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허큰스님 삼법인 말씀
-
아라마
- 13
- 0
출처 | 아라마제작 |
---|
삼법인(三法印)
우리는 이제까지 부처님의 오도(悟道)의 내용인 연기법(緣起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 삼법인설(三法印說)이란 어떤 것일까?
삼법인설(三法印說)은 연기법(緣起法)이 부처님의 오도(悟道)의 내용임에 대하여 부처님께서 이 연기법을 기본으로 하여 우주와 인생(人生)에 내린 여실(如實)한 단안(斷案)인 동시에 대외적으로 표방한 부처님의 사상의 삼대요망(三大要網)이라 하겠다.
삼법인(三法印)이란?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 諸法無我), 열반적정(涅槃寂靜)의 셋을 말하는데
이것을 각기 법인(法印)이라 하는 이유는
법(法)은 법리(法理)라는 뜻이요
인(印)은 인증(印證)의 뜻으로 결정코 확실히 그러하여 다시 변경할 수 없는 리법(理法)이라는 뜻에서이다.
그리고 이 삼법인(三法印)을 말함에는 이와는 달리 열반적정(涅槃寂靜) 대신 일체개고(一切皆苦)를 넣어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의 삼법인(三法印)을 말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편의상 사법인(四法印) 모두를 연기설과 결부지어 알아보면서 이에 따라 종합적인 결론을 내려보기로 하겠다.
1.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
행(行)이라 함은 현상계의 모든 사물을 가르키는 말이다. 그리고 무상(無常)이란 말은 시간적으로 보아 항상됨이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 할 때에는 모든 현상계 사물은 그 어느 하나도 시간적인 면에서 볼 때 항상한 것이 없다는 말이 된다. 만학천봉(萬壑千峰)에 떠가는 흰 구름. 그 밑을 흐르는 계곡물, 그리고 새소리, 물소리는 물론 봄 꽃, 겨울 눈, 부귀 영화, 우리 인생 까지도 어느 하나 시간적으로 봐서 영원히 존재(存在)하는 것이 있는가. 실로 이 모든 것은 인연(因緣)으로 합해졌다가 인연이 다하면 흩어질 뿐이다. 그러므로 이 제행무상(諸行無常)을 앞에 나온 연기의 정의로 볼 것 같으면 현상계 만유의 시간적 상의성 관계를 나타낸 <이것이 일어나므로 저것이 일어난다. 차기고피기(此起故彼起)>에 해당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현상계 만유는 시간적으로 보아서 하나도 독립됨이 없어 <이것이 일어나므로 저것이 일어난다.>는 원리에 위해 인연생기(因緣生起)하고 있으므로 그렇게 하여 이루워지고 또 흩어지고 하는 것이 현상계 만유(萬有 = 제행(諸行)는 결국 무상(無常)일 수 밖에는 없다는 것이다. 만일 이 세상 현상계에 시간적으로 보아서 영원한 것이 단 하나라도 있다면 그것은 법인(法印))이 될수 없겠지만 물(物). 심(心) 어느 면으로 보던지 의심할 여지도 없이 그것은 그렇지 않기에 이 제행무상(諸行無常)은 법인(法印)으로 확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무상(無常)에는 일기무상(一期無常)과 찰나무상(刹那無常)의 두가지가 있는데
ㄱ.일기무상(一期無常)이란 어느 정도의 기간(期間)에 걸쳐 세계(世界)는 성(成). 주(住). 괴(壞). 공(空)의 네가지 과정을 거치고 생물(生物)은 생(生). 노(老). 병(病). 사(死)의 네가지 과정을 거치는 것을 말하고.
ㄴ. 이러한 것도 자세히 보면 시시각각 찰나찰나 생멸변화하니 찰나무상(刹那無常)이란 곧 이것을 말하는 것이다.
2. 제법무아인(諸法無我印)
법(法)이란 함은 행(行) 같은 의미로 쓰인 말이고 아(我)라는 것은 어떤 고정된 실체(實體)를 가르키는 말이다. 따라서 제법무아(諸法無我)라고 할 때에는 현상계 만유는 공간적으로 보아 아무런 고정된 실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말이된다. 현상계으 모든 만유가 시간적으로 영원치가 않다면 거기에 어떤 고정된 실체가 없는 것은 당연하다. 만약 어떤 사물에 고정된 실체가 있다고 한다면 그 사물은 결코 변할 수가 없으며 그러면 시간적으로도 영원할 수 밖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것은 다 인연소생(因緣所生)이다. 그러므로 영원한 것도 고정된 실체도 다 없는 것이다. 이 제법무아(諸法無我)를 연기법으로 보면 모든 현상계 만유의 공간적 상의성 관계를 나타낸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다. 차유고피유(此有故彼有)>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우리는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과 제법무아인(諸法無我印)에 대해 알아 보았다. 결과적으로 볼 때 이 이인(二印)은 연기의 정의를 그대로 표명한 것에 불과하다.
즉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은 "차기고피기(此起故彼起),,를 제법무아인(諸法無我印)은 "차유고피유(此有故彼有),,를 표명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읕 어디까지나 우주(宇宙) 인생(人生)에 대한 객관적인 진리(眞理)이다. 그렇다면 이 뒤에 일체개고인(一切皆苦印)이니 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이니 하는 주관적인 법인(法印)이 따라 붙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앞의 연기법(緣起法)의 설명에서도 나온 바와 같이 부처님께서는 이러한 우주의 진리를 그저 객관적으로 중생들에게 가르쳐 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였고 부처님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이 한신 바와 같이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모든 고통을 떠나게 하시고자 함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나머지 일체개고인(一切皆苦印)과 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을 고찰하여 가면서 우리 자신과의 관계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3.일체개고인(一切皆苦印)
일체개고(一切皆苦)라 함은 모든 것은 다 고통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무상(無常)이고 무아(無我)인 객관적 존재를 존재 그대로 놓고 본다면 그것은 고통이 될수 없다. 그렇다면 이러한 객관적 존재가 고통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그것은 이것에 크개 다음과 같은 두가지 종류의 주관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ㄱ. 무상(無常)이고 무아(無我)인 존재를 놓고 유상(有常)이요 유아(有我)이길 바라기 때문이다. 그것은 중생의 헛된 욕망이다. 아무리 헛된 사물에 대하여 좋아하는 마음을 내고 영원히 붙잡아 두려고 해도 그러는 자신까지도 포함하여 모든 것은 반드시 떨어져 나간다. 그러므로 중생은 이 욕망의 불만족으로 인하여 무상(無常)이고 무아(無我)인 것에 괴로움을 느끼게 된다. 그것은 물질적인 것이던 정신적인 것이던 마찬가지이다. 재물이나 권력 등을 영원히 자기 것인양 허욕에 사료잡혀 동분서주(東奔西走)하다가 패가망신(敗家亡身)하는 이유도 다 여기에 있는 것이라 하겠다.
ㄴ. 무상(無常)이고 무아(無我)인 존재를 놓고 무상(無常).
무아(無我) 그 자체에 빠져 어차피 무상(無常)이요 무아(無我)라 하여 모든 것에 희망을 잃어버리거나 자포자기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가끔 <인생(人生)은 무상(無常)하다.>하고 탄식하거나 순간적이나마 염새주의에 사로잡히거나 하는 사람을 볼수 있다. 이런 순간 그 사람에겐 모든 것이 귀찮고 고통스러운 것으로 나타나질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며 따라서 이것이 계속되면 될수록 그의 생(生)이란 점점 더 타락의 구렁텅이로 빠저들게 될것도 당연한 일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두가지 이유는 모두 다 극단에 치우친 것으로 무상(無常)과 무아(無我)의 도리(道理)를 제대로 살려나가지 못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 도리를 가장 적절하게 살려나가야만 한다. 이것도 물론 우리 인생이 무상(無常)이요 무아(無我)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리라. 우리 인생은 무상(無常)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 결코 서글픈 감정을 유발하거나 눈물을 글썽이게 할 성질의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생이 무상(無常)하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얼마나 다행한 일인지도 모른다. 만일 인생이 유상(有常)하고 유아(有我)하다면 우리는 아무런 진보나 발전의 여지도 없이 언제까지나 이런 고통받는 중생인 인간으로서 남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 인생 또한 무상(無常) 이며 무아(無我)이기 때문에 그리고 또 고(苦)라는 것도 무상(無常)이요 무아(無我)이기 때문에 그것을 이룩한 인연(因緣)을 잘 관찰하여 그 인(因)과 연(緣) 을 제거함으로써 고통받는 중생으서로 남아있지 않고 해탈(解脫)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일체개고인(一切皆苦印)이라는 것은 위에 말한 두가지의 극단에 걸려 있는 중생계에서는 어쩔 수 없는 필연의 법칙이 되겠지만 그것을 떠난 세계에서는 하등 필요가 없는 단안(斷案)인 것으로 이런 면으로 볼 때에는 빠져도 아무런 상관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의 삼법인(三법印)을 말할 때에는 미혹(迷惑)의 중생계 입장에 서서 현실을 판단한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 일체개고(一切皆苦)는 12연기설(十二緣起說)로 보면 순관(順觀)에 해당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