한도를 증득하는 것을 말한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설하셨다. 

세존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자 아난다 존자는 기뻐하며 세존께서 설하신 것을 찬탄하였다. 

 

 

 

(인연의 큰경이 끝났다.)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댓글 쓰기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공지 상윳따니까야 전체 구성 - 전재성 516 1
공지 맛지마니까야 한국 PTS본 목차 - 전재성 번역 592 0
289 장아함경
image
118 0
288 장아함경
image
113 0
287 앙굿따니까야
image
82 0
286 앙굿따니까야
image
67 0
285 앙굿따니까야
image
10 0
284 디가니까야
image
337 0
283 디가니까야
image
232 0
282 디가니까야
image
256 2
281 디가니까야
image
144 1
280 디가니까야
image
149 0
279 디가니까야
image
158 0
278 디가니까야
image
142 1
277 디가니까야
image
135 0
276 디가니까야
image
115 0
275 디가니까야
image
140 0
274 디가니까야
image
169 0
273 디가니까야
image
96 0
272 디가니까야
image
152 0
271 디가니까야
image
156 0
디가니까야
image
173 0
269 디가니까야
image
267 0
268 디가니까야
image
117 0
267 디가니까야
image
141 0
266 디가니까야
image
149 0
265 디가니까야
image
97 0
264 디가니까야
image
204 0
263 디가니까야
image
132 0
262 디가니까야
image
130 0
261 디가니까야
image
94 0
260 디가니까야
image
15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