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수익은 전액 홈페이지 운영에 사용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오타 혹은 오류사항이 있는 게시글에 댓글을 달아주세요. 신고도 환영합니다
    일주일 동안 열지 않기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논장 원각경 대의

출처 수집자료

 

원각경대의 

 

원명은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줄여서대방광원각경」‧「원각수다라요의경」‧「원각요의경이다. 즉 크고, 방정하고, 광대한 원각이 모든 修多羅 가운데에서 으뜸이 된다는 경의 뜻.

 

()영휘(永徽)년간에 북인도 계빈국(罽賓國) 불타다라(佛陀多羅)의 한역(연대 미확실). 대승원돈(大乘圓頓) 교리로서 관행(觀行)의 설명이다. 문수(文洙보현(普賢미륵보살 등 12보살과 부처님의 11답의 형식.

 

고려 보조지눌(知訥)조사가 원각경을 요의경(了義經~대승)이라고 선양하고, 조선초 함허득통(涵虛得通)조사는원각경해3권을 저술, 한국 불교전문강원(專門講院)에서금강경』‧『능엄경』‧『大乘起信論과 함께 四敎 교과목으로 채택하다.

 

원각경

지고한 깨달음의 원융불이(圓融不二) 경지인 원각을 돈교(頓敎)적 측면에서 밝히고, 그 수행과 깨달음의 길을 단계적으로 점교(漸敎)적 측면에서 가르치는 불교수행에 기본적 틀을 제시한 중요한 경전.

 

원각경의 구성

부처님은 삼매(神通大光明藏) 不二의 경지 장엄한 세계에서 十萬대보살과 함께 문수보살, 보현보살, 보안보살, 미륵보살 등 12명의 보살들이 차례로 나타나 부처님과 문답을 전개하는 형식으로 모두 12개의 장으로 구성되다.

 

경전의 내용

<수능엄경>을 근거하고, <대승기신론>의 교의를 첨부하여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으로 보는 학자가 많다.  그러나 그 내용은 대승의 참뜻이 잘 표현되어 있고 예로부터 널리 유포된 경전.

바가바(婆伽婆부처님) 설주(說主)는 수용신(受用身~원만한 덕을 갖춘 부처님 덕호德號)을 나투어 12보살들과의 문답을 통해 우주의 천진(天眞), 대원각(大圓覺)의 묘리(妙理)와 수행의 점차(漸次), 그리고 관행(觀行)을 설하시다.

원각경은 "삼세 여래가 수호하며, 시방보살의 귀의하는 바이요, 12부경(部經)의 깨끗한 안목(眼目)" 이라고, 현선수보살장에 말씀하고 있는 매우 존중하는 경.

 

1文殊菩薩章

누구나 본래부터 갖고 있는 圓覺에 환원還元하면 生死가 열반이고, 윤회가 해탈이 됨을 가르치고 있다.

 

2普賢菩薩章~ 11圓覺菩薩章

圓覺을 닦고 증득함에 필요한 사고와 실천의 내용을 설하고 있다.

 

12현선수보살장

이 경의 이름과 신수봉행의 방법, 그리고 수지하는 공덕과 이익 등에 대해 설하고 있다.

 

유마경(維摩經)》‧《능엄경(楞嚴經)과 함께 선()3()이며, 주석서(註釋書)는 당나라 종밀(宗密)원각경소6(圓覺經疏),원각경초20,원각경대소12(大小)9종이 있다.

 

종밀 이전에도 유각(惟慤疏1), 오진(悟眞疏2), 견지(堅志疏4), 도전(道詮疏9) 등이 있었으나, 종밀의 것을 제일로 꼽고 있다.  

또한 종밀 이후에도 많은 주석서가 나왔지만, 후세의 연구가들은 거의가 종밀의 주석서를 의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 함허득통(涵虛得通)원각경해3유일(有一)원각사기2의첨(義沾)원각경사기1등이 현존.

 

현존하는 경판

1588년 청도 운문사(雲門寺) 판각의 경판 보존.

1611년 하동 쌍계사(雙溪寺).

1655년의 순천 선암사(仙巖寺) 판각의 경판 보존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추천인 2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댓글 쓰기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03.02.14:50 319
146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04.18:23 170
145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3.09.19.22:35 2583
144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3.09.19.22:36 1890
143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3.05.05.23:20 4582
142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3.11.16.22:22 10625
141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4.07.24.00:57 1315
140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3.11.06.23:29 2465
139 불교기본
file
아라마 13.09.19.23:20 4373
138 불교기본
file
아라마 15.02.19.18:12 1202
137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4.06.16.13:56 2583
136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4.06.16.11:37 2351
135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05.05:39 176
134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06.06:40 168
133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07.06:42 165
132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08.04:45 110
131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09.05:42 153
130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10.06:39 164
129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11.08:09 126
128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12.06:44 104
127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1.13.06:43 138
126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5.03.17.22:11 1109
125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278
124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129
123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174
122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117
121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125
120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141
119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222
118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141
117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8.12:55 164
116 논문
image
아라마 21.12.15.17:29 141
115 인물
image
아라마 21.02.09.10:08 158
114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4.12.24.20:24 1514
113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4.07.24.00:40 1510
112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4.06.07.23:13 2482
111 유틸
file
아라마 13.09.10.13:04 3724
110 유틸
file
아라마 21.12.17.18:03 287
109 선어록
image
아라마 23.10.17.13:14 38
108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4.06.07.22:57 3870
107 불교기본
file
아라마 13.10.04.22:20 11235
106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6.18:01 86
105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9.11.12.22:47 338
104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9.11.12.22:46 418
103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21.12.14.17:43 326
102 불교기본
image
woon_da 21.03.29.22:32 145
101 불교기본
file
아라마 13.05.05.23:25 1660
100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4.09.01.21:28 1778
99 불교기본
image
아라마 13.10.20.09:27 2571
98 불교기본
image
woon_da 21.03.29.22:04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