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수익은 전액 홈페이지 운영에 사용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오타 혹은 오류사항이 있는 게시글에 댓글을 달아주세요. 신고도 환영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제경서문 [제경서문 09] 기신론소서 원문현토 우리말직역

출처 아라마제작
구성 JPG,TXT

 

大乘起信論 疏 序

 

 

夫眞心寥廓하야,

絕 言象於筌蹄하며 沖漠希夷하야

忘境智於能所하니 非生非滅이라,

四相之所에도 不遷이오 無去無來三際莫之能易이로다

但以 無住爲性하야 隨派分歧하고

逐迷悟而 升沈하며 任因緣而 起滅하나니,

雖復 繁興鼓躍이나 未始動於心源이요 靜謐虛凝이나 未賞乖於業果일새,

故使 不變性而緣起染淨恒殊하고 不舍緣而即眞이라 凡聖致一이니라

其猶 波 無異濕之動이라 故即水以辨於波하고,

水 無異動之濕이라 故即波以明於水어니

是以 動靜交徹하고 眞俗雙融하고 生死涅槃夷齊同貫이니라

但以如來在世에는 根熟易調一稟尊言으로 無不懸契더니,

大師沒後에는 異執紛綸하야 或趣邪途하고 或奔小徑하니,

遂使 宅中寶藏匿濟 乏於孤窮하고 衣內明珠弗解 貧於傭作이로다

加以 大乘深旨沈貝葉而 不尋이라 群有盲徒馳異路而 莫返일새,

爰 有大士하니 厥號馬鳴이라 慨此頹綱하고 悼斯淪溺하사

將欲 啟 深經之妙旨하야 再曜昏衢하고 斥 邪見之顚眸하야 令歸正趣하되,

使 還源者 可卽하고 反本非遙하야

造 廣論於當時하사 遐益群品하시나,

旣文多義邈이라 非淺識所窺일새

悲 末葉之迷淪하사 又造斯論하시니 可謂 義豐文約이요

解行俱兼이라 中下之流因茲悟入者矣로다

 

 

기신론소서01.png

기신론소서02.png

image03.png

 

무릇 참 마음은 (허공처럼) 깊고도 텅비었으니,
통발이니 올가미니 온갖 수단으로 말이나 모양이 모두 사라지니 깊고도 고요함에 들어도 들리지 않고 보아도 보이지 않는다. 
관하는 주체와 대상을 알아보는 경계도 잊으니 일어남도 아니요 사라짐도 아닌지라
생주이멸로써 생겨나 머물다 변하고 사라지더라도
 바꿀 수 없으니 (애초에) 가는 것도 없고 오는 것도 없는지라
처음과 중간과 끝에서도 결국 참 마음을 바꿀 수는 없다.

그저 머물지 않는 무주無住를 자성으로 삼아
물줄기를 따라 갈래가 나눠지고 
미혹과 깨침을 따라 오르내리고 
인연에 따라 일어났다 사라질 뿐이다.
비록 다시 뒤섞이어 일어나 고동치며 날뛰더라도 
마음의 근본에서 애초에 움직인 적 없었고,
조용하고 고요하여 텅빈채로 멈춰있지만
업의 과보에서 일찍이 어긋난 적 없었다.
그러므로 (참 마음의) 자성은 변함없이 연에 따라 일어나 
더러움과 깨끗함은 항상 다르고,
연을 저버리지 않기에 (결국) 참된 성품으로 나아가
범부와 성인이 하나에 이른다.

이를 비유하면
물결은 젖는 성품과 다름없으면서도
움직이는 까닭에 물이라도 물결이라 구분하는 것이고,
물이 움직임과 다름없으면서도
젖는 성품인 까닭에 물결이라도 물이라 밝히는 것이니. 
이러한 까닭에 움직임과 고요함이 서로 통하고
진제와 속제가 모두 원융하고
생사와 열반이 가지런하여 하나로 꿰어지느니라. 

다만 부처님 계실때는 근기가 성숙하여 쉽게 다스려지는라
부처님 말씀을 한번만 듣고도 깨닫지 못함이 없더니
부처님 멸도 이후에는 드리워진 (많은 가르침들을) 어지러운 낚싯줄마냥 다르게 붙잡고서
혹은 삿된 길로 나아가고. 혹은 좁고 쉬운 길로 달아나니.

결국에는 집안의 보배창고를 숨겨두고도 고달픔에서 고생하고
옷속의 보배구슬을 알지못하고 품팔이하며 가난하게 사는구나.
더욱이
대승의 깊은 지취들이 경전(패엽경)에 담겨있는데 찾지도 않고
대중의 눈먼 무리들은 엉뚱한 길로 내달려 돌아오지 않으니,

이에 큰 스승이 계시니 그 이름 마명이라.
이렇게 흐트러진 기강에 분개하시고 
그렇게 점차로 쇠퇴함에 슬퍼하시어
이제 깊은 경전의 묘한 이치를 열어 어두운 길을 다시 밝히고
삿된 견해의 뒤집힌 눈동자를 물리쳐 바른 뜻으로 되돌리려 하시되,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을 그러하게 두되
근본과 어긋나는 것은 둘러가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때마침 광론인 대승기신론을 지어 모든 중생을 이익케 하시니,
그 문장이 길고도 뜻은 막막해서
얕은 식견으로는 엿볼 수조차 없으니,
말세의 어리석은 무리들을 가엾이 여기시어
다시 이 기신론을 지으시니,
의미는 두텁고 문장은 간결하며 이론과 수행을 모두 갖추었으니
중근기나 하근기 무리들도 여기서 깨달아 들어갈 수 있으리라.

 전제筌蹄 : 통발이나 올가미처럼 무언가를 붙들기 위한 온갖 수단들을 뜻한다.
 도덕경에서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 이(夷)라 하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을 희(希)라 하였다.
3) 사상四相이란 제행무상의 모습을 설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간은 생로병사하며, 존재는 생주이멸하며, 우주는 성주개공한다.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추천인 3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1

profile image
아라마 작성자 2022.09.07. 17:12

● 寥 료 : 빈집에서 느껴지는 적막함. 쓸쓸하다, 휑하다, 텅비다, 공허하다, 넓다, 드물다, 잠잠하다
● 廓 ①곽 : 둘레, 지역, 울타리 ② 확 : 비어있는 큰 집, 넓다, 크다, 휑하다, 텅비다 / 열리다, 확장하다 / 바로잡다 / 너그럽다 / 칼집 
● 筌 전 : 통발, 물고기 잡는 도구
● 蹄 제 : 올가미, 토끼잡는 도구
● 沖 충 : 비다, 공허하다, 깊다, 심원하다 / 담백하다, 겸허하다, 따뜻하고 부드럽다 / 어리다 / 오르다, 솟구치다, 높이날다 / 찌르다, 부딪치다, 상충되다, 꺼리다
● 漠 막 : 물이 없다, 사막 / 쓸쓸하다, 넓다, 광막하다, 고요하다, 조용하다, 그윽하다 / 어둡다 / 맑다 / 널리 펴다 / 자리잡다, 움직이지 않다, 우거지다, 무성하다
● 歧 기 : 갈림길, 뻗어가는 모습, 자라나는 모양, 날아가는 모양, 가다, 발돋움하다 / 천천히 걷다, 힘쓰다 / 육발이
● 鼓 고 : 북을 두드리는 모습, 두드리다, 치다, 북소리 / 부추기다, 선동하다, 격려하다, 북돋우다 / 맥박, 고동소리 / 연주하다, 악기를 타다 / 휘두르다 / 부피 단위(되)
● 躍 ①약 : 발꿈치를 들며 뛰다, 기뻐하는 모습, 뛰는 모양, 뛰게하다 / (값이)오르다, 나아가다 ② 적 : 빨리 달리다
● 謐 밀 : 언행을 조심히하다, 삼가다, 조용한 말, 조심하다, 고요하다
● 匿 ①닉 :  숨기다, 감추다, 숨다, 드러나지 않는 죄악 ②특 : 사악하다, 사특하다.
● 濟 제 : 물을 건너다, 건널수 있도록 돕다, 구제하다, 원조, 도움 / 나루, 물이름 / 도움이 되다, 성공하다, 이루다 , 쓸모있다, 유익하다, 성취하다 / 많다 / 그치다
● 爰 원 : 손을 뻗어 끌어당기는 것, 당기다, 함께 / 이에, 곧 / 함께 / 어디, 어느곳 / 바꾸다, 변경하다 / (영향이)미치다, 이르다 / 슬퍼하다 / 긴팔원숭이 / 유유히 노니는 모습 
● 慨 개 : 혼자 배불리 먹은 것을 보고 분개하는 모습, 슬퍼하다, 분노하다, 개탄하다, 격노하다, 탄식하다 / 서슴없다, 시원시원하다, 흔쾌하다 
● 頹 퇴 : 머리가 벗겨지다, 대머리, 쇠하다, 늙다, 낡다, 기울다, 무너지다, 쓰러지다 / 해이해지다 / 좇다, 떨어지다, 낙하하다, 순종하다, 따르다 / (물이)흐르다 / 품다, 생각을 가지다 / 턱, 턱뼈, 뺨아래
● 淪 ①륜 : 빠지다, 물에잠기다, 망하다, 스며들다 / 이끌다 / 물놀이 ② 논 : 물이 돌아 흐르다 ③ 관 : 성씨
● 溺 ①닉 : (물에)빠지다, 그르치다, 지나치다, 정도를 넘다 ② 뇨 : 오줌을 누다, 소변③ 약 : 연약하다
● 衢 구 : 갈림길, 네거리, 엉킨 나뭇가지 / 가다
● 茲 자 : 초록이 무성하다 / 돗자리, 이곳 / 이, 이에, 더욱, 이때 / 성씨, 나라이름
● 邈 막 : 멀다, 아득하다, 흐릿하다, 뛰어넘다 / 근심하다 / 업신여기다 / 그리다

댓글

댓글 쓰기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분류 제목 구성 출처
치문경훈 전체 현토본 - 범어사 image TXT 수집자료
승가대학 전통교과목 기타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조계종공식
제경서문
image
아라마제작,조계종공식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조계종공식
제경서문
image
PDF,PNG,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PDF,PNG,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PDF,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PDF,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JPG,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본인 작성,본인 작성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file
TXT 아라마제작
제경서문
image
본인 작성,본인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