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 07. 증시랑 천유에게 답하다 ⑥
-
아라마
- 16
- 0
출처 | 아라마제작 |
---|---|
구성 | TXT |
答 曾侍郎 天遊 五
[勸勿求遠效 但修般若] 又
43
來書를 細讀數過코사 足見辦鐵石心하며 立決定志하야 不肯草草호라. 但只如此崖到臘月三十日하면 亦能與閻家老子로 厮시抵하리니, 更休說豁開頂門眼하고 握金剛王寶劒하야 坐毗盧頂上也어다.
44
某-嘗謂方外道友曰 “今時學道之士- 只求速效하고 不知錯了也하야 却謂 ‘無事省생緣하야 靜坐體究하야 爲空過時光으론 不如看幾卷經하고 念幾聲佛하며 佛前에 多禮幾拜하야 懺悔平生 所作底罪過하야 要免閻家老子의 手中鐵棒이라”하나니 此是愚人의 所爲니라.
45
而今道家者流- 全以妄想心으로 想日精月華하며 呑霞服氣 尙能留形하고, 住世하야 不被寒暑所逼이온 況回此心此念하야 全在般若中耶아?
46
先聖이 明明有言하사대, “喩如太末蟲이 處處能泊호대 唯不能泊於火燄之上커든, 衆生도 亦爾하야 處處能緣호대 唯不能緣於般若之上이라”하시니,
47
苟念念에 不退初心하고 把自家心識이 緣世間塵勞底하야 回來抵在般若上이 雖今生에 打未徹이라도 臨命終時에 定不爲惡業所牽하야 流落惡道하고 來生出頭에 隨我今生願力하야 定在般若中하야 現成受用하리니 此是 決定底事라 無可疑者니라.
48
衆生界中事는 不着學하야도 無始時來로 習得熟하며 路頭亦熟이 自然取之에, 左右逢其原하나니 須着撥置어다. 出世間學般若心은 無始時來로 背違라, 乍聞知識의 說着하며 自然理會不得하나니, 須着立決定志하며 與之作頭抵하야 決不兩立이어다.
49
此處에 若入得深하며 彼處에 不着排遣 諸魔外道하야도 自然竄伏矣니라. 生處는 放敎熟하고 熟處는 放敎生이 政爲此也니, 日用做工夫處에 捉着欛柄하면 漸覺省생力時가 便是得力處也니라.
7) 증시랑 천유에게 답하다 ⑥
[빨리 구하려 말고 그저 반야지혜를 닦을 것을 권하다]
43
보내온 서신을 자세히 몇 번 읽고보니, 철석같은 마음을 갖추고 결정의 뜻을 세워 서두르지 않는다는 것을 충분히 알겠습니다. 그렇게만 지속해나가면 납월삼십일 최후의 순간이 되어서 염라대왕과 서로 겨룰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정수리의 심안을 활짝 열고 금강왕보검을 움켜쥐고 비로자나불의 정수리 위에 앉는다는 둥 말해서는 안됩니다.
44
산승은 일찍이 외도의 친우들에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오늘날 도를 배우는 선비들은 빠르게 구하려고만 하고 잘못 깨닫는 것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는 도리어 말하기를, ‘일없이 인연들을 줄이고 고요히 앉아 체득하면서 참구하는 것은 헛되이 시간만 허비하는 것이다. 경전 몇 권이라도 들여다보고 소리내어 염불이라도 하든가 부처님 전에 다양하게 예배하면서 평생에 지은 허물을 참회하여 염라대왕 손에 들린 철퇴를 면하느니만 못하다.”
이것은 어리석은 사람이나 하는 말입니다.
45
그리고 요즘 도가의 무리들은 망상심만으로 태양을 생각하고 달과 별에 정통하며 조을을 삼키고 기만 먹으면서도 몸을 유지할 수 있고, 세상에 살면서 추위와 더위에 시달리지 않는다고 하는데, 하물며 이 마음을 이렇게 념하도록 돌이켜 반야에만 오롯히 두는 것이겠습니까? [도가의 수행법이야말로 시간낭비라 할 수 있으며, 참선이 오히려 검증된 수행입니다.]
46
앞선 성인들께서도 명명백백 말씀하셨습니다.
“파리가 어디에나 머물 수 있다 해도 화염 위에서만은 머물 수 없는 것처럼, 중생들도 그러하여 어디서나 인연을 맺을 수 있어도 반야지혜 위에서만큼은 인연을 맺을 수가 없는 것이다.”
47
진실로 찰나찰나 초발심에서 물러서지 않고, 자신의 의식과 마음이 세간의 번잡함들과 인연맺는 것을 붙잡아 반야의 자리로 돌려놓는다면, 비록 금생에 확철하지 못하더라도 임종시에는 악업에 끄달려 악도에 떨어지지 않을 것이며, 내생에 태어날때는 금생의 원력을 따라 반드시 반야에 머물러 현세성불의 경계에서 노닐 것입니다. 이것은 확정된 것이니, 의심할 수 없습니다.
48
중생 세계에서 일들은 배우려고 매달리지 않아도 다겁생을 내려오며 무시이래로 훈습되어 익혀왔습니다. 인생의 여로에서도 익숙하고도 자연스럽게 취하게 되는데, 일상 어디에서나[左右] 그 근원을 만나서 반드시 뽑아버려야 합니다.
세간을 벗어나는 반야의 마음을 배우는 것은 무시이래 [우리가 살아오던 흐름의 세간법을] 위반하는 것이라서, 선지식의 말씀을 언뜻 듣는다고 저절로 이해되지는 않습니다.
확고한 뜻을 세웠다면, 그러한 [습기들을] 우선적으로 몰아내어야 하는데, 출세간법과 세간법의 두가지는 결코 양립할 수 없습니다.
49
이 반야의 자리에서 깊이 들어갈수 있다면, 저 세간의 자리에서는 온갖 마장이나 외도들을 물리치지 않더라도 저절로 항복할 것입니다. 설은 것은 익숙하게 하고, 익숙한 것은 낯설게 한다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평소 공부를 해나가는 자리에서 [내달리는 마음의] 손잡이를 꽉 쥐다가 점차 힘이 덜어지는 시절을 깨닫는다면, 그때가 바로 힘을 얻는 곳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