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수익은 전액 홈페이지 운영에 사용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오타 혹은 오류사항이 있는 게시글에 댓글을 달아주세요. 신고도 환영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숫타니파타-집경 숫타니파타에 대하여

출처 아라마제공

 

<숫타니파타>의 숫타는 경(經), 나파타는 모음이라는 뜻이므로 경의 모음이라 해서 집경集經이라 한다.

빨리 대장경 가운데서도 소부경전의 모음인 쿳다까니까야에 포함되며, 한역대장경이나 티베트 대장경에서는 누락되었다. 다만 제4장 <여덟 게송의 품>은 CE 223~253 오나라 초 지겸에 의해 <불설의족경>이라는 이름으로 한역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영역과 일역이 충실하게 완역되었는데, 우리에게 잘 알려진 법정스님의 <숫타니파타>는 일본어 역을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였기에, 원문에서 다소 변형되었음을 감안해야 한다.

 

숫타니파타는 법정스님에 의해 정돈되기 이전에 이미 빼어난 문체로 찬사를 받았다. 특히나 시종일관 운율을 갖춘 시적인 표현들로 마음과 수행에 대해 노래한다. 

주지할 것은 가장 초기의 경전이기에 부처님의 인간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숫타니파타는 대소승을 막론하고 어느 부파나 종파에도 치우치지 않는 근본적인 가르침을 전하기에 불교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아쇼카 석주의 비문에는 숫타니파타의 경전 일곱가지가 수록되어 있는데, 숫타니파타는 역사적 기록이 부실한 인도사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경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1장 사품
  • 제2장 소품
  • 제3장 대품
  • 제4장 여덟편의 시
  • 제5장 피안 [깨달음]

시대가 변해도 변치않는 것들이 있다. 아니 시대가 흘러서 빛나는 것들이 있다.

숫타니파타가 그것이다.

빛나는 진리의 말씀들은 문학적 가치는 물론이거니와 마음의 양식이자, 인생의 등불로 삼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다.

 

- 참고도서 : 숫타니파타, 전재성, 빠알리성전협회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댓글 쓰기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공지 상윳따니까야 전체 구성 - 전재성 516 1
공지 맛지마니까야 한국 PTS본 목차 - 전재성 번역 591 0
289 장아함경
image
118 0
288 장아함경
image
113 0
287 앙굿따니까야
image
82 0
286 앙굿따니까야
image
67 0
285 앙굿따니까야
image
9 0
284 디가니까야
image
335 0
283 디가니까야
image
229 0
282 디가니까야
image
255 2
281 디가니까야
image
144 1
280 디가니까야
image
149 0
279 디가니까야
image
158 0
278 디가니까야
image
142 1
277 디가니까야
image
131 0
276 디가니까야
image
114 0
275 디가니까야
image
140 0
274 디가니까야
image
169 0
273 디가니까야
image
96 0
272 디가니까야
image
152 0
271 디가니까야
image
156 0
270 디가니까야
image
173 0
269 디가니까야
image
263 0
268 디가니까야
image
117 0
267 디가니까야
image
138 0
266 디가니까야
image
147 0
265 디가니까야
image
97 0
264 디가니까야
image
204 0
263 디가니까야
image
130 0
262 디가니까야
image
130 0
261 디가니까야
image
94 0
260 디가니까야
image
13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