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수익은 전액 홈페이지 운영에 사용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오타 혹은 오류사항이 있는 게시글에 댓글을 달아주세요. 신고도 환영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묘허큰스님 팔해탈

출처 아라마제작,수집자료

팔해탈(八解脫)


팔해탈은 팔배사(八背捨)라고도 한다. 팔종의 관념. 이 관념에 의하여 오욕(五欲)을 등지고 탐(貪)하고 고집(固執)하는 마음을 버리기 때문에 배사(背捨)라고 한다. 또 이것으로 삼계(三界)의 번뇌(煩惱)를 끊고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증득(證得)하므로 해탈(解脫)이라고도 한다.


1.내유색상관외색해탈(內有色想觀外色解脫) : 안으로 색욕(色欲)을 탐하는 생각이 있으므로 이 탐심(貪心)을 없애기 위하여 밖의 부정인 퍼렇게 어헐 든 빛 등을 관하여 탐심을 일어나지 않게 하는것.


2.내무색상관외색해탈(內無色想觀外色解脫) : 안으로 색욕을 탐내는 생각은 이미 없어졌으나 이것을 더욱 굳게 하기 위하여 밖의 부정한 퍼렇게 어혈든 빛 등을 관하여 탐심을 다시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


3.정해탈신작증구족주(淨解脫身作證具足住) : 깨끗한 색을 관하여 탐심을 일으키게 하지 못하게 함을 정해탈(淨解脫)이라 하고 이 정해탈을 몸 안에 증득하여 구족원만(具足圓滿)하며 정(定)에 들어 있음을 신작증구족주(身作證具足住)라고 한다.


4.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

 

5.식무변처해탈(識無边處解脫).

 

6.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

 

7.비상비비상처해탈(非想非非想處解脫) : 이 넷은 각각 능히 그 아랫자리의 탐심을 버리므로 해달이라 한다.

 

8.멸수상정해탈신작증구족주(滅受想定解脫身作證具足住) :   이것은 멸진정(滅盡定)이니 멸진정은 수(受) 상(想) 등의 마음을 싫어하여 길이 무심(無心)에 머물므로 해탈이라 한다.

 

이상은 팔해탈을 간단하게 설명해 본 것이다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댓글 쓰기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