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 06. 증시랑 천유에게 답하다 ⑤
-
아라마
- 17
- 0
출처 | 아라마제작 |
---|---|
구성 | TXT |
6) 答 曾侍郎 天遊 五
[正印方便入道 兼顯夢覺一如] 又
36
承諭호니 “外息諸緣하고 內心無喘이라사 可以入道”는 是方便門이라. 借方便門하야 以入道則可어니와 守方便而不捨則爲病이라하니 誠如來語라. 山野- 讀之에 不勝歡喜踊躍之至호라,
37
今諸方漆桶輩는 只爲守方便而不捨하야 以實法으로 指示人이라하나니 以故로 瞎人眠이 不少로다. 所以로 山野-作辨邪正說하야 以救之호라. 近世에 魔强法弱하야 以湛入合湛으로 爲究竟者- 不可勝數며, 守方便不捨로 爲宗師者- 如麻如粟이로다. 山野- 近嘗與衲子輩로 擧此兩段호니 正如來書所說하야 不差一字라.
38
非左右- 留心般若中하야 念念不間斷則 不能洞曉 從上諸聖의 諸異方便也니라. 公이 已捉着欛柄矣라. 旣得欛柄在手어늘 何慮不捨方便門而入道耶아?
39
但只如此做工夫호대 看經敎와 幷古人語錄과 種種差別言句도 亦只如此做工夫하며, 如須彌山 放下着과 狗子無佛性話와 竹篦子話와 一口吸盡西江水話와 庭前柏樹子話에도 亦只如此做工夫하고 更不得別生異解하며 別求道理하며 別作伎倆也어다.
公이 能向急流中하야 時時自如此提掇하고 道業을 若不成就하면 則佛法이 無靈驗矣리니 記取記取어다.
40
承호니 “夜夢에 焚香하고 入山僧之室하야 甚從容이라”하니 切不得作夢會하고 須知是眞入室이니라. 不見가 舍利佛이 問須菩提호대 “夢中에 說六波羅密호니 與覺時로 同가 別가” 須菩提-云하대 “此義는 幽深하야 吾不能說이라. 此會에 有彌勒大士하니 汝往彼問하라”하니 咄, 漏逗不少로다.
41
雪竇云하대 當時에 若不放過어든 隨後與一箚이어늘 誰名彌勒이며 誰是彌勒者오? 便見冰銷瓦解로다하니 咄, 雪竇- 亦漏逗不少로다.
42
或有人이 問“只如曾待制- 夜夢에 入雲門之室이라하니 且道하라 與覺時로 同가 別가하면 雲門은 卽向他道호대 誰是入室者며 誰是爲入室者며 誰是作夢者며 誰是說夢者며 誰是不作夢會者며 誰是眞入室者오하리니 咄亦漏逗不少로다.
06. 증시랑 천유에게 답하다 ⑤
방편으로 도에 들어가는 바른 방법과 자나 깨나 일여함을 드러내다
36
말씀을 보니 “밖으로 모든 반연을 쉬고 안으로 마음이 헐떡거림지 않아다 도에 들어갈 수 있다”한 것은 방편문입니다. “방편문을 빌려 도에 들어가는 간다면 괜찮지만, 방편을 고수하면서 버리지 않으면 병통이 된다.”함은 참으로 말씀과 같습니다. 산승이 그것을 읽고 뛸뜻이 지극히 환희로운 기쁨을 이길 수 없었습니다.
37
오늘날 여러 선방에서 먹통같은 무리들은 방편만 고수하면서 버리지 않고 진실한 방법으로 삼아 남들에게 가리켜 보이는데, 이 때문에 사람들 눈을 멀게하는 일들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한 까닭에 산승이 바르고 삿된 것을 구분하는 <변사정설>을 지어서 그런 일들을 돕는 것입니다. 최근 마구니들이 강성한데 법은 약하여서, 맑음으로써 맑음에 들어가 합치하는 것을 구경으로 삼는 이들이 셀수 없이 많으며, 방편을 고수하여 버리지 않는 것을 종사로 여기는 이도 좁쌀처럼 많습니다.
산승은 요사이 납자들에게 이 두 가지를 제시해 주었는데, 정녕 보내온 서신에서 말한 것과 한 글자도 어긋나지 않습니다.
38
거사님이 찰나찰나 잠시도 끊어짐 없이 마음을 반야 가운데에 머무르지 않으면, 예부터 내려오는 거룩한 여러 다른 방편들을 환하게 밝힐 수 없습니다. 공께서 이미 칼자루를 잡았습니다. 이미 칼자루가 손 안에 있는데, 어째서 방편문을 버리고 도에 들지 못할까 염려하십니까?
39
단지 이렇게 공부를 지어가되, 경전의 가르치과 옛 어른들의 어록과 갖가지 차별언구들을 보아도 그저 이 같이 공부해 나가시고, 수미산이나 방하착과 같은 구자무불성의 화두, 죽비자 화두, 일급진서강수 화두, 정전백수자 화두 역시 이같이 공부해 나가십시오. 다시 별도의 다른 견해를 내어서는 안되며, 따로 도리를 구한다거나 별도의 기량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공께서 [번뇌의 생사윤회하는 고통 바다의] 급류의 일상에서 순간순간 스스로를 이 같이 일깨우고도 도업이 성취되지 않는다면, 불법은 영험이 없다하겠습니다. 부디 기억하십시오.
40
받아보니, “밤중 꿈에서 향을 사르고 산승의 선실에 들어오니 매우 한가로웠다”고 하셨는데, 절대 꿈에서만 일어난 것으로 알지마시고, 진짜 선실에 들어온 것이 맞다고 알아야 합니다.
들어보지 않았습니까?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물었습니다.
“꿈속에 육바라밀을 설하니, 깨어있을때와 같습니까 다릅니까?”
수보리가 말했습니다.
“그 뜻은 의미심장하여 내가 말할수 없습니다. 이 법회에 계신 미륵대사에게 그대가 가서 그것을 물어보십시오.”
(어허, 허물이 적지 않습니다.)
41
설두선사는 말했습니다.
“그 당시, 내버려 두지말고, 뒤에서 한 대 때려주어 ‘누구를 미륵이라 하는가, 누구를 미륵이라 하는가?’ 물었더라면 곧장 얼음이 녹고 기와가 부서지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쯔쯧, 설두 역시 허물이 적지 않습니다.)
42
또 어떤 사람이 “증시랑 공이 한밤 꿈에 운문의 선실로 들어갔다는데, 알려주십시오. 깨달은 때와 같습니까 다릅니까?”하고 물으면, 이에 운문이 그를 향해 말할 것입니다.
“선실에 들어간 이는 누구이며, 선실에 들어갔다고 하는 이는 누구이며, 꿈을 꾼 이는 누구이며, 꿈을 꿨다고 말하는 이는 누구이며, 꿈속의 일이 아니라고 말하는 이는 누구이며, 진정으로 선실에 들어간것이라고 하는 이는 누구인가?”
(쯔쯧, 이 역시 허물이 적지 않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