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 대혜선사 행장 大慧禪師 行狀

0

서장 대혜선사 행장 大慧禪師 行狀


0-01
禪師는 宣州寧國縣人也라 姓은 奚氏니, 母夢에 神人이 携一僧호대 黑頰隆鼻라. 造於臥室이어늘 問其所居한대 對曰 北岳이라하다. 覺교而有娠이러니 及誕之日에 白光이 透室하니 擧邑이 驚異러라. 卽是年(南宋 哲宗 元祐四年 己巳)十一月十日巳時에 生하다.
0-02
師의 諱는 宗杲니, 年이 十三에 入鄕校하야 與同學으로 戱할새 以硯投之라가 誤中先生帽하고, 償金三百而歸曰 “讀世書가 曷若究 出世之法乎아?”
十六에 投東山惠雲院 惠齊大師 出家하다, 十七에 薙髮 受具戒하고, 十九에 遊方하야 至太平州 隱寂庵하니, 庵主가 迎待甚厚曰 “昨夜夢에 伽藍神이 囑曰 ‘明日에 雲峰悅禪師가 到院이라’하더니 子가 是耶아?”하고 乃悅禪師語錄으로 示之한대, 師가 一見成誦하니 從此로 人謂 雲峰師後身이러라.
0-03
初參曺洞師하야 盡得其旨호대 師猶不滿이러니, 徽宗大觀三年己丑(師年二十一)에 參湛堂無準和尙하야 執侍七年하고 大有領解러니, 湛堂이 臨終에 指令參圜悟勤하야 成就大事라하야늘, 師於宣和四年壬寅(師年三十四歲)에 欲參圜悟而時 師가 遠在蔣山故로 姑依太平寺 平普融會下하다.
0-04
宣和七年乙巳(師年三十七)에 始參圜悟勤 於汴京天寧寺할새 才經四十日이러니 一日은 圜悟開堂하고 擧, “僧이 問雲門호대 ‘如何是諸佛出身處닛고?’ 門이 曰 ‘東山水上行이니라’ 天寧(圜悟自稱)은 卽不然하야 唯向他道호대, ‘薰風이 自南來하니 殿角에 生微凉이라’호리라.” 師가 聞之에 忽前後際斷커늘, 悟가 令 居擇木堂하야 不釐務侍者하고 專心保任케하더니,
0-05
後聞悟室中에 問僧‘有句無句가 如藤倚樹話’하고, 師遂問曰, “聞和尙이 當時에 在五祖하야 曾問此話라호니 不知道甚麽닛고.” 悟가 笑而不答커늘 師曰 “和尙이 旣對衆問인댄 今說何妨이닛고” 悟가 不得己曰 “我問五祖호대 ‘有句無句가 如藤倚樹意旨가 如何닛고?’, 祖曰 ‘描也描不就하고 畵也畵不就니라.’ 又問 ‘樹倒藤枯時如何닛고?’ 祖曰 ‘相隨來也니라’하더라.” 師가 當下에 豁然大悟 曰 “我가 會也니다”
悟가 歷擧數段 因緣詰之호대 皆酬對無滯어늘, 悟가 喜謂之曰 “吾不欺汝也라”하며 乃著<臨濟正宗記>付之하고 俾掌記室커늘 師가 仍爲圜悟弟子하다.
0-06
未幾에 圜悟返蜀커늘 師仍韜晦하고 結庵以居하다, 後度夏虎丘寺할새 閱華嚴이라가 至第七地菩薩이 得無生法忍處하야 忽洞明湛堂所示인 央掘摩羅가 持鉢 救産婦因緣하다.
0-07
紹興七年에 詔住雙徑寺러니 一日에 圜悟訃音이 至커늘 師自撰文致祭하고 卽晩小參에 擧 “僧이 問長沙호대 ‘南泉이 遷化에 向甚麽處去닛고?’ 沙曰 ‘東村에 作驢하고 西村에 作馬니라.’ 僧이 曰 ‘意旨如何닛고?’ 沙曰 ‘要騎便騎하고 要下便下니라’하엿지만은 若是徑山인댄 卽不然하다 若有僧이 問 ‘圜悟禪師遷化에 向甚處去오?’하면 卽向他道호대 ‘向大阿鼻地獄이니라.’ 意旨如何오하면 曰 ‘飢飡洋銅하고 渴飮鐵汁이라’호리라. 還有人이 ‘救得也無아’ 曰 ‘無人救得이니 如何救不得고. 是此老의 尋常茶飯이니라.”
0-08
十一年五月에 奸相秦檜 以師로 爲張九成黨이라하야 秦請 毁其衣牒하고, 竄 衡州十五年이러니. 二十六年十月에 詔移梅陽이라가 不久에 復其形服하고 放還이러니, 十一月에 詔住阿育王寺하다. 二十八年에 降旨하야 令師로 再住徑山寺하야 大弘 圜悟宗旨할새, 道法之盛이 冠于當世하야 衆至二千餘人이라.
辛巳春에 退居明月堂이러니 明年壬午(高宗三十二年)에 上이 賜號曰 ‘大慧禪師’라하다.
0-09
孝宗隆興元年癸未에 仍居明月堂이러니 一夕은 衆見一星이 落於寺西에 流光이 赫然이라. 師가 尋示徵疾이라가 八月九日에 謂衆曰 “吾가 翌日殆行이라”하더니 是夕五鼓에 手書遺表하고 幷囑後事한대, 有僧了賢이 請偈어늘 師乃大書曰 “生也祗麽요 死也祗麽어늘 有偈無偈에 是甚麽熟고?”하시고 怡然而逝하니, 世壽는 七十有五요 坐夏는 五十有八이라.
0-10
上이 痛悼不已하시고 賜謚曰 ‘普覺’이라하며 塔曰 ‘普光’이라하다.
今擧生號死謚云 大慧普覺者는 揀 南岳讓和尙이 亦號大慧故也라. 有語錄八十卷이 隨大藏流行하고 爲法嗣者가 八十三人也러라.

대혜선사 행장

0-001
선사는 선주 영국현 사람이며, 성은 혜씨奚氏이다.
모친의 꿈에 신장님이 한 스님을 데려왔는데, 뺨이 거무스레하고 코가 우뚝 솟아 있었다고 한다. 침실에 오기에 사는 곳을 물으니, 북악이라 대답했다. 깨어나 보니 태기가 있었는데, 태어나던 날이 되자 백광이 방 밖으로 뻗어나오니, 고을 전체가 신이함에 놀라워 했다. 그리고 바로 남송 철종 원우 4년(1089) 11월 10일 사시에 태어났다.

0-002
선사의 휘는 종고이니, 13세가 되어 향교에 들어가 동문수학하는 친구들과 놀다가 벼루를 집어던졌는데, 잘못해서 선생님의 모자를 맞혔다. 300냥으로 물어내고는 돌아와 말했다.
“세간의 책 읽는 것이 어찌 출세간의 법을 탐구하는 것보다 나을까?”
16세에 동산 혜운원의 혜제 대사에게 가서 출가하였고, 17세에 삭발하여 구족계를 받았으며, 19세에 여러 곳을 다니다가 태평주의 은적암에 이르렀다. 암주가 매우 두텁게 맞이하며 말하였다.
“어젯밤 꿈에 가람 신중님이 부탁하며 말하기를 ‘내일 운봉열 선사가 절에 당도할 것이다’하였는니, 그대가 맞습니까?”
그러면서 운봉열 선사 어록을 보여주었다. 선사가 한번 보고 외워버리니, 이때부터 사람들은 운봉열 선사의 후신이라 하였다.

0-003
처음 조동종의 스승에게 참학하여 그 선지를 모두 얻었지만, 선사는 여전히 만족하지 않았다.
21세(휘종 대관 3년 기축, 1109)에 담당무준 화상을 참례하여 7년을 시봉하며 크게 깨달된 바가 있었다. 담당무준 화상이 임종에 들면서 원오극근 선사를 참배하여 일대사인연을 성취하라 하였다.
선사는 34세에(선화 4년 임인, 1122)에 원오극근 선사를 참배하려 했는데, 그때 원오 선사가 멀리 장산에 계셨기 때문에 잠시 태평사의 평보 융 선사 회상 아래서 지냈다.


0-004
선사는 37세에(선화 7년 을사, 1125)에야 비로소 변경 천녕사에서 원오극근 선사를 참배하였는데, 겨우 40일을 지냈는데, 하루는 원오극근 선사가 법회를 열고 다음을 들어보였다.
“어느 스님이 운문 선사에게 여쭈었다. ‘모든 부처님들이 출현하신 곳은 어떠합니까?’ 이에 운문 선사는 ‘동산의 물이 위로 흐른다.’고 이르셨지만, 나라면 그렇지 않고 다르게 말할 것이다. ‘향기로운 바람이 남쪽에서 불어오니, 집 모퉁이 청량하다’하리라.”
대혜종고 선사가 그 말을 듣고 홀연 앞 뒤의 경계가 끊어졌다. 원오 선사는 대혜 선사로 하여금 택목당에 머물며 시자의 소임은 조금도 하지말고 보임保任에 전념토록 하였다.


0-005
이후 원오극근 선사가 선실에서 어느 납승에게 ‘유구무구有句無句가 마치 등나무 넝쿨이 나무를 의지한 것 같다는 화두’를 묻는 것을 들었다.
대혜 선사가 원오극근 선사에게 물었다.
“듣자 하니, 화상께서 오조법연 스님 회상에 있을 당시에 이 화두를 여쭌 적이 있다고 하였는데, 어떻게 말씀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원오 선사가 웃기만 하고 대답이 없자 대혜종고 선사가 말했다.
“화상께서 대중들의 물음에 이미 답해주셨는데, 지금 말씀하신다고 무슨 방해가 되겠습니까?”
원오 선사가 부득이하여 말씀하셨다.
“내가 오조법연 선사께 ‘유구와 무구가 마치 등나무 덩쿨이 나무에 의지하는 것과 같다함은 뜻이 무엇입니까?’하고 여쭈었다. 오조법연 선사께서 ‘그리려 해도 그릴 수 없고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다.’고 말씀하셨다.
또 여쭈었는데, ‘나무가 쓰러지고 등나무가 말라버리는 때가되면 어떻게 합니까?’ 오조 선사께서 ‘서로 따라온다’고 말씀하셨다.”
이에 대혜 선사가 그 자리에서 활연대오하고는 말했다.
“제가 알겠습니다.”
원오 선사가 여러 가지 인연들을 골고루 제시하면서 대혜 선사에게 물으니 모두 응답함에 막힘이 없었다. 원오극근 선사가 기뻐하며 말하였다.
“내가 너를 속이지 않겠다.”
그리고나서 <임제정종기臨濟正宗記>를 선사에게 부촉하고 기록하게 하니, 선사는 비로소 원오 선사의 법제자가 되었다.


0-006
얼마 안되어, 원오 선사가 촉 땅으로 돌아가시니. 대혜 선사도 이에 종적을 감추고 암자를 짓고 머물렀다. 훗날 호구사로 건너가 화엄경을 열람하다가 제칠지보살이 무생법인을 증득한다는 곳에서, 홀연히 담당무준 화상이 제시했던 ‘앙굴마라가 탁발하다가 출산하는 부인을 구한 인연’을 통연히 남김없이 밝아졌다.


0-007
49세에(소흥 7년, 1137)에 황제의 명으로 쌍경사에 머물렀는데, 어느 날 원오 선사의 부음 소식을 받았다. 대혜 선사는 직접 조문을 지어 제를 올리고, 바로 저녁 소참법문에서 들어보였다.

“납승이 장사경잠 선사께 물었습니다. ‘남전보원 선사께서 입적하신 뒤에 어디로 가십니까?’ 장사경잠 선사 께서 말씀하였다. ‘동쪽 마을에서 당나귀가 되고, 서쪽 마을에서는 말이 되겠지.’ 스님이 묻기를 ‘그 뜻하는 지취가 무엇입니까?’하자 장사경잠 선사가 답하셨다. ‘올라타고자 하면 바로 올라타고 내리고자 하면 바로 내린다.’ 만약에 나 경산이라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니, 어떤 납승이 ‘원오 선사께서 입적하시고 어디로 가십니까?’하고 묻는다면 다르게 말하리니, ‘대아비지옥을 향한다’할 것이다. 그 뜻이 무엇인가. ‘배고프면 구리 먹고, 목마르면 쇳물 마신다’고 하리라. 누군가 ‘제도할 수 있겠습니까?’ 다시 물으면 ‘아무도 구할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니, 어째서 구할 수 없다고 하는가. 이것이 바로 이 늙은이가 평소 숭늉에 밥 말아 먹는 살림이다.”

0-008
53세 5월에(소흥 11년, 1141) 간신인 재상 진회가 선사를 장구성의 일당이라 하여 법의와 승적을 없애도록 주청 올렸고, 형주로 내쫓겨 15년을 지냈다.
68세 10월에(소흥 26, 1156) 황제의 명으로 매양으로 옮겼다가 오래 지나지 않아 다시 선사로써 모습을 회복하고 풀려나 돌아왔으며, 11월에 황제의 명으로 아육왕사에 머물렀다.
71세에(소흥 28년, 1159년)에 교지를 내려 선사로 하여금 다시 경산사에 머물게 하니, 원오극근 선사의 종지가 널리 퍼졌다. 수행과 법력이 치성하여 당대에 으뜸이었으니, 대중은 이천여명에 이르렀다.
73세 봄에(고종 31년, 1161) 봄에 명월당으로 물러나 기거하였는데, 이듬해 주상이 호를 내려 ‘대혜 선사’라 하였다.

0-009
75세(효종 융흥 원년, 1163), 명월당에 머무르던 어느 날 저녁, 대중들은 별 하나가 절 서쪽으로 유성처럼 밝게 떨어지는 것을 보았다. 선사가 갑자기 질병의 조짐을 보이더니 8월 9일에 대중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내일 가련다.”
그날 밤 오경새벽(오전3시~5시)에 손수 황제에게 올리는 유표를 쓰고, 아울러 뒷일을 부촉하였다.
요현이라는 스님이 게송을 청했다.
[선사는 큰 소리로 말했다.
“게송이 없으면 죽지도 못하겠구나.”]
선사가 큼지막하게 쓰면서 말했다.
“산다는 건 이러하고 죽는 것도 이러한데, 게송이 있다 없다 하는 것은 무슨 번뇌인고?”
편안하게 가시니, 세수 75세요, 법랍 58세였다.

0-10
주상의 애통함이 그지 없으시니, 시호를 내려 ‘보각’이라 하고, 탑호는 ‘보광’이라 하였다.
오늘날 살아계실 적 호와 돌아가신 뒤의 시호를 들어서 ‘대혜보각’이라 하는 것은 남악회양 선사의 호 역시 ‘대혜’이기에 구분하기 위한 까닭이다. 어록은 80권이 있는데, 대장경에서 유통되고 있으며, 법을 이은 사람은 83명이다.

 
Leave A Reply

Exit mobile version