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 구사론 아비달마 구사론 세부목차
-
아라마
- 0
- 0
출처 | 수집자료 |
---|
세부 목차
(영문알파벳은 傍論임)
[권제1]
서 설
1) 서분(序分) ― 귀경게(歸敬偈)/1
2) 아비달마[對法]의 본질/3
3) 아비달마코샤[對法藏]의 의미/4
4) 아비달마의 목적과 설자(說者)/5
제1편 계품(界品)
Ⅰ. 제법의 분별(1) ―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1. 유루법과 유루의 의미/6
2. 무루법과 무루의 의미
1) 무루법의 종류/7
2) 특히 3무위법에 대하여
(1) 허공(虛空)/8
(2) 택멸(擇滅)/8
(3) 비택멸(非擇滅)/9
3. 유위법과 그 이명(異名)/10
4. 유루의 이명/12
Ⅱ. 제법의 분별(2) ― 5온(蘊)·12처(處)·18계(界)
1. 색온(色蘊) 총론/13
1) 5근(根)/14
2) 5경(境)/15
3) 5식(識)과 5경의 인식관계/19
4) 무표색(無表色)/20
5) 4대종(大種)/22
(1) 가(假)의 4대와 실(實)의 4대/24
6) 색(色)의 의미/24
7) 10처와 10계의 건립/27
2. 수온(受蘊)·상온(想蘊)·행온(行蘊)과 법처(法處)·계(界)/28
3. 식온(識?)과 의처(意處)와 7식계(識界)/30
4. 특히 의계(意界)에 대하여/31
5. 18계의 성립이유/31
Ⅲ. 온·처·계의 3과(科)의 분별
1. 일체법과 3과의 상호 포섭관계/32
2. 18계의 조건 ― 안·이·비처는 왜 각기 2계가 아닌가/34
3. 3과의 명의(名義)와 가실론(假實論)/35
4. 3과 건립의 이유/40
5. 수(受)와 상(想) 만을 별도의 온으로 건립한 이유/41
6. 5온과 무위법/42
7. 5온의 순서/43
8. 6근(6경·6식)의 순서/44
Ⅳ. 3과 분별에 따른 그 밖의 문제들
1. 색처(色處)와 법처(法處)/46
2. 교법(敎法,즉 법온)과 5온과의 포섭관계/48
3. 8만 4천 법온의 양에 대하여/49
4. 그 밖의 다른 온·처·계와 3과의 포섭관계/49
5. 6계 중의 공계(空界)와 식계(識界)에 대하여/52
[권제2]
Ⅴ. 18계 법의 제문분별(諸門分別)
1. 유견(有見)·무견(無見), 유대(有對)·무대(無對) 분별/54
2. 선·불선·무기의 3성(性) 분별/57
3. 3계와의 계속(繫屬)관계 분별/58
4. 유루·무루 분별/62
5. 유심유사(有尋有伺) 등의 분별/63
1) 5식신(識身)의 무분별의 문제/64
6. 유소연(有所緣)·무소연, 유집수(有執受)·무집수 분별/66
7. 대종·대종소조, 극미(極微)의 가적집(可積集)·비적집(非積集) 분
별/67
8. 능절(能折)·소절(所折), 능소(能燒)·소소(所燒), 능칭(能稱)·소칭(所稱) 분별/70
9. 이숙생(異熟生)·소장양(所長養)·등류성(等流性)·유실사(有實事)·일찰나(一刹那)의 분별/72
10. 득(得)·성취(成就) 분별/75
11. 내(內)·외(外) 분별/77
12. 동분(同分)·피동분(彼同分) 분별/79
13. 견소단(見所斷)·수소단(修所斷)·비소단(非所斷)의 3단(斷) 분별/82
14. 견(見)·비견(非見) 분별/84
1) 근견(根見)과 식견(識見)/86
a. 일안견(一眼見)과 이안견(二眼見)/92
b. 근과 경의 접촉·불접촉의 문제/93
c. 근과 경의 양적 관계/99
d. 5근의 극미 배열/100
e. 6식과 6근의 시간적 관계/102
f. 근 만이 식의 소의가 되는 이유/103
g. 식의 명칭이 근에 따라 설정된 이유/104
h. 근·경·식과 소의신의 3계 9지(地)에 따른 관계/105
15. 능식(能識)·소식(所識), 상(常)·무상(無常), 근(根)·비근(非根) 분별/109
[권제3]
제2편 근품(根品)
Ⅰ. 근(根)
1. 근의 본질과 작용/111
1) 식견가의 이설(異說)/115
2. 근의 설정 조건/118
1) 식견가의 이설/120
3 제근(諸根)의 설명/122
Ⅱ. 22근의 제문분별
1. 유루·무루 분별/126
2. 이숙·비이숙 분별/128
a. 유다수행(留多壽行)과 사다수행(捨多壽行)/128
3. 유이숙(有異熟)·무이숙(無異熟) 분별/136
4. 선·불선·무기의 분별/138
5. 3계계(界繫) 분별/139
6. 견·수·비소단 분별/140
Ⅲ. 22근의 획득과 성취
1. 3계 초생(初生) 시 처음으로 획득하는 이숙근의 수(數)/141
2. 3계 명종시에 최후로 멸하는 근의 수/144
3. 사문과(沙門果)를 획득하게 하는 근의 수/145
4. 22근 상호간의 성취·불성취의 관계/148
5. 최소한과 최대한으로 성취되는 근의 수/152
[권제4]
Ⅳ. 유위제법의 구생론(俱生論)
1. 5위(位)의 제법/155
2. 색법의 구생관계/155
3. 심(心)·심소(心所)·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의 구생관계/160
Ⅴ. 심소법이란 무엇인가?
1. 총론/161
2. 대지법(大地法)/162
3. 대선지법(大善地法)/164
4.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168
5.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172
6.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172
7. 심소법의 구생관계
1) 욕계 제 심소의 구생관계/174
2) 색·무색계 제 심소의 구생관계/178
8. 서로 유사한 심소법의 분별
1) 무참(無?)과 무괴(無愧)의 분별/180
2) 애(愛)와 경(敬)의 차별/182
3) 심(尋)과 사(伺)의 차별/185
4) 만(慢)과 교(?)의 차별/187
9. 심·심소법의 이명(異名)과 5의평등(義平等)/189
Ⅵ. 불상응행법이란 무엇인가?
1. 총론/190
2. 득(得)과 비득(非得)/191
1) 경량부의 비판과 종자상속의 전변과 차별/194
2) 득의 제문분별/200
3) 삼세의 제법과 삼세의 득/202
4) 비득의 제문분별/204
a. 이생성(異生性)에 대하여/206
[권제5]
3. 동분(同分)/210
4. 무상과(無想果)/215
5. 무상정(無想定)/216
6. 멸진정(滅盡定)/219
1) 무상정과 멸진정의 같은 점과 다른 점/224
7. 명근(命根)/231
a. 목숨과 죽음의 관계/235
b. 목숨은 상속신에 따라 머무는 것인가, 한 주기로 머무는 것인가/235
8. 생(生)·주(住)·이(異)·멸(滅)의 유위4상(相)/240
1) 4본상(本相)/240
2) 4수상(隨相)/242
9. 명(名)·구(句)·문신(文身)/257
10. 불상응행법의 제문분별/263
[권제6]
Ⅶ. 제법의 인과론(1)
1. 6인론(因論)
1) 총설/266
2) 능작인(能作因)/267
3) 구유인(俱有因)/270
(1) 심수전법(心隨轉法)이란 무엇인가?/271
4) 동류인(同類因)/277
5) 상응인(相應因)/289
6) 변행인(遍行因)/290
7) 이숙인(異熟因)/293
8) 6인과 삼세의 관계/298
2. 5과론(果論)
1) 총설/299
2) 택멸무위와 6인·5과의 관계/300
3) 택멸에 대한 유부와 경량부의 가실(假實)논쟁/303
4) 6인과 5과의 관계/313
5) 이숙과(異熟果)/315
6) 등류과(等流果)/317
7) 이계과(離繫果)와 사용과(士用果)/318
8) 증상과(增上果)/318
3. 6인의 취과(取果)와 여과(與果)/319
4. 이사(異師)의 9과(果)설/322
5. 제법과 6인의 관계/323
[권제7]
Ⅷ. 제법의 인과론(2)
1. 4연론(緣論)
1) 인연(因緣)/327
2) 등무간연(等無間緣)/327
3) 소연연(所緣緣)/334
4) 증상연(增上緣)/335
2. 4연의 작용/336
3. 제법의 연생(緣生)관계/337
1) 외도의 1인(因, 자재천) 생론 비판/339
4. 특히 대종과 소조색의 상호 연생관계/343
5. 등무간연으로서 심·심소법의 상생(相生)관계/344
1) 3계 12심(心)/344
2) 12심의 상생관계/345
3) 3계 20심과 그 상생관계/349
6. 12심에 따라 획득되는 마음의 수(數)/358
[권제8]
제3편 세간품(世間品)
Ⅰ. 유정세간과 기세간(器世間)
1. 3계(界)/363
1) 욕계/364
2) 색계/365
3) 무색계/366
4) 3계의 명의(名義)/368
5) 3계의 수(數)/371
6) 3계의 존재형태/372
2. 5취(趣)/373
3. 7식주(識住)/377
4. 9유정거(有情居)/383
5. 4식주(識住)/385
Ⅱ. 유정의 종류와 그 전생(轉生)
1. 4생(生)/388
2. 중유(中有)/392
3. 중유의 가실(假實) 논쟁/393
[권제9]
4. 중유의 형상과 4유(有)/405
5. 중유의 여러 특징 ― 9문(門)분별/409
6. 중유의 4종 입태(入胎)/417
7. 무아와 윤회상속/420
1) 태내(胎內) 5위/422
Ⅲ. 12연기(緣起)에 따른 윤회전생
1. 12지(支)의 3세(혹은 2세) 양중(兩重)의 인과/425
2. 12지의 본질/427
3. 연기에 대한 네 가지 해석과 분위연기(分位緣起)/430
4. 12연기를 오직 유정에만 적용시킨 이유/433
5. 3세양중의 인과의 조직
1) 혹(惑)·업(業)·사(事)의 분별/434
2) 혹·업·사의 상생관계/436
6. 연기법과 연이생법(緣已生法)/440
1) 연기의 어의(語義)/446
7. 세친의 12연기관/452
[권제10]
8. 특히 무명(無明)에 대하여/456
1) 무명의 가실(假實) 논쟁/457
9. 명색(名色)에 대하여/461
10. 촉(觸)에 대하여
1) 6촉과 '촉'의 가실(假實) 논쟁/462
2) 유대촉(有對觸)과 증어촉(增語觸)/465
3) 8촉과 3촉/466
11. 수(受)에 대하여
1) 6수와 신(身)·심수(心受)/467
a. '촉'과 '수'의 시간적 관계에 대한 논쟁/468
2) 심수 ― 18의근행(意近行)/474
3) 18의근행의 계계(界繫)분별과 그 소연/476
4) 18의근행의 유루·무루, 성취·불성취 등에 대한 분별/479
12. 그 밖의 다른 지(支)에 대해 설하지 않는 이유/482
13. 비유(譬喩)에 의한 혹·업·사의 관계/482
14. 4유(有)의 염·불염과 3계에서의 존재유무/485
Ⅳ. 유정의 지속·사멸과 세 가지 결정적 부류[定聚]
1. 유정의 지속[4有]과 4식(食)/484
a. 중유의 다섯 이명(異名)/489
2. 유정이 사멸할 때의 의식 등에 대하여/496
3. 생기·지속·사멸하는 유정의 세 가지 부류/500
[권제11]
Ⅴ. 기세간(器世間)의 구조 및 유정의 크기와 수명
1. 3계의 근본인 3륜(輪)/502
2. 9산(山)/504
3. 8해(海)/508
4. 4대주(大洲)/510
1) 8중주(中洲)/511
5. 남섬부주(南贍部洲)의 산하/513
6. 날락가(捺落迦,지옥)/513
1) 8열지옥(熱地獄)/514
2) 8날락가의 16증(增)/515
3) 옥졸에 대하여/518
4) 8한지옥(寒地獄)과 고지옥(孤地獄)/519
7. 방생과 아귀의 주처(住處)/521
8. 해와 달/521
1) 낮과 밤의 길이의 변화/524
9. 제천(諸天)과 그 유정
1) 지거천(地居天)
(1) 묘고산(妙高山)의 4층급 ― 4대왕중천(大王中天)/525
(2) 삼십삼천(三十三天)/527
2) 4공거천(空居天)/531
3) 6욕천(欲天)의 행음상(行 相)/532
4) 갖 태어난 천중(天衆)의 크기와 언어/533
5) 욕생(欲生)과 낙생(樂生)/534
6) 각 천(天) 사이의 거리/535
(1) 하천(下天) 유정의 상승/537
7) 온갖 천궁(天宮)의 너비/538
(1) 3천 대천세계/538
10. 유정의 신체적 크기/539
11. 유정의 수명의 길이
(1) 선취 유정의 수명/541
(2) 악취 유정의 수명/544
(3) 중간의 요절/546
[권제12]
Ⅵ. 공간과 시간의 단위 및 세계의 주기
1. 공간(色)과 시간의 단위
1) 공간과 시간과 말의 극소단위/548
2) 공간 즉 길이의 단위/549
3) 시간의 단위/551
2. 성(成)·주(住)·괴(壞)·공(空)의 4겁/553
1) 괴겁(壞劫)/554
2) 성겁(成劫)/557
3) 주겁(住劫)/558
4) 겁의 본질/559
a. 수(數)의 단위 ― 60수/560
b. 보살이 불과(佛果)를 획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까닭/561
c. 부처와 독각이 출현하는 시기/563
d. 전륜왕이 출현하는 시기와 종류/566
e. 시방세계의 일불설(一佛說)과 다불설(多佛說)/568
3. 겁초(劫初)의 유정과 국왕의 옹립/573
4. 겁이 감소할 때의 크고 작은 세 재앙
1) 소삼재(小三災)/576
2) 대삼재(大三災)/579
a. 극미의 파괴와 관련된 유부와 승론(勝論)의 논쟁/580
[권제13]
제4편 업품(業品)
Ⅰ. 업
1. 총설 ― 업의 본질과 종류/589
2. 신업(身業)과 어업(語業)의 본질/591
3. 신·어의 표업
1) 신표업의 본질과 정량부의 '행동설' 비판/592
2) 경량부의 형색(形色) 비실재론/598
3) 경량부에 있어 신표업의 본질/602
4) 비바사사의 신·어의 표업의 본질/604
4. 무표업
1) 서설 ― 경량부의 무표업 비판/604
2) 유부의 무표업 실유의 논증/605
3) 경량부의 유부논증 비판/607
5. 업과 대종
1) 표업과 무표업의 근거로서의 대종/615
2) 무표업과 대종의 전후관계/616
3) 표업과 대종의 계지(繫地)관계/617
6. 무표업과 표업의 존재유형과 대종/617
a. 무표업과 표업의 3성(性)·계지분별/620
b. 3성의 근거가 되는 4종의 선·불선과 2종의 무기/624
c. 표·무표업을 낳는 두 가지 등기심/627
[권제14]
Ⅱ. 세 가지 무표업 ― 율의·불율의·비율의비불율의
1. 율의(律儀)
1) 세 종류의 율의/633
2) 별해탈율의(別解脫律儀)/634
3) 근사(近事)·근주(近住)·근책(勤策)·필추(苾芻)율의/637
4) 별해탈율의의 이명(異名)/639
5) 율의를 성취하는 자/641
a. 단율의(斷律儀) ― 정려율의와 도생율의/642
b. 의(意)율의와 근(根)율의/643
2. 표·무표업의 율의와 불율의의 성취
1) 무표업의 율의와 불율의 성취/644
2) 비이(非二)율의의 성취/646
3) 율의·불율의를 획득한 자의 악·선 무표의 성취 관계/647
4) 표업의 율의와 불율의의 성취/648
5) 불율의의 이명(異名)/649
6) 표업과 무표업의 성취관계/650
3. 세 종류 율의의 획득 조건/651
4. 계(戒)의 존속기한
1) 별해탈율의의 수지(受持) 기한/654
2) 불율의의 수지 기한/656
5. 근주율의(近住律儀)
1) 근주율의의 수지 방식/657
2) 8계(戒)를 수지하는 이유/660
3) 근주계를 받는 이의 자격/663
6. 근사(近事)와 근사율의
1) 삼귀의(三歸依)와 근사/663
2) 근사율의가 일어나는 시기/664
(1) 5계 정구설(定具說)과 분수설(分受說)의 논쟁/665
3) 율의의 상·중·하품의 근거/668
4) 삼귀의의 본질과 작용/669
5) 근사율의와 욕사행(欲邪行)/672
6) 근사율의와 허광어(虛狂語)/674
7) 근사율의와 음주(飮酒) ― 성죄(性罪)와 차죄(遮罪)/675
[권제15]
Ⅲ. 율의와 불율의의 획득과 버림
1. 율의와 불율의의 획득
1) 세 가지 율의의 획득 방법/678
2) 율의의 획득범위와 동기/680
3) 불율의의 획득방법/684
4) 불율의의 획득에 관한 경량부와 비바사사의 논쟁/685
5) 불율의와 처중(處中)을 획득하게 되는 조건/687
2. 율의와 불율의의 버림
1) 별해탈율의의 버림/689
(1) 4바라이법에 의한 사계(捨戒)에 대한 논쟁/690
2) 정려율의와 무루율의의 버림/695
3) 불율의의 버림/696
4) 처중무표의 버림/698
5) 비색(非色)의 선법과 염오법의 버림/699
3. 선·악율의를 성취하는 유정/700
Ⅳ. 경(經)에서 설해진 온갖 업
1. 선·악·무기의 3업/702
2. 복·비복·부동(不動)의 3업/703
3. 순락수업(順樂受業) 등의 3업/705
4. 정(定)·부정업(不定業)과 이에 따른 4업·5업·8업설/709
5. 특히 4업설에 기초한 여러 업론
1) 4업의 동시조작과 인업(引業)/712
2) 3계 5취에서의 4업의 조작/713
3) 욕계 중유에서의 업(순현법수업)의 조작/714
4) 정업 즉 정수업(定受業)의 특징/715
5) 순현법수업의 특징/716
(1) 순현법수업의 대상이 되는 공덕의 복전/717
6. 심수업(心受業)과 신수업(身受業)/719
1) 마음의 발광[心狂]/720
7. 곡(曲)·예(穢)·탁(濁)의 3업/723
[권제16]
8. 흑흑(黑黑)·백백(白白) 등의 4업
1) 흑흑·백백·흑백·비흑비백의 업/724
2) 무루업(비흑비백업)과 앞의 세 업의 관계/727
3) 흑흑 등의 4업에 대한 이설(異說)/729
9. 3모니업(牟尼業)과 3청정업(淸淨業)/729
10. 3악행(惡行)과 3묘행(妙行)/731
Ⅴ. 특히 10업도(業道)에 대하여
1. 선·악의 10업도와 묘·악행의 관계/733
2. 10업도와 표·무표업/734
3. 10업도의 가행(加行)·후기(後起)와 표·무표업/736
4. 업도의 가행과 근본과 후기에 대하여
1) 가행·근본·후기의 의미/736
2) 살생업도가 성취되는 때에 대한 논쟁/737
3) 10업도 상호간의 가행과 후기의 성취/739
5. 선·불선근과 업도의 가행과 성취
1) 불선업도의 가행으로서의 불선근/740
2) 선업도의 가행으로서의 선근/744
3) 불선근과 악업도의 구경·성취/745
6. 악업도의 대상/746
7. 특히 살생업도와 죄의 획득에 대하여
1) 죽이는 자가 죽인 자와 동시 혹은 먼저 죽는 경우/746
2) 죽이는 자가 다수인 경우/747
8. 업도의 성취조건
1) 살생업도의 성취조건/748
(1) 찰나멸의 온에 대한 살생의 성취문제/749
(2) 명근의 주체/755
(3) 이계자(離繫者,자이나교)의 결과론 비판/750
2) 불여취(不與取)의 성취조건/751
3) 욕사행(欲邪行)의 성취조건/752
4) 허광어(虛狂語)의 성취조건/754
a. 견(見)·문(聞)·각(覺)·지(知)에 대한 논쟁/756
5) 이간어(離間語)·추악어(?惡語)·잡예어(雜穢語)의 성취 조건/760
6) 탐·진·사견의 성취조건/762
[권제17]
9. 업도(業道)의 명의(名義)/765
10. 단선근(斷善根)과 업도/767
(1) 속선근(續善根)에 대하여/773
11. 업도와 사(思)심소의 구전(俱轉)관계/775
12. 3계 5취에서의 업도의 성취와 현행/779
13. 업도에 의해 획득되는 과보/782
a. 사명(邪命)을 사어(邪語)·사업(邪業)과는 별도로 설한 이유/785
Ⅵ. 업과 그 과보
1. 유·무루업과 5과(果)/787
2. 3성(선·악·무기)의 업과 3성법의 인과관계/789
3. 3세의 업과 3세법의 인과관계/791
4. 제지(諸地)의 업과 제지법의 인과관계/792
5. 3학(學)의 업과 3학법의 인과관계/793
6. 3단(斷)의 업과 3단법의 인과관계/794
Ⅶ. 아비달마(本論)에서 설해진 온갖 업
1. 마땅히 지어서는 안 되는 업 등의 3업/795
2. 인업(引業)과 만업(滿業)
1) 인업과 만업/797
2) 유루법과 인기와 원만/799
3. 업·번뇌·이숙의 3장(障)
1) 3장의 본질과 작용/800
2) 3장이 일어나는 처소/803
[권제18]
Ⅷ. 특히 업장(業障)에 대하여
1. 5무간업(無間業)의 본질/805
a. 승가의 파괴[破僧]/806
b. 승가를 파괴하는 자가 성취하는 죄/807
c. 승가의 파괴에 관한 여러 사정/808
d. 승가가 파괴되는 최소한의 인원과 처소/809
e. 법륜승(法輪僧)이 파괴되지 않는 시기/810
2. 무간업이 역죄(逆罪)가 되는 이유/812
3. 역죄의 가행은 바꿀 수 없다/815
4. 가장 무거운 죄와 가장 큰 과보를 초래하는 세간의 선업/816
5. 무간업과 동류의 업/818
6. 세 시기에 장애가 되는 업/819
Ⅸ. 보살과 그가 닦는 업
1. 보살의 결정적인 특상(住定位)/820
2. 보살이 닦는 묘상(妙相)의 업/821
3. 석가보살이 공양한 부처의 수와 친견한 부처/824
4. 석가보살의 6바라밀다 수행/825
Ⅹ. 시류(施類)·계류(戒類)·수류(修類) 세 가지 복업사(福業事)
1. 복업사의 정의와 세 가지의 본질/827
2. 시류의 복업사
1) 보시와 그 과보/829
2) 보시의 목적/831
3) 보시의 과보가 다른 이유/832
(1) 시주(施主)에 의한 차별/832
(2) 시물(施物)에 의한 차별/833
(3) 보시를 받는 복전(福田)에 의한 차별/834
4) 최상의 보시/836
5) 무량의 과보를 획득하게 되는 이생(異生)의 복전/837
6) 업의 경중(輕重)
(1) 6인(因)에 의한 경중/838
(2) 조작업(造作業)과 증장업(增長業)/839
7) 제다(提多)에 보시할 때의 복/841
8) 보시에 의한 복의 성격은 마음에 따른다/843
3. 계류복업사/843
4. 수류복업사/846
5. 계류·수류복업사의 과보/846
6. 범복(梵福)의 양과 그 과보/847
7. 법시(法施)/848
8. 순복분(順福分)·순해탈분·순결택분의 선업/849
?. 업품 여론(餘論)
1. 세간 일상사의 업 ― 서(書)·인(印)·산(算)·문(文)·수(數)의 본질/850
2. 제법의 이명(異名)/851
[권제19]
제5편 수면품(隨眠品)
Ⅰ. 수면론 일반
1. 수면의 공능/853
2. 근본 6수면/854
3. 7수면/854
a. 욕탐과 수면의 관계에 대한 제부파의 논쟁/855
4. 10수면/860
5. 98수면으로의 전개/861
1) 98수면과 견(見)·수소단(修所斷)/864
2) '견(見)'의 차별로서의 5견의 본질/867
(1) 계금취견이 견고소단(見苦所斷)인 이유와 이에 대한 비판/870
3) 4전도(顚倒)
(1) 4전도의 본질/873
(2) 전도의 조건/874
(3) 12전도와 유부의 견소단론/876
6. 만(慢)의 차별에 대하여
1) 만의 종류/878
2) 만의 견·수소단/880
3) 미단(未斷)의 성자에게 만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881
Ⅱ. 98수면의 제문(諸門)분별
1. 변행(遍行)·비변행(非遍行) 분별/882
1) 11변행혹(遍行惑)/883
2) 9상연혹(上緣惑)/885
3) 변행과 그 수행법(隨行法)/886
2. 유루연(有漏緣)·무루연 분별/887
3. 상응수증(相應隨增)과 소연수증(所緣隨增)/891
4. 무기·불선 분별/893
5. 불선근·비불선근(즉 무기근) 분별
1) 불선근 분별/895
2) 무기근 분별/895
a. 14무기(捨置記)와 4문기(問記)/897
[권제20]
Ⅲ. 수면의 계박(繫縛)·수증(隨增)과 생기
1. 수면의 계박 ― 3세에 걸친 수면과 그 경계의 관계/904
a. 3세법의 실유의 논증/906
b. 3세의 차별에 관한 4대논사의 이설(異說)/909
c. 위부동설(位不同說)과 유부논증에 대한 경량부의 비판/913
d. 3세실유에 대한 비바사사의 정의(正義)/924
2. 경계 대상의 끊어짐과 계박의 관계/925
3. 수면의 수증 ― 법(所繫事)과 식(能繫事)의 관계/926
4. 유수면심(有隨眠心)/930
5. 10수면의 생기순서/932
6. 번뇌생기의 인연/933
Ⅳ. 온갖 번뇌에 관한 그 밖의 문제
1. 경에서 설한 번뇌의 여러 명칭
1) 누(漏)·폭류(瀑流)·액( )·취(取)의 명칭과 종류/934
2) 3루 등의 본질/944
2. 수면의 명의(名義)와 이명(異名)/940
[권제21]
3. 번뇌의 그 밖의 명칭
1) 총론/943
2) 9결(結)/943
3) 5하분결(下分結)/947
4) 5상분결(上分結)/950
5) 3박(縛)/950
6) 수면(隨眠)/951
7) 수번뇌(隨煩惱)/952
(1) 총론/952
(2) 10전(纏)/953
(3) 6번뇌구(煩惱垢)/955
8) 수번뇌의 제문분별
(1) 견·수소단분별/957
(2) 악·무기분별/958
(3) 계계(界繫)분별/958
4. 근본번뇌(수면)와 수번뇌의 6식(識) 상응분별/959
5. 근본번뇌와 수번뇌의 5수근(受根) 상응분별
1) 근본번뇌와 5수근 상응분별/960
2) 수번뇌와 5수근 상응분별/962
6. 5개(蓋)/963
Ⅴ. 번뇌의 단멸(斷滅)
1. 단혹(斷惑)의 네 가지 원인/967
2. 4종의 대치(對治)/969
3. 혹이 끊어지게 되는 처소/971
4. '멀리한다'는 것(遠性)의 네 종류/972
5. 혹의 재단(再斷)과 이계의 중득(重得)에 대하여/974
6. 단변지(斷遍知)/977
1) 9변지의 명칭/978
2) 도과(道果)로서의 9변지 분별/980
3) 9변지의 건립 이유/983
4) 변지를 성취하는 유정/985
5) 불환과와 아라한과에 한 가지 변지만을 설정하는 이유/987
6) 변지의 획득과 상실/988
[권제22]
제6편 현성품(賢聖品)
Ⅰ. 도(道) ― 견도와 수도의 본성/990
Ⅱ. 성제론(聖諦論)
1. 4제(諦)/991
1) 고제(苦諦)에 대하여
(1) 3고(苦)와 유루행/996
(2) 도제(道諦)와 행고(行苦)/998
(3) 낙수(樂受)가 괴로움인 까닭/999
(4) 낙수의 가실(假實) 논쟁/1000
2) 집제(集諦)에 대하여/1009
2. 2제설/1012
Ⅲ. 견도의 가행론(加行論)
1. 계(戒)의 안주와 문(聞)·사(思)·수소성(修所成)의 3혜(慧)/1014
2. 신기청정(身器淸淨)/1016
1) 신심원리(身心遠離)/1017
2) 희족소욕(喜足少欲)/1017
3) 4성종(聖種)/1018
3. 5정심관(停心觀)
1) 총설/1019
2) 부정관(不淨觀)/1021
(1) 부정관의 목적과 네 가지 탐(貪)/1021
(2) 부정관의 단계/1022
(3) 부정관의 제문분별/1024
3) 지식념(持息念)/1025
(1) 숨에 대하여/1030
[권제23]
4. 별상념주(別相念住)/1032
5. 총상념주(總相念住)/1037
6. 4선근(善根)/1038
1) 난선근(煖善根)/1038
2) 정선근(頂善根)/1040
3) 인선근(忍善根)/1041
4) 세제일법(世第一法)/1042
5) 4선근의 행수(行修)와 득수(得修)/1043
6) 4선근의 제문분별/1044
7) 4선근의 공능/1046
8) 4선근위에서의 3승(乘)의 전근(轉根)/1051
9) 4선근위에 이르기까지의 수행기간/1053
Ⅳ. 견도위(見道位) ― 성제의 현관(現觀)
1. 견도 16심(心)/1055
1) 16심의 돈(頓)·점현관론(漸現觀論)/1059
2) 16심의 소의지(所依地)/1061
2. 인(忍)·지(智)의 작용과 순서/1062
3. 16심의 견(見)·수도(修道) 분별/1063
4. 견도와 초월증(超越證)의 성자/1065
1) 견도위의 성자(隨信行·隨法行)/1066
2) 수도위(견도 제16심)의 성자(信解·見至)/1067
3) 제16심의 성자가 일래향(一來向) 등이 아닌 까닭/1068
Ⅴ. 수도위(修道位)
1. 수혹(修惑)과 그 대치도의 수(數)/1070
2. 수도위의 성자
1) 예류과(預流果)/1072
[권제24]
2) 일래향(一來向)과 일래과(一來果)/1078
3) 불환향(不還向)과 불환과(不還果)/1080
(1) 총론/1081
(2) 7종 불환/1082
(3) 9종 불환/1088
(4) 7선사취(善士趣)/1090
(5) 경생(經生)의 성자의 경우/1092
(6) 정려의 잡수(雜修)/1095
(7) 5정거천(淨居天)/1097
(8) 신증(身證)의 불환/1098
(9) 근기와 지(地) 등에 따른 불환의 종류/1099
Ⅵ. 무학위(無學位)
1. 아라한향(阿羅漢向)과 아라한과(阿羅漢果)
1) 아라한향과 금강유정(金剛喩定)/1101
2) 진지(盡智)와 아라한과/1104
3) 유학과 무학/1105
3) 성자론 총결 ― 8성자/1106
a. 유·무루도와 이염(離染)의 관계/1107
b. 유·무루도와 이계득(離繫得)의 관계/1108
c. 유·무루도와 이염의 소의지(所依地)관계/1110
d. 근분정(近分定)의 이염과 해탈도의 관계/1111
e. 유루 세간도(6行觀)의 소연과 행상/1112
2. 진지 이후에 생겨나는 지(智)에 대하여/1113
3. 사문성(沙門性)과 사문과(沙門果)
1) 사문의 본성(무간·해탈도)과 그 과보/1114
2) 사문과로서 네 가지 만을 설한 이유/1115
3) 초월증의 일래·불환이 사문과인 이유/1117
4) 사문성의 이명(異名)/1118
(1) 전법륜(轉法輪)에 대하여/1120
5) 사문과의 소의신/1121
[권제25]
4. 아라한의 6종성(種姓)
1) 6종성의 아라한/1124
2) 아라한의 유퇴론(有退論)/1126
3) 사문과의 퇴(退)·무퇴(無退)와 이에 관한 제부파의 논쟁/1128
4) 유학위와 범부위의 6종성/1138
5) 물러남[退]의 세 종류/1139
6) 퇴과(退果) 후의 재득(再得) 그 때 짓는 업에 대하여/1141
5. 연근(練根)의 도/1142
6. 무학위의 성자 ― 9무학/1144
Ⅶ. 유·무학위에 걸친 제문제
1. 7성자의 차별의 근거/1145
2. 특히 구해탈과 혜해탈에 대하여/1147
3. 원만한 유학과 무학의 조건/1147
Ⅷ. 도(道)에 관한 여러 이론
1. 가행·무간·해탈·승진의 네 가지 도/1149
2. 고(苦)·낙(樂)의 4통행(通行)/1150
3. 37보리분법(菩提分法)
1) 그 명칭과 수(數)/1151
2) 보리분법의 본질/1153
(1) 특히 염주(念住)·정단(正斷)·신족(神足)의 본질/1154
(2) 5근(根)과 5력(力)의 차이/1155
3) 수행의 각 단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보리분법/1156
4) 보리분법의 유루·무루 분별/1159
5) 보리분법의 소의지/1159
4. 4종의 증정(證淨)/1161
5. 정지(正智)와 정해탈(正解脫)
1) 무학의 정지와 정해탈/1163
2) 무학심이 정해탈하는 때/1166
3) 무학심의 생장(生障)이 끊어지는 때/1167
4) 단(斷)·이(離)·멸(滅) 3계의 무위해탈/1168
6. 싫어함[厭]과 떠남[離]의 관계/1169
[권제26]
제7편 지품(智品)
Ⅰ. 서설 ― 인(忍)과 지(智)와 견(見)의 관계/1171
Ⅱ. 지(智)의 종류와 차별
1. 10지의 전개/1172
1) 유루지(世俗智)와 무루지(法·類智)/1173
2) 무루의 8지/1174
3) 특히 타심지(他心智)에 대하여/1175
4) 진지(盡智)와 무생지(無生智)의 차별/1178
2. 10지 상호의 포섭관계/1179
3. 유·무루지를 10지로 건립한 이유/1180
4. 법지와 유지의 대치력의 한계/1181
Ⅲ. 10지의 행상(行相)
1. 10지의 여러 행상/1182
a. 타심지의 소연으로서 유탐심(有貪心) 등 22심에 대한 논쟁/1183
2. 무루지와 16행상/1191
3. 16행상의 실체와 명의(名義)/1193
Ⅳ. 10지의 제문분별
1. 3성·소의지·소의신 분별/1199
2. 10지와 4념주와의 상호포섭 관계/1200
3. 10지의 소연의 경계에 대하여
1) 10지 상호간의 인식관계/1201
2) 10지의 소연의 경계/1202
3) 특히 세속지의 소연의 경계/1203
4. 행자가 성취하는 지의 종류/1205
5. 온갖 수행위에서의 10지의 습수(習修)와 득수(得修)
1) 견도위에서의 습수와 득수/1206
2) 수도위에서의 습수와 득수/1210
3) 무학위에서의 습수와 득수/1212
4) 그 밖의 계위와 공덕을 닦을 때의 습수와 득수/1213
5) 득수와 소의지의 관계/1217
6) 닦음[修]의 네 종류/1220
[권제27]
Ⅴ. 지(智)에 의해 획득되는 공덕
1. 부처의 18불공덕(不共德)
1) 총론/1223
2) 10력(力)/1224
(1) 부처의 심력(心力)/1224
(2) 부처의 신력(身力)/1228
3) 4무외(無畏)/1229
4) 3념주(念住)/1230
5) 대비(大悲)/1232
(1) 대비와 '비'1234의 차이점/1233
6) 제불(諸佛) 공덕의 동이(同異)/1234
7) 여래의 3덕(德)/1235
2. 부처와 성자에 공통되는 공덕
1) 총론/1237
2) 무쟁(無諍)/1238
3) 원지(願智)/1239
4) 4무애해(無?解)/1241
(1)무쟁 등과 변제정(邊際定)/1244
3. 부처와 성자와 이생에 공통되는 공덕
1) 6통(通)/1246
2) 3명(明)/1252
3) 3시도(示導)/1254
4) 특히 신경통(神境通)에 대하여/1255
(1) 신경통의 과보인 변화와 능히 그것을 낳는 마음/1257
5) 천안통(天眼通)과 천이통(天耳通)에 대하여/1262
6) 5통의 획득 방법/1264
[권제28]
제8편 정품(定品)
Ⅰ. 선정(禪定)
1. 4정려(靜慮)/1266
(1) 심일경성(心一境性)에 대한 논쟁/1267
2. 4무색정(無色定)/1270
(1) 무색계에서의 색의 존재유무에 대한 논쟁/1272
3. 8등지(等至)와 미(味)·정(淨)·무루등지/1280
4. 정려등지에 관한 제문제
1) 정려지(靜慮支)/1281
2) 정려지의 실제적 본질/1283
(1) 정려지에 대한 유부와 경량부의 논쟁/1284
3) 염정려(染靜慮)의 지(支)에 대하여/1291
4) 정려의 동(動)과 부동(不動)/1292
5) 생(生) 정려의 수(受)에 대하여/1293
(1) 위의 세 생정려에서 안식 등을 일으키게 되는 근거/1294
5. 미·정·무루의 세 등지에 관한 제문제
1) 등지를 처음으로 획득하는 방식/1295
2) 세 등지의 상생(相生) 관계/1298
3) 정(淨)등지의 4분정(分定)과 그 상생관계/1301
4) 한 단계 뛰어넘어 등지를 닦는 방식/1303
5) 등지의 소의신/1304
6) 등지의 경계/1305
7) 단혹(斷惑)의 등지/1306
8) 특히 근분정(近分定)에 대하여/1307
9) 중간정려와 근분정의 차이/1308
6. 경에서 설한 여러 등지(等持, 즉 삼마디)
1) 유심유사(有尋有伺) 등의 세 삼마지/1310
2) 공(空)·무원(無願)·무상(無相) 삼마지/1310
3) 공공·무원무원·무상무상 삼마지/1313
4) 네 가지 수등지(修等持)/1315
[권제29]
Ⅱ. 선정에 의해 일어나는 공덕
1. 4무량(無量)/1319
(1) 4무량의 가행과 성만(成滿)/1324
2. 8해탈(解脫)/1326
3. 8승처(勝處)/1331
4. 10변처(遍處)/1333
5. 해탈 등의 세 공덕의 득과 소의신/1343
6. 선정을 일으키는 인연/1335
Ⅲ. 전(前) 8품(品)의 총결
1. 정법(正法)의 본질과 세간에 머무는 기간/1337
2. 본론을 짓게 된 취지/1338
3. 탄식과 권학(勸學)의 유통게(流通偈)/1339
제9편 파집아품(破執我品)
Ⅰ. 유아론 비판 총론/1340
Ⅱ. 독자부(犢子部)의 비즉비리온아(非卽非離蘊我) 비판
1. 이증(理證)에 의한 비판/1341
1) 가실(假實)에 근거한 비판/1341
(1) 불(能燒)과 땔감(所燒)의 관계에 대한 논쟁/1343
2) 독자부의 5법장설(法藏說)에 근거한 비판/1346
3) 보특가라의 '근거[所託]'에 따른 비판/1347
4) 6식(識)의 대상으로서의 보특가라 비판/1347
2. 경증(經證)에 의한 비판/1350
3. 독자부의 논란에 대한 해명과 비판/1356
1) '나는 과거세에 ……였다'는 경증/1358
(1) 일체지자(一切智者)의 의미/1359
[권제30]
2) '무거운 짐(오온)을 진 자'의 경증/1361
3) '화생(化生)의 유정'에 관한 경증/1362
4) '하나의 보특가라가 존재한다'는 경증/1363
5) 신명일이(身命一異)의 무기/1366
(1) 그 밖의 세 종류의 무기설의 의미/1369
6) '무아를 주장하면 악견처(惡見處)에 떨어진다'는 경증/1372
7) 생사유전의 주체/1373
8) '나는 옛날 세간의 도사(導師)였다'는 경증/1373
(1) 독자부와 관련하여 공견(空見)과 아견(我見) 비판/1375
9) 기억에 관한 논란
(1) 기억과 재인식/1375
(2) 능히 기억해 내는 주체/1376
(3) 기억의 소유자/1377
Ⅲ. 수론(數論,혹은 문법학자)의 유아론 비판
1. 수론의 일반적 주장과 이에 대한 비평/1379
2. 특수한 논란에 대한 해명
1) '천수는 간다'에서의 '천수'와 '간다'/1379
2) '의식이 소연을 요별(了別)한다'는 말의 의미/1380
3) 전후 의식의 유사성과 결정성/1381
Ⅳ. 승론(勝論)의 유아론 비판과 경량부(經量部)의 종자상속론
1. 승론의 일반적 주장과 이에 대한 비판/1383
2. 특수한 논란에 대한 해명과 비판
1) 업을 짓는 까닭과 자아관념[我執]/1388
2) 고락(苦樂)의 향수자/1390
3) 업의 작자와 과보의 향수자/1391
4) 비유정물에 대한 업/1392
5) 업의 상속 ― 상속의 전변과 차별/1392
6) 이숙과와 종자/1395
Ⅴ. 유통분(流通分) ― 결어/1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